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utrition attribute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초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삼계탕 간편가정식의 선택속성 분석: 싱가포르 시장을 중심으로 (Evaluating Choice Attributes of Korean Ginseng Chicken Soup as a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 Using Conjoint Analysis: A Case Study of Singapore Market)

  • 김은미;안지애;이호진;이민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09-618
    • /
    • 2016
  • 목적: 세계 식품시장에서 한식과 편이식에 대한 니즈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싱가포르 시장은 한식을 이용한 간편가정식(HMR)의 잠재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다양한 한식 메뉴 중에서도 특히 삼계탕은 싱가포르 소비자의 선호도가 매우 높아 본 연구에서는 컨조인트 분석을 적용하여 삼계탕 HMR 선택 속성의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2년 4월 싱가포르 현지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설문을 완료한 324명(81.0%)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삼계탕 HMR을 구매하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는 포장(32.4%)이었고, 닭의 형태(32.1%), 찹쌀 포함 여부(13.8%), 삼계탕의 풍미(11.6%)와 인삼(10.0%)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제시된 16개 프로파일 중 제품 코드 J의 닭 반마리, 찹쌀 포함, 인삼 전체 한 뿌리 포함된 형태, 간장 육수, 그리고 제품이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투명한 포장형태로 구성된 제품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초이스 시물레이션 분석을 통해, 싱가포르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삼계탕 HMR이 출시될 경우 예상되는 시장 점유율은 50.4%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조사 결과는 외국인 소비자의 보다 세분화된 니즈를 반영한 한식 상품을 개발하는데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식품 산업적으로도 소비자 기호를 반영한 상품을 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향후 한식 간편 가정식 개발이 더욱 활성화 됨에 따라, 한식 세계화에 따른 한식의 소비 확대에 보다 실제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위탁급식전문업체 사업체 급식소의 음식 맛 및 메뉴 관련 세부 개선 속성의 규명을 위한 탐색적 사례연구 (Exploratory Case Study for Identifying Detail Attributes on the Food Taste & the Menu in Office Foodservice of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 박옥진;박문경;양일선;이민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4호
    • /
    • pp.467-475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exploratory study were to a) verify the first image remember percentage about foodservice and the desire to eat, b) identify detail attributes on the 'food taste' and 'menu variety',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the foodservice, c) decide the ranking for improvement of the identified detail attributes, and d) applicate from customer feedback to foodservice operation in the B&I(business & industry) foodservice. For the more reliable result, customer opinion was collect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uch as open-end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 was followed as : the firstly, the operation circumstance was total 6,700 meal number a day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3 types of meal was served. The secondly, the average usage a week was the 7.4 times(B foodservice(B1F)) and the 1.8 times(A foodservice(3F)), respectively. Using reasons of foodservice were 'broad extent', 'menu type', 'shifting convenience' and etc on B foodservice(B1F) and 'menu type', 'clean space' and etc on A foodservice(3F), but the disadvantages of both foodservice were 'complication on peak time', 'the decline of food taste', and 'the absence of menu variety'. 'The decline of food taste' and 'the absence of menu variety' were pointed out the problem asked immediate improvement. The thirdly, it was examined that the first remember about foodservice were 'menu type' and 'foodservice environment' on A foodservice(3F) and 'foodservice environment(atmosphere)' on B foodservice(B1F). The last result, the detail attributes about food taste were ranked respectively 'a salt taste', 'balance of 5 taste at a meal', 'taste of food characteristic' and the unsatisfaction attributes about menu variety were ranked respectively 'serving frequently a same menu', 'the absence of various taste', 'using frequently a same cooking preparation'.

  • PDF

한국산 적포도주의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I) (A Study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 이장은;홍희도;최희돈;신용섭;원유동;김성수;고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41-848
    • /
    • 2003
  • 국내산 포도품종을 이용하여 G(거봉100%), M(머루100%), C(캠벨100%), GM(거봉70%+캠벨30%), GC(거봉70%+캠벨30%) 포도주를 제조하여 프랑스산 적포도주 (Cabernet Sauvignon, 1998)와 함께 색도, 향기성분, 맛, 종합평가에 관한 선호도를 순위법(ranking test)으로 측정하고, 분석적 관능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C(캠벨)는 4.76으로 색도면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GM(거봉+머루)이 3.94, F(프랑스)가 4.67, M(머루)이 3.70, GC(거봉+캠벨)가 2.65, G(거봉)가 1.47로 높은 선호도 순서를 보였다(p<0.001). 향기성분의 평가에서는 M이 3.94, C가 3.76, GM이 4.12, F가 3.76으로 이들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3.12를 얻은 GC와, 2.29를 얻은 C는 이들보다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p<0.01). 맛의 평가에서는 4.75를 얻은 F와, 4.25를 얻은 C에 이어, GM이 3.37, GC가 3.50, G가 2.75, M이 2.37로 높은 선호도 순서를 보였다(p<0.001). 색도, 향기성분, 맛을 바탕으로 한 전체적인 종합 평가에서는 F가 4.81, C가 4.06, GM이 3.87로 각각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3.64를 얻은 GC, 2.37을 얻은 G, 2.44를 얻은 M의 순이었다(p<0.001). 전체적인 종합평가에 가장 높은 영향을 준 인자는 맛 항목으로 69.2%를 설명할 수 있었다. 다음은 색도와 향기성분 순이었으며, 이들 세 항목으로 포도주의전체적 종합평가를 74.4% 설명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purple과 red color는 색의 선호도를 각각 28.9%, 8.5% 설명할 수 있었으며, grape flavor는 향기성분에 관한 선호도를 14.4% 설명할 수 있었고 sweet, acid, bitter, salty taste들은 맛의 선호도를 17.3% 설명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 결과 purple과 red 항목은 각각 grape taste, floral taste와 그리고 grape, oak, flavor들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grape flavor는 floral flavor, grape taste, floral taste들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001), $SO_2$향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Sweet taste는 grape, floral flavor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p<0.001), bitter, astringency taste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p<0.01), sweet taste가 강할수록 바람직한 향기성분과 맛의 강도가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또한 이들 항목의 점수가 높을수록 선호도도 높이 평가되어 sweet taste, grape, floral flavor와 bitter, astringency taste의 조화는 적포도주의 관능적인 면에서 중요한 요소들임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성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생활습관에 따른 식생활지침 인식수준 (Perception to the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 윤예진;김수현;정효지;안서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6호
    • /
    • pp.742-755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인식 수준이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지도는 연령이 높고 (50-64세), 거주형태가 1인 가구이며, 신체활동 수준이 활동적이고, 외식빈도가 적고, 식생활 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은 참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식생활지침에 대한 이해도는 여성, 젊은 연령 (19-29세), 저체중/정상체중, 현재 비흡연자, 스스로의 식사의 질을 건강하다고 평가한 참여자, 식생활 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은 참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식생활지침의 활용가능도는 연령이 높고 (50-64세), 신체활동 수준이 활동적이고, 스스로의 식사의 질을 건강하다고 평가했으며, 식생활 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은 참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참여자가 대부분의 영양소와 식품군을 더 중요하다고 평가했으며, 인식 수준에 상관없이 가공육류 및 기타 가공식품류, 음료류, 주류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선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및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추후 식생활지침을 개정할 때에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 트랜드를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