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dynamics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4초

Species Alterations Caused by Nitrogen and Carbon Addition in Nutrient-deficient Municipal Waste Landfills

  • Kim, Kee-D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61-170
    • /
    • 2007
  • The ultimate target of restoring waste landfills is revegetation.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ncreasing species richness and biomass in nutrient limited waste landfills is the use of fertilizer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and the addition of carbon through sawdust, sucrose and litter, on vegetation dynamics at a representative municipal waste landfill in South Korea: Kyongseodong. A total of 288 permanent plots $(0.25m^2)$ were established and treated with nitrogen fertilizer (5, 10 and $20Ng/m^2$), sawdust $(289g/m^2)$ sucrose $(222g/m^2)$ and litter $(222g/m^2)$. The aboveground biomass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nitrogen fertilizer at 5 and $10Ng/m^2$,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s. The total cover of all plant species increased significantly on plots treated with 5 and $20Ng/m^2$, as well as on those treated with sawdust and sucrose,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s. The higher species richness after nitrogen fertilization of 10 to $20Ng/m^2$, and the sawdust and sucrose treatment demonstrated that this was an appropriate restoration option for nutrient deficient waste landfills. This study demonstrated positive nutrient impacts on plant biomass and species richness, despite the fact that municipal waste landfills are ecosystems that are highly disturbed by anthropogenic and internal factors (landfill gas and leachate). Adequate N and C combined treatments will accelerate species succession (higher species richness and perennial increase) for restoration of waste landfills.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me in Forestry Research Institute, Korea

  • Oh, Jeong-Soo;Shin, Joon-Hwan;Lim, Jong-Hw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31-134
    • /
    • 2000
  • Forest vegetation in Kor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warm temperate, cool temperate and frigid forest zone. The cool temperate forest zone of them occupies the larg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 is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subdivisions such as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subzone. The Forestry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thre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s at Kwangnung Experiment Forest in the central subzone of the cool temperate forest zone, at the Mt. Kyebangsan Forest in the northern subzone of the cool temperate forest zone. and at the Mt. Keumsan Forest in the warm temperate forest zone. The objectives of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in the Forestry Research Institute, Korea are to study long-term changes of the forest ecosystems in energy fluxes, water and nutrient cycling, forest stand structure, biological diversity, to quantify nutrient budgets and fluxes among forest ecosystem compartments and to integrate ecological data with a GIS - assisted model. To achieve the objectives, forest stand dynamics. environmental changes in soil properties, stream water quality, nutrient cycling, air pollution and biological diversity have been investigated and plant phonology as an indicator of climate change has been monitored in the LTER sites.

  • PDF

계방산 장기생태조사지의 낙엽 생산량 및 낙엽 분해에 따른 양분 동태 (Nutrient Dynamics in Decomposing Leaf Litter and Litter Production at th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in Mt. Gyebangsan)

  • 이임균;임종환;김춘식;김영걸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85-591
    • /
    • 2006
  • 본 연구는 온대 북부지역에 속하는 강원도 계방산의 천연 활엽수림에 위치한 장기생태연구(LTER) 조사지를 대상으로 3년 동안 연간 낙엽 낙지 유입량과 낙엽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낙엽낙지량은 채취 시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던 반면, 연도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년 간의 전체 연평균 낙엽 낙지량은 6,593 kg $ha^{-1}$ $yr^{-1}$ 이었으며, 그 중 잎이 차지하는 비율은 82.6% 이었다. 수종별 유입량은 본 조사지의 우점종인 신갈나무 잎이 가장 많은 양을 보였으며, 기타수종의 잎, 박달나무 잎, 음나무 잎, 당단풍나무 잎 등의 순이었다. 낙엽 분해율은 층층나무와 당단풍나무, 음나무, 그리고 박달나무 낙엽이 신갈나무 낙엽에 비해 분해 속도가 빨라 1,003일간의 조사 기간 동안 층층나무 낙엽 100%, 당단풍나무 낙엽 96.1 %, 음나무 낙엽 92.8%, 박달나무 낙엽 81.4%, 그리고 신갈나무 낙엽 66.2%가 분해되었다.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가 느리게 진행된 것은 다른 수종의 낙엽에 비해 신갈나무 낙엽 내 낮은 양분 함량 같은 기질의 차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칼륨과 마그네슘을 제외한 양분(N, P, Ca) 함량은 분해 초기 함량에 비해 낙엽 분해 과정 동안 증가하였다. 또한 낙엽 분해과정 동안 양분(N, P, K Ca, Mg)의 방출량은 층층나무, 당단풍나무, 음나무 등의 낙엽이 신갈나무 낙엽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계방산 장기생태조사지 내 우점종의 낙엽 분해와 양분의 동태는 동일한 입지에 있어서도 수종간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시기는 약 6,500 yr BP이후인 것으로 추정된다.균 군집 구조는 $CO_2$ 농도보다는 납 오염 여부에 의해 더 민감하게 특성화됨을 의미한다.로 형태가 유사한 해발 500$\sim$600 m 구간에서 가장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특히 이 구간내 탐방로 상에서 멸종 위기 야생동물 II인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배설물이 집중적으로 관찰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연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선전영화 제작을 위한 영화사를 별도로 설립했다. 1942년부터 1945년 사이에 는 조선총독부의 조종을 받는 한개 영화사만이 존재해 선전영화만을 제작했다.(25.0%), bla$_{SHV}$, bla$_{CTX-M}$ 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가 10주(27.8%)로 나타나 bla$_{CTX-M}$을 포함하는 복합유전자가 많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TX-M형 ESBL을 생성하는 E. coli와 K. pneumoniae에 대한 cefutaxime의 MIC는 256 $\mu$g/m1 이상으로 ceftazidime의 16-256 $\mu$g/mL 이상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다. 즉, CTX-M형 ESBL 유전자를 지닌 균주에 대한 cefotaxim의 MIC는 ceftazidime의 MIC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의 대학병원 뿐 만 아니라 일반종합병원에서도 CTX-M형 ESBL 생성 E. coli와 K. pneumoniae가 존재하며 확산 중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CTX-M형

한반도 동해남부연안에 자생하는 말잘피, 게바다말의 생장 특성 (Growth Dynamics of the Surfgrass, Phyllospadix Japonicus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박정임;김재훈;김종협;김명숙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4호
    • /
    • pp.548-561
    • /
    • 2019
  • 말잘피 게바다말은 우리나라 동해안의 암반조하대에 우점하는 잘피로, 이 곳 연안생태계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심한 파도에 노출된 거친 생육 환경으로 인해 지금까지 게바다말의 생태 자료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조사에서는 동해남부해역에 서식하는 게바다말의 생태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17년 8월부터 2018년 7월까지 게바다말 군락지의 환경과 게바다말의 형태적 특성, 밀도, 생체량과 잎 생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중광량과 수온은 봄과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과 겨울에 감소하는 뚜렷한 계절 경향을 보였다. 해수의 영양염 농도는 조사 시기마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뚜렷한 계절 변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게바다말의 형태, 밀도, 생체량과 잎 생산성도 가을에 감소하고 봄에 증가하였다. 게바다말의 육수화서는 2월 이후 나타났고, 5월에 최대 비율(15.8%)을 보인 후 8월 이후 탈락되었다. 게바다말의 개체당 및 단위면적당 평균 잎 생산성은 각각 2.1 mg sht-1 d-1과 7.5 g m-2 d-1이었다. 게바다말의 생장이 가장 활발한 수온은 13-14℃로 조사되었다. 게바다말의 잎 생산성은 수중광량, 수온, 영양염 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이 지역이 게바다말 생장에 필요한 충분한 빛, 적절한 수온 범위와 영양염 농도를 제공함을 의미한다.

Atmospheric Deposition of Pine Pollen in Canada and Korea

  • Lee, Eun-Ju;Cho, Yong-Joo;Thomas Booth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77-80
    • /
    • 2001
  • In many temperate forest ecosystems, large quantities of pine pollen are deposited over a short period in early summer (Doskey and Ugoagwu 1989). Because pollen grains decompose rapidly and have macronutrient concentrations, the pollen rain may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nutrient dynamics in natural terrestrial and aquatic ecosystems (Stark 1972).(omitted)

  • PDF

한국형 광역친환경 논 농업단지 토양의 시기별 양분 분석 (Seasonal Nutrient Analysis of Paddy Soils in Korean Type of Large 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

  • 최현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73-386
    • /
    • 2017
  • 본 시험은 전국의 광역친환경 농업단지 중에서 모범적으로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3곳(장흥, 순천, 옥천)의 벼 농가를 대상으로 시기별로 양분 분석을 하였다. 장흥지역 농가만이 경축자원 순환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광역친환경 벼 농업단지의 3~9월 사이의 시기별 토양 pH는 5.5~6.7의 분포를 보였고, EC는 $0.4{\sim}1.0dS\;m^{-1}$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토양 전질소는 순천 농가에서 높았고 칼륨은 옥천 농가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시기별 토양 암모늄태 질소는 봄철 비료 시용으로 6월 전후에 상승하였고, 장흥 농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이후 크게 감소하였다. 수량과 수확지수가 가장 높았던 옥천 농가에서 ha당 연간 조수입이 다른 농가보다 세배 가까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비교적 많은 비료를 투입한 옥천 농가에서 시기별 양분수지가 높았고, 순천 농가의 ha당 칼륨 수지는 9월에 약 -60 kg까지 관찰되어 칼륨 결핍에 따른 생산성 저하에 일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시기별 전질소와 인산수지는 장흥 농가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벼 낟알의 질소이용효율도 가장 높아서 광역친환경 농업단지의 추천할 만한 사례 농가로 평가되었다.

임분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Carpinus cordata) 유목의 양분 이용 특성 (Nutrient Use Strategy of Carpinus cordata Sap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Forest Stand Conditions)

  • 권보람;허남준;신호용;김현석;박필선;이명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8-196
    • /
    • 2014
  • 경기도 광릉의 국립수목원 내의 토양과 빛 환경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자원의 획득과 이용 및 분배를 이해하기 위하여, 잎의 질소와 인 농도의 계절 변화와 재전류, 엽록소와 LMA를 조사하였다. 엽면적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낙엽활엽수림은 유입되는 광량이 많았고, 전반적인 토양 양분의 수준이 양호하였으나, 유효인산의 농도는 전나무림의 1/3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경우, 잎의 인 농도가 전나무림의 까치박달 보다 연중 낮았고, 재전류율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 내 질소 농도는 상대적으로 낙엽활엽수림에서 높았으나, 계절별 잎의 질소농도와 질소의 재전류율은 임분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빛의 유입이 적은 전나무림에서는 까치박달의 LMA와 엽면적당 질소 분배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엽록소 a/b율은 낮고, 총 엽록소 함량은 높여 질소에 대한 엽록소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임분 조건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이 주어진 토양과 빛 환경에 순응하여 양분의 동태와 분배의 전략적 차이를 달리하여 생육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춘계 진해만에서 식물플랑크톤 증식과 제한영양염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and nutrient limitation during spring season in Jinhae Bay)

  • 손문호;김동선;백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45-3350
    • /
    • 2014
  • 춘계 진해만에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염 농도 및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총 23개 정점에서 2010과 2011년에 현장조사를 수행하였고, 지리지형학 특성과 오염물 부하를 고려하여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진해만 광역해역에서 해역별 영양염 제한은 해수 순환이 원활한 중앙해역인 구역 II에서 80% 이상으로 가장 높게, 다음으로 서남해역의 구역 III과 IV에서는 17%-83%의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마산만 인근의 반폐쇄적인 구역 I에서는 35% 이하로 낮게 관찰되었다. 연도별 영양염 공급원으로는 2010년에는 오 폐수 등에 의한 질소기원 영양염의 유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2011년에는 강우에 의한 담수유입에 의하여 해역의 저염분화와 더불어 질소, 규소, 인 계열의 영양염이 동시에 유입되었다. 특히 2010년에는 질소계열의 영양염과 규조류(Pseudo-nitzchia spp.)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2011년에는 모든 영양염과 규조류 (Leptocylindrus danicus)와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춘계 진해만에 유입되는 질소 계열의 영양염은 규조류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들의 빠른 영양염 섭취(uptake)로 인하여 해역에 따라서 영양염 절대농도 뿐 만 아니라, 영양염 구성성분비의 제한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Spatio-temporal Fluctuations of Size-structured Phytoplankton over an Annual Cycle in the Youngsan Lake

  • Song, Eun-Sook;Shin, Yong-Sik
    • 생태와환경
    • /
    • 제41권4호
    • /
    • pp.530-540
    • /
    • 2008
  •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ize-structured phytoplankton dynamics in Youngsan Lake were investigated to explore potential mechanims controlling the dynamics in the Youngsan Lake. Field data were collected monthly from February to October, 2003 at 6 stations along the axis of Youngsan Lake. In this study, phytoplankton (chlorophyll $\alpha$)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ize classes: micro-size ($>20{\mu}m$), nano-size ($2{\sim}20{\mu}m$) and pico-size ($<20{\mu}m$). Water temperature, light attenuation coefficients, 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nd suspended solids were measure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chemical properties and size structure of phytoplankton. Phytoplankton blooms developed during March, July and October in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stem whereas small-scaled spring bloom was observed in the lower region. The scales of phytoplankton blooms were higher in the upper regions than the lower region and blooms were predominated by micro-size class in upper region but predominated by nano-size class in lower region. Growth of size-structured phytoplankton appeared to be controlled by rather light availability than temperature-dependant metabolisms in the system. Phytoplankton growth may be also supported by ambient nutrients available in the water column from analyses of chlorophyll $\alpha$ vs. nutrient concentrations including nitrite+nitrate and orthophosphate. Growth of nano-sized phytoplankton alone appeared to be supported by orthophosphate as well as nitrite+nitrate indicating that response of phytoplankton to nutrient inputs may be size-dependent.

Weight Loss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mongolica in Mt. Worak National Park

  • Mun, Hyeong-T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123-127
    • /
    • 2009
  • Weight loss and nutrient dynamics of Quercus mongolica leaf litter during de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from December 2005 through August 2008 in Mt. Worak National Park as a part of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 in Korea. The decay constant (k) of Q. mongolica litter was 0.26. After 33 months decomposition, remaining weight of Q. mongolica litter was 49.3$\pm$4.4%. Initial C/N and C/P ratios of Q. mongolica litter were 43.3 and 2,032, respectively. C/N ratio in decomposing litter decreased rapidly from the beginning to nine months decomposition, and then showed more or less constant. C/P ratio increased to 2,407 after three months decomposition, and then decreased steadily thereafter. N and P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decomposition. N immobilization occurred from the beginning through 18 months decomposition, and mineralization occurred afterwards in decomposing litter. P immobilized significantly from fifteen months during decomposition. K concentration decreased rapidly from the beginning to six months decomposition. However it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during later stage of decomposition. Remaining K decreased rapidly during early stage of decomposition. There was no net K immobilization. Ca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to twelve months decomposition, and then decreased rapidly till twenty one months elapsed. However, it increased again thereafter. Ca mineralization occurred from fifteen months. Mg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decomposition. There was no Mg immobilization during litter decomposition. After 33 months decomposition, remaining N, P, K, Ca and Mg in Q. mongolica litter were 79.2, 110.9, 36.2, 52.7 and 74.4%,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