•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plus program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1초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와 영유아의 영양상태와의 관계연구 - 전주지역 영양플러스 참여자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of guardians, and nutritional status of infants and toddlers - Nutrition-Plus program in Jeonju)

  • 송은영;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42-253
    • /
    • 2018
  • 본 연구는 전주시의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 중인 115명의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영유아의 영양상태와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영유아의 바람직한 성장발달을 위한 영양관리와 보호자대상의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양지식의 총점은 15점 중 12.97점이며 '철분이 부족하면 빈혈에 걸리기 쉽다'가 99.1%로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철분은 동물성보다 식물성 단백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가 62.6%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식생활태도의 총점은 75점 만점 기준 53.38점이며 '술은 절대로 마시지 않는다'가 3.9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우유제품을 매일 먹는다'가 2.85점으로 가장 낮은 식생활태도 점수를 보였다.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는 교육수준과 가족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 24개월 영유아의 전체 평균 %EER은 97.56%이며,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은 98.81%, '보통'은 97.87%, '낮음'은 93.73%로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의 %EER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25개월 이상의 유아의 %EER은 81.47%이며,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은 84.17%, '보통'은 82.31%, '낮음'은 71.20%로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의 %EER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6 ~ 11개월 영아의 전체 평균 미량 영양소 섭취율은 칼슘, 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은 100%이상으로 적절하게 섭취하고 있으나 철은 92.38%, 비타민 A는 92.46%, 비타민 C는 95.50% 섭취하고 있었다. 12개월 이상의 유아는 칼슘에서 보호자의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 (97.71)과 '보통' (92.79)이 '낮음' (77.66)보다 칼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체 평균 섭취율은 인,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C는 100%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으나 칼슘은 92.01%, 철은 92.31%, 나이아신은 93.67%로 부족하게 섭취하였다. 식생활 태도 수준에 따른 %에너지 필요추정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에 대한 섭취 에너지 백분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량영양소인 티아민의 섭취량은 보호자의 식생활 태도 수준이 '보통' (142.67)일 때 '높음' (121.03), '낮음' (119.56)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12개월 이상의 유아의 미량 영양소의 섭취량 백분율을 분석한 결과, 인 섭취는 보호자의 식생활태도 수준이 '보통' (135.43)일 때 '높음' (114.62), '낮음' (124.74)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호자의 교육수준은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와 각각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보호자의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 간에도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보호자의 영양지식과 영유아의 칼슘 (r = 0.303, p < 0.01), 철 (r = 0.277, p < 0.01), 비타민 C (r = 0.221, p < 0.05), 리보플라빈 (r = 0.188, p < 0.05)의 섭취량 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전주시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영유아 보호자의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 수준은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하는데 부족함이 있으므로 영양플러스 교육내용 및 교육매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겠다. 향후 영양플러스 사업이나 영유아대상의 영양사업에서 보호자의 실질적인 영유아 영양관리 실천 기술과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Dietary Calcium Levels on Productive Performance, Eggshell Quality and Overall Calcium Status in Aged Laying Hens

  • An, S.H.;Kim, D.W.;An,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0호
    • /
    • pp.1477-148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s with varying levels of calcium on egg production, shell quality and overall calcium status in aged laying hens. A total of five hundred 70-w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divided five groups and fed one of the five experimental diets with 3.5%, 3.8%, 4.1%, 4.4%, or 4.7% Ca, for 10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among groups. The cracked eggs were linearly reduced as dietary Ca levels increased to 4.7% (p<0.01). A significant linear improvement for eggshell strength and thickness were determined with increasing dietary Ca levels (p<0.01). The contents of serum Ca and phosphoru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Ca levels. With increase in dietary Ca levels, the tibial breaking strength slightly in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bial contents of ash, Ca and phosphorus among groups. In conclusion, eggshell quality, as measured by appearance, strength and thickness of eggshell, were influenced by dietary Ca content as expected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ged laying hens require relatively higher level of Ca than required levels from current Korean feeding standards for poultry.

Effects of aerobic exercise, fat oxidation, and diet limitation on target fat mass reduction and appetite-regulating hormone levels

  • Lim, In Soo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3-48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plasma lipid concentrations and appetite-regulating hormone levels after a 4% body fat reduction using a 9-week intervention involving aerobic exercise, a fat-oxidizing agent, and diet limitation. After the 9-week intervention, the aerobic exercise plus hydroxycitric acid (EX+HCA), exercise (EX), and diet limitation (DIET) groups achieved the target 4% body fat reduction from the baseline value. None of the plasma lipid indicators showed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dicating that plasma lipid levels are not influenced by body weight regulation. With regard to appetite-regulating hormones,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lucose, insulin, or glucagon-like peptide-1 levels, unlike ghrelin and leptin. Ghrelin levels in particular tended to decrease in the DIET group and increase in the HCA+EX and EX groups. Leptin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CA+EX and EX groups, wherea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IET group. Such results indicate that exercise alone without the administration of obesity diet supplements induces elevation in ghrelin levels and reduction in leptin levels, but that diet restriction alone does not influence changes in leptin levels. Taken together, we could not confirm any synergic effects arising from the use of a fat-oxidizing agent during an exercise program to control body weight. Furthermore, diet limitation unsupported by exercise had no effect on muscle mass reduction or appetite-regulating hormone levels; thus, it is not recommended as an effective body weight control method.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by-products treated with calcium oxide and alkaline hydrogen peroxide as feed ingredient for Holstein steers

  • Son, A-Rang;Kim, Seon-Ho;Valencia, Raniel A.;Jeong, Chang-Dae;Islam, Mahfuzul;Yang, Chul-Ju;Lee, Sang-Su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841-853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mchi cabbage by-products either treated or untreated with calcium oxide (CaO) and alkaline hydrogen peroxide (AHP) as substitutional ingredient of total mixed ration (TMR) on in vitro fermentation, in situ disappearance and growth performance of Holstein steers. Cannulated Holstein (600 ± 47 kg) was used for both the in vitro and in situ experiments. The treatments used were TMR only (CON), TMR + 30% Kimchi cabbage by-products fresh matter (FM) basis (TC), TMR + 30% Kimchi cabbage by-products FM basis + 5% CaO FM basis (TCC), and TMR + 30% Kimchi cabbage by-products FM basis + 5% CaO FM basis + 3.22% AHP FM basis (TCCA). For in vivo experiment, thirty-four Holstein steers (273 ± 45 kg) were subjected to a 150-day feeding trial, divided into two groups: CON and TC. In the in vitro experiment, pH of TCCA was greatest (p < 0.05) among other treatments at all incubation times. Ammonia nitrogen and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ach treatment. However, butyrate was greater (p < 0.05) in TCC and CON than in both TC and TCCA. During in situ experiment, the dry matter (DM) disappearance was greatest (p < 0.05) in TCCA among other treatments. Also, disappearance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observed greatest (p > 0.05) in TCCA treatment. In the in vivo experiment, average daily gain (ADG) did not differ between CON and TC. In blood profile analysis,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glucose,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But, creatinine concentration was greater (p < 0.05) in TC than in CON.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Kimchi cabbage by-products either treated or untreated with CaO and AHP can be used as substitutional ingredient in TMR for Holstein steers.

노인의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와 우울감 (Association of self-perceived oral health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the 6th KNHANES))

  • 조한아;허윤민;김형주;최은실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5-293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self-perceived oral health and depression in the Korean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were 1,329 elderly in Kore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6th KNHAN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pression that continued more than two weeks. Model I for the impacts of depression on self-reported oral health, Model II for the impacts of depression on chewing problem, Model III for the impacts of depression on speaking problem was evaluated. PASW Statistics 18.0 version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emale elderly were much more prone to depression than male. Female had lower monthly compensation, less medicaid, chewing problem, speaking problem, and less education. For these reasons, they tended to have more depression than male (p<0.001). Self-perceived oral health impacts on depression included poor self-reported oral health(p<0.01), poor chewing problem(p<0.01) and poor speaking problem(p<0.05). On the other hand, mal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Conclusions: The study showed the self-perceive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continuing lifelong oral health care can prevent depression in the later life because oral health care improvement can enhance the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구강건강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2014년) 자료 이용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oor oral health in Korean elderly: the six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 조한아;최은실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31-941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oor oral health in Korean elderly using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for assessment of depressive symptom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The study included 1,454 elderly Korean aged over 65. Variables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socioeconomic factor (income, education), systemic diseases, oral health related factor (tooth brush, dental products), health related factor (alcohol drinking, smoking), and depress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sequential models. Effects were quantified as odds ratios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 Results: From frequency analysis, being female, primary school or less, non-alcohol drinking, poor oral health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oral health (OR=1.96, CI=1.15-3.53) after adjustment for other covariate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factor, systemic diseases, oral health related factor, and health related factor (OR=1.91, CI=1.13-3.27). Conclusions: Depression had an influence on the poor oral health after adjustment as confounding variable in the elderly. It should be focused on the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vulnerable to depression and poor oral health.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should be established.

노인의 스트레스 인지가 전반적인 건강상태 및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in elderly: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 최은실;조한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99-91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ates of perceived stress of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an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stress on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2014, 1,472 people over 65 years of age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Stress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included physical health (perceived health status), mental health (depression), and oral health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e following confounding variables were adjusted for the current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level, house income) and health - related characteristics (drinking, smoking, exercis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using oral care product, dental exam, comorbidity, restrict activity). Complex sampling analysis was applied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ress on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were calculated. Results: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physical health (OR=2.18, 95%CI: 1.49-3.20), low mental health (OR=8.68, 95%CI: 4.98-15.11), low oral health (OR=1.53, 95%CI: 1.06-2.21)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s: The perceived stress of the elderly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stress as a predictor of health risk for the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on multidisciplinary assessment and continuous evaluation. In addition, health support policies should be provided to achieve good health status for elderly.

매실을 첨가한 한방스포츠음료가 흰쥐의 혈중지질 및 운동수행력 증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Sports Drinks Containing Prunus mume Fruit Extract on the Plasma Lipid Profile and Endurance of Rats)

  • 김영제;정운주;이기동;최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09-1416
    • /
    • 2012
  • 본 연구는 한방소재인 가시오가피와 맥문동을 단일음료형태 또는 매실을 첨가한 혼합음료 형태로 음용하였을 때 이들 한방스포츠음료가 운동 시의 지구력 및 체지방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조군(C)과 가시오가피(A), 맥문동(L) 추출물 음료 급여군, 매실과 가시오가피 추출물 혼합음료(PA), 매실과 맥문동 추출물 혼합음료(PL) 급여군으로 나누어 6주간 점증부하 운동을 실시한 후, 실험 마지막 날 최대 운동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한방스포츠음료의 음용은 식이효율뿐만 아니라 체중증가량과 신주위 백색지방 무게를 낮추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부고환 지방과 견갑골 백색지방 무게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5). 특히 매실 혼합추출물인 PA와 PL군의 식이섭취량 및 체중증가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반면 비복근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중 A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났다(p<0.05). 또한 A의 음용으로 가자미근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유리지방산과 당 농도는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음료군 중 A군이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증가시킨 반면, 혈장 당 농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장 중성지질 농도가 C군에 비해 A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군은 지방을 주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탄수화물을 절약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p<0.05). 운동수행시간이 맥문동을 제외한 3종 한방스포츠음료 음용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가시오가피와 맥문동을 매실과 혼합하여 공급한 혼합음료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편, 혈장 피로물질인 암모니아, 젖산, 무기인산 농도와 혈장 근육효소 활성도는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비복근조직의 LDH 효소 활성도는 PA군과 PL군이 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최대 운동수행시간과도 일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지구력운동과 함께 급여한 4종 한방스포츠음료는 체지방과 체중 감소 및 혈장 중성지질개선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방스포츠음료섭취에 의한 식이효율 감소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맥문동 추출물에 비해 근육량, 운동수행시간, 혈장 유리지방산 농도를 증가시키고 혈장 중성지질과 당 농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으며, 매실 추출물 첨가에 의해 이러한 변화가 증가(운동수행시간)하거나 감소(근육량, 혈장 중성지질, 유리지방산 및 당 농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매실, 가시오가피, 맥문동 혼합음료의 지구력 증강 효능이 피로물질 변화, 체내에너지기질 이용도 증가 및 비복근 LDH 활성도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추후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가 돼지고기의 n-3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seed Oil and Canola Oil Feeding on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Pork)

  • 박병성;강환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37-1543
    • /
    • 2004
  • 본 연구는 아마인유와 채종유내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의 돈육내 축적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 수퇘지(체중 50 kg)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가지 실험사료중 한가지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우지, 아마인유, 채종유 또는 아마인유와 채종유의 혼합유를 함유하였다. 110 kg 시판 체중 도달시에 희생하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속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은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포화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11.84%~16.54%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액 n-3 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4.68%~12.83% 높게 나타났다(p<0.05).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3가지 지질 급원 모두는 우지 첨가구에 비교하여 돼지고기 삼겹살 내 $\alpha$-linolenic acid(18:3n-3) 함량을 9.43%까지 유의적으로 높였다(p<0.05). 아마인유 또는 채종유 급여는 삼겹살내 n-3:n-6 비율을 0.68로 높였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비율은 0.70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에 의해 n-3지방산이 강화된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 Adults)

  • 최은실;정수라;조한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75-785
    • /
    • 2015
  • 본 연구는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 4,839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교차분석 결과 구강위생용품의 사용(하루 칫솔질 빈도, 치실 사용 여부, 치간칫솔 사용 여부, 구강양치용액 사용 여부)은 성별, 나이, 교육수준, 가구소득, 결혼상태, 치과의료 이용, 치과검진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미치는 변수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 교육수준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용품에서 모두 공통되지는 않았지만 구강건강상태와 치과의료 이용, 최근 1년간 치과검진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치과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는 구강위생용품을 세분화하여 각 영향 요인을 인식하고 개인의 특성 및 구강상태를 반영한 구강보건교육매체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국민구강보건증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