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exercise program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일 보건교육의 효과 (An Effect of the Health Education for Health Promotion on College Students)

  • 송미령;박경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98-30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health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The content of the health education was consisted of significance of health, smoking, alcohol use and sexuality, birth control, exercise and nutrition, chronic illness, contagious disease, stress management. Two groups non-equivalent to pre and post test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ere used in this study.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174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have a health related major.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this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1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attended other liberal arts and science classes for 16 weeks. Data were analysed with the SPSS window program.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pretest data was tested by $X^2$ test and t-test. The differences in stress, self-esteem, genera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fter the health education were tested with the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stress, self- esteem, genera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the health education.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p= .000)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p= .000)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health education.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p= .531), self-efficacy(p= .110) and locus of control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health education. From the results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health education for the college students was effective to relieve stress and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repeated studies are needed for another college students and various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populace considering many health related concepts.

  • PDF

성인의 흡연 및 음주형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n the effects of smoking and drinking on quality of life in Adults)

  • 윤혜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61-368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흡연 및 음주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제7기 2차 년도(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3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대상자수는 총5,465이며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관련 변수, 삶의 질 수치인 EQ-5D index scores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ver.2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 흡연상태, 폭음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인지율이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통제변수를 투입하여 흡연 및 음주형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 '한번에 마시는 음주량(β=.106)'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삶의 질의 차이를 9.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흡연상태와 폭음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성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흡연보다는 음주와의 관련성을 주요한 보건학적 이슈로 접근하여 생활양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있는 융합적 금주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Does physiotherapy after rotator cuff repair require supervision by a physical therapist?: a meta-analysis

  • Masaki Karasuyama;Masafumi Gotoh;Takuya Oike;Kenichi Nishie;Manaka Shibuya;Hidehiro Nakamura;Hiroki Ohzono;Junichi Kawakami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3호
    • /
    • pp.296-301
    • /
    • 2023
  • Background: A supervised physiotherapy program (SPP) is a standard regimen after surgical rotator cuff repair (RCR); however, the effect of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HEP), as an alternative, on postoperative functional recovery remains uncle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compare the functional effects of SPP and HEP after RCR. Methods: We searched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Central, Medline, and Embase in April 2022. The primary outcomes included the Constant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houlder score, and pain score. Secondary outcomes included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retear rate, and patient satisfaction rate. A meta-analysis using random-effects models was performed on the pooled result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Results: The initial database search yielded 848 records, five of which met our criteria. Variables at 3 months after surgery were successfully analyzed, including the Constant score (mean difference, -8.51 points; 95% confidence interval [CI], -32.72 to 15.69; P=0.49) and pain score (mean difference, 0.02 cm; 95% CI, -2.29 to 2.33; P=0.9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P and HEP. Other variables were not analyzed owing to the lack of data. Conclusions: Our dat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SP and HEP with regard to the Constant and pain scores at 3 months after RC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P may be an alternative regimen after RCR. Level of evidence: I.

택시 운전자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Program for Taxi Drivers)

  • 전미양;송영수;정형태;박정숙;윤혜영;이에리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437-444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택시운전자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생리적 변수(혈압, 혈당, 혈청 지질), 신체적 변수(체지방율,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평가의 2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는 택시 운전자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11년 3월 2일부터 4월 30일까지 택시 운전자 321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및 생활습관, 건강관리 요구도를 설문조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단계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11년 6월 1일부터 10월 5일까지 택시 운전자 51명에게 12주 동안 운동 1주 3회, 질병교육 4회, 영양 상담 2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전보다 후에 혈압, 혈당, 혈청지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체지방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t=3.108, p=.003), 근지구력(t=-7.621, p<.001), 심폐지구력(t=-3.388, p=.001), 균형(t=-4.13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운동, 질환교육, 영양상담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고혈압, 당뇨, 비만 등 심뇌혈관질환 선행질환 유병율이 높은 택시 운전자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예방프로그램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백경신;최연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7-14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5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Jecheon city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Oct. 2 to Dec. 20, 2001.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ed by Walker et al(1987), satisfaction of life developed by Pavot and Diener(1993), perceived health status by Lawston et al(1982), self-esteem by Rosenberg(1965), self-efficacy by Becker et al(1993), health locus of control by Wallston et al(1978).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31 point out of 4. Among the sub-level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order of importance was the following self-actualization(2.76), interpersonal support(2.75), stress management(2.31), nutrition(2.06), health responsibility(1.83), exercise(1.76). The mean score of satisfaction of life was 4.11 point out of 7. 2)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The satisfaction of lif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health promoting behavior.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s(F=8.50, p=.00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lif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grades(F=2.67, p=.04) and economic status of parents(F=8.59, p=.000) 4)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elf-efficacy. A combination of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accounted for 34.7%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satisfaction of life was self-esteem. A combination of self-esteem, health promoting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grade accounted for 34.0% of the variance in satisfaction of life. In conclusion, we need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cusing on exercise, health responsibility and nursing strategies enhanc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a healthy lifestyle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일 농촌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Older Adults in a Rural Area)

  • 김정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7-201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older adults in rural area. The design of research was descriptive study. 883 older adults over sixty year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Pusan city were surveyed from July 9. 1999 to July 20. 1999 through direct interview using a questionnaire and physical examin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percentage. mean. Chi square-test. ANOVA using the SPSS computerized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43.4% of subjects lived alone or with only partner. 2. 37.13% of subjects had perceived own health condition as bad. 3. Major 'chronic diseases that the subjects were suffered were diabetes(25.94%) and hypertension(9.11%). 4. The mean score of perceived depression was 17.71 of 44. 5. 87.98% of subjects replied that they had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and friends. 6. 8.57% of subjects were identified as over weight. while 10.85% were low weight. 7. 29.93% of subjects replied that they were smoking. By the group. the rate of smoking of ma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and lower age group than higher age group, and higher education group than lower education group. 8. 70.38% of subjects didn't practice exercise. By the group, the rate of exercise of woma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man, and higher age group than lower age group, and lower education group than higher education group. 9. 12.33% of subjects replied for the frequency of drinking as more three -times a week. By the groups. man showed significantly more frequency than woman. the lower age group than higher age group, the lower education group than the higher education group. 11. The mean score of nutrition state was 3.73 which means moderate risk state. 12. The 57.53% of subjects replied, their sleeping time as below 7 hours. 13. The 15.75% of subjects had experience a periodical inspection. In conclusion, older adults in rural area were identified having various health risk factor, Looking at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e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enhances older adults to practic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o manage their chronic disease.

  • PDF

대구 S병원 뇌졸중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식습관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Attitude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in Daegu S Medical Center)

  • 이승아;전선민;김혜진;도경민;정유미;최명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6-445
    • /
    • 2008
  • 뇌졸중은 그 발병 자체가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병증과 후유증을 야기하여 환자에게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남기고 장기적인 재활치료를 요구하며 환자 가족들에게까지 정신적 경제적 고통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는 대구 S병원의 뇌졸중 환자들의 생활 패턴 및 식행동 특성을 분석하고 뇌졸중을 일으키는 생활 습관 및 식생활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지역민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내용은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 특성, 생활 습관 및 식태도 등의 내용을 포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자와 직접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2005년 2월부터 8월까지 뇌졸중으로 대구 S병원의 신경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와 신경외과 외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환자를 환자군으로 선정하였다. 환자군의 선별은 임상적 증상에 의해 신경외과 의사의 진단을 받은 30세 이상의 경우로 국한하였다. 환자군 36명에 대한 정상 대조군은 동일병원에 뇌졸중 질환이 없고, 환자와 유사한 조건의 건강한 환자 보호자 및 원내 직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환자군에서 체질량 질수(BMI)는 건강인과 비슷하였으나 WHR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뇌졸중 환자의 동반질병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위장질환 순으로 높게 나타나, 고혈압은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여주는 위험요인으로 사료된다. 3) 뇌졸중 환자는 과거 흡연가와 현재 흡연가의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흡연이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위험 요인으로 사료된다. 4) 주당 음주 횟수에 관한 조사 결과,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음주횟수 및 음주량 증가가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사료된다. 5) 뇌졸중 환자군의 식욕을 돋우는 입맛으로 짠맛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뇌졸중 동반 질병인 고혈압과 짜게 먹는 식습관이 뇌졸중 발병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위험요인은 복부 비만, 흡연, 음주, 운동 부족, 짜게 먹는 식습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올바른 생활 습관 및 식습관을 유지하고 다양한 식품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뇌졸중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뇌졸중의 위험인자 관리를 위한 식이요법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식이요법 교육 프로그램과 실천이 절실히 필요하다. 뇌졸중은 발병 후 치료하기보다는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여러 위험요소를 찾아내어 이를 관리하고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 뇌졸중은 다른 질환과 달리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고, 위험인자를 관리하느냐에 따라 예방이 가능하며, 또 이미 발병한 환자의 경우 재발 방지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미 서구에서는 뇌졸중 예방을 위한 범국민적 교육을 통해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한국인 사망률의 수위를 차지하는 뇌졸중의 인한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획일적 영양교육보다 환자 개인에 적합한 개별적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어린이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제주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 상태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using nutrition quotient)

  • 부미나;조수경;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35-343
    • /
    • 2015
  • 본 연구는 '어린이 영양지수 (NQ)'를 활용하여 제주지역 일부 초등학교 5~6학년 440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식습관과 영양 상태를 진단, 평가하였고 전국 6대 광역시 거주 아동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NQ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특성 요인과 영양교육 관련 요인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제주 지역 아동의 평균 NQ 점수는 100점 만점에 60.3점이고, 영역별로는 균형 56.6점, 다양 68.4점, 절제 71.3점, 규칙 57.4점, 실천 54.8점으로 절제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영양불량을 진단하는 기준치에 해당하였다. 둘째, NQ점수를 바탕으로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한 결과, '불량' 19.8%, '약간 불량' 18.6%, '보통' 45.0%, '우수' 10.7%, '최우수' 5.9%의 분포를 보였다. 셋째, NQ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 및 생활습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운동을 더 많이 하는 아동일수록, 가족과 함께 자주 식사할수록,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NQ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의 수와 어머니의 직장여부에 따른 NQ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평소 영양교육에 관심이 많다고 응답하였거나, 영양교육 받은 내용을 실천한다고 응답하는 대상자들이 NQ 등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제주지역 아동들의 평균은 전국 6개 광역시, 경북지역, 대구지역 아동의 평균인 각각 67.4점, 62.2점 62.3점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다섯 가지 영역별 NQ 점수에서도 전반적으로 저조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다양 요인과 실천 요인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여 제주지역 아동들의 식습관 및 식생활 개선이 시급한 사안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제주지역 아동들에게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긍정적 영양상태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영양 교육의 확대 및 강화뿐만 아니라 제주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 높은 맞벌이 부부의 비율, 낮은 가족 식사 동반율 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울산지역 기숙사 거주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과 영양지식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in Ulsan Area)

  • 김혜경;김진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388-1397
    • /
    • 2005
  • 울산지역 기숙사 거주 대학생 758명을 대상으로 일반환경요인, 식생활 및 건강관련 요인, 식습관, 영양지식, 기숙사급식소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남자가 580명 ($76.5\%$), 여자가 178명 ($23.5\%$)으로 평균나이 20.7세, 신장은 남녀 각각 $175.2\pm5.0\;cm,\;162.6\pm4.1\;cm$이었으며, 체중은 $69.4\pm9.6\;kg,\;51.8\pm5.9\;kg$으로 나타나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제시되어 있는 성인남녀 기준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과 건강관련 요인에서는 기숙사 거주 학생의 $26.8\%$가 항상 결식을 하며, 그 중에서도 아침 결식율이 $76.8\%$로 높게 나타났고, 편식을 한다는 응답이 $43.8\%$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편식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식식품으로는 생선류, 기타, 육류, 채소류 순이었다.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학생은 $8.7\%$, 흡연율은 $28.6\%$였다. 특히 식생활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간식 섭취율로, 과거보다 간식을 통한 열량 섭취가 많아졌으며 자택거주 학생보다 가공식품, 편의식품을 이용할 기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 점수는 평균 $59.9\pm11.0$으로 남학생(60.6 $60.6\pm10.9$점)이 여학생($57.7\pm11.4$점)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거주기 간이 길수록 식습관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영양지식 점수는 전체평균 $7.8\pm1.8$점으로 남자 $7.6\pm1.8$점, 여자 $8.5\pm1.3$점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성별, 거주기간, 용돈으로 나타났다(p<0.01). 영양지식 점수가 높으면 식습관 점수도 좋은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오히려 식습관 점수가 높은 남학생의 영양지식 점수가 여학생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유의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영양지식이 실생활로 실천이잘 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루 평균 2회 이상 기숙사 급식소를 이용하는 학생은 전체의 $82.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선되어야할 항목으로는 음식의 품질과 메뉴의 다양성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숙사에서는 영양교육과 식사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앞으로 기숙사 급식에 의존하는 학생들이 많아질 것을 감안할 때 학생 스스로가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숙사 자체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동기를 부여하고 학생들이 피드백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일 지역 대학생의 피로와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tigue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mong a rural college students)

  • 장희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77-492
    • /
    • 1999
  • The disease patterns among the Korean was shifted from acute and infectious diseases to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the these disease patterns trends, people have concerned about the health promotion and health behaviors. Pender's(1996) revised health promotion model(HPM) is consist of three categori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Behavior-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behavioral outcome. Of these categori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this category of variables is considered to be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personal factors, especially, individual fatigue. Futhermore. these variables constitute a critical core for nursing intervention, as they are subject to modification through nursing actions. But there is no few th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igue and health promo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igue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mong a rural college students. Additionally,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 of demographic factors and fatigu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From June 20 to 26, 1998, a convenience sample of 270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f the fatigue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which were developed by the Yoshitake(1978) and Walker, et al.(1987), respectively. The descriptive correlational statistics, mean, t-test, ANON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with SAS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it follows: 1. The average fatigue score of the subjects was $64.93{\pm}12.89$. Fatigue scores by subcategory were physical symptoms($23.5{\pm}4.87$). psychological symptoms($22.11{\pm}4.66$) and neuro-sensory symptoms($19.32{\pm}5.14$). With the respect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mographic factors and fatigue, especially, sex(t==3.69 p<0.01), major(t=-2.89 p<0.01). the experience of family illness(t=2.76 p<0.01). 2. The averag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item score of the subjects was $2.33{\pm}0.33$.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self-actualization(2.94), following interpersonal support(2.81). stress management(2.33), exercise(2.20), nutrition(2.10), and the lowest degree was health responsibility(1.73).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learning of health education(t=2.00 p<0.01). religion(F=3.01, p<0.05), circle activity(t=2.07, p<0.05), nutrition control(t=5.25, p<0.01) of demographical factors with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igue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made statistically no significance(r=-0.09731, p>0.05). But there was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nd psychological symptom as a fatigue subcategory(r=-0.15721, p<0.05). The self-actualization showed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fatigue subcategory. The health responsibilit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otal fatigue(r=0.13050. p<0.05). For further research, it suggests to replicate the correlational and causal study between the fatigue and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using the another fatigue scale which is able to measure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fatigue degree. And it needs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maintaining and promoting the health behavior as well as for decreasing the college students's fatig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