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ber of nodes

검색결과 2,153건 처리시간 0.039초

Pandemic Influenza A/H1N1 Viral Pneumonia without Co-Infection in Korea: Chest CT Findings

  • Son, Jun-Seong;Kim, Yee-Hyung;Lee, Young-Kyung;Park, So-Young;Choi, Cheon-Woong;Park, Myung-Jae;Yoo, Jee-Hong;Kang, Hong-Mo;Lee, Jong-Hoo;Park, Bo-Ra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397-404
    • /
    • 2011
  • Background: To evaluate chest CT findings of pandemic influenza A/H1N1 pneumonia without co-infection. Methods: Among 56 patients diagnosed with pandemic influenza A/H1N1 pneumonia, chest CT was obtained in 22 between October 2009 and Februrary 2010. Since two patients were co-infected with bacteria, the other twenty were evaluated. Predominant parenchymal patterns were categorized into consolidation, ground glass opacity (GGO), and mixed patterns. Distribution of parenchymal abnormalities was assessed. Results: Median age was 46.5 years. The CURB-65 score, which is the scoring system for severity of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had a median of 1. Median duration of symptoms was 3 days. All had abnormal chest x-ray findings. The median number of days after the hospital visit that Chest CT was performed was 1. The reasons for chest CT performance were radiographic findings unusual for pneumonia (n=13) and unexplained dyspnea (n=7). GGO was the most predominant pattern on CT (n=13, 65.0%). Parenchymal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both lungs in 13 cases and were more extensive in the lower lung zone than the upper. Central and peripheral distributions were identified in ten and nine cases, respectively. One showed diffuse distribution. Peribronchial wall thickening was found in 16 cases. Centrilobular branching nodules (n=7), interlobular septal thickening (n=4), atelectasis (n=1), pleural effusion (n=5), enlarged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n=6 and n=7) were also noted. Conclusion: Patchy and bilateral GGO along bronchi with predominant involvement of lower lungs are the most common chest CT findings of pandemic influenza A/H1N1 pneumonia.

IgA 항체합성에 대한 초유함유 TGF-${\beta}$ 와 bifidobacteria의 영향 평가

  • 김평현;고준수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1년도 임시총회 및 제28차 추계학술발표회
    • /
    • pp.43-56
    • /
    • 2001
  • Colostrum contains various kinds of cytokines including TGF-${\beta}$ which is known to be multifunctional in immune response and act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First, we measured the amount of TGF-${\beta}$ in bovine and human colostrum. Expression pattern of TGF-${\beta}$ isotypes was dramatically different between human and bovine colostrial samples. Bovine colostrum collected on day 1 post-delivery retained $41.79{\pm}16.96ng/ml$ of TGF-${\beta}$ 1 and $108.4{\pm}78.65ng/ml$ of TGF-${\beta}$ 2 while in human, $284{\pm}124.75ng/ml$ of TGF-${\beta}$ 1 and $29.75{\pm}6.73ng/ml$ of TGF-${\beta}$ 2. Thus, TGF-${\beta}$ is the predominant TGF-${\beta}$ isotype in bovine colostrum and vice versa in human colostrum. Both TGF-${\beta}$ isotypes diminished significantly in human and bovine colostrum with time. Next, biological activity of colostrial samples was examined in vitro. Both human and bovine colostrum increased IgA synthesis by LPS-activated mouse spleen B cells, which is a typical effect of TGF-${\beta}$ on the mouse B cell differentiation. Futhermore, we found that anti-proliferative activity in MV1LU cells by colostrum samples disappeared by addition of anti-TGF-${\beta}$ 1 and anti-TGF-${\beta}$ 2 antibody. In conclusion, there are substantial amounts of biologically active TGF-${\beta}$ 1 and TGF-${\beta}$ 2 in bovine and human colostrum. The results that the colostrum can increase IgA express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since IgA is the major Ig class produc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the stimulatory effect of Bifidobacteria bifidum on spllen B cells was quite similar to that of LPS which is a well-known polyclonal activator for murine B cells. In the present study, we further asked whether B. bifidum regulate the synthesis of IgA by mucosal lymphoid cells present in Peyers patches (PP) and mesenteric lymph nodes (MLN). B. bifidum alone, but not C. perfringens, significantly induced overall IgA and IgM synthesis by both MLN and PP cells. This observation indicates that B. bifidum possesses a modulatory effect on the mucosal antibody production in vivo.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mucosal antibody prodduction following peroral administration of B. bifidum to mice. Ingested B. bifidu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s of Ig (IgM, IgG, and IgA) secreting cells in the culture of both MLN and spleen cells, indicating that peroally introduced B. bifidum enhances mucosal and systemic antibody response. Importantly, however, B. bifidum itself does not induce the own specific antibody responses, implying that B. bifidum do not incite any unwanted immune reaction. Subsequently, it was found that excapsulation of B. bifidum further augments the total IgA productio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gA-secreting cells in the culture of both MLN and spleen cells. Finally, we found that the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B. bifidum is due to its cell wall components but not due to any actively secreting component(s) from bacteria. Thus our data reveal that peroral administration of B. bifidum can enhance intestinal IgA production and that encapsulation of B. bifidum further reinforces the IgA production.

  • PDF

Diniconazol의 처리 시기 및 농도가 토마토 묘의 도장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niconazol Treatment on the Inhibition of Over-Growth of Tomato Seedlings)

  • 선은선;강호민;김영식;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1-407
    • /
    • 2009
  • 본 연구는 토마토의 도장 억제를 위하여 보다 안정적인 건묘를 생산하고자 육묘 기간 중 diniconazol 처리시기 처리농도에 따른 경엽처리와 침지 시간에 따른 종자처리가 묘 도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정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Diniconazol 처리시기 및 처리농도에 따른 토마토의 초장 신장을 본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로 초장의 신장과 절간장 억제가 잘 나타났다. 이는 이른 시기가 늦은 시기보다 식물체가 받는 약제의 양이 더 많기 때문에 약제 효과가 잘 나타났다. 1단계는 4절, 2단계, 3단계는 각각 3절, 2절로 억제된 절간수가 줄어들었다. 약제 지속성이 초장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1단계, 2단계 $5mg{\cdot}L^{-1}$은 약제 처리 후 초장의 신장억제가 나타났으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빨리 회복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초장 신장 억제 기간이 짧았고 빠른 회복을 보였다. 1단계는 5주, 2단계, 3단계는 각각 4주정도 약제 지속효과가 나타났다. 육묘 종료 후 정식한 결과 생체량이 빨리 증가 되어 생육에는 무처리와 유의차가 없었다.

식물생장조절자의 처리가 모시풀의 생육 및 섬유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bberellin and Atonic Acid on Growth and Fiber Yield of Ramie Plant)

  • 정동희;김상곤;권병선;황종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3-218
    • /
    • 1993
  • 모시풀의 생장촉진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적정 살포시기, 회수 및 농도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시풀의 생장점에 Gibberellin을 살포하면 줄기의 신장에 효과가 켰으며 경장 50cm 때의 1회 살포에 비하여 경장 50및 100cm때의 2회, 50, 100 및 150cm 때의 3회로 살포회수가 많을수록 그 신장도가 켰으며 생육초기보다 후기살포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2. Gibberellin 농도는 50ppm 보다는 100~300ppm액 살포에서 줄기의 신장이 뚜렷하였으며, 이는 절간장의 신장에서 연유되었고, 절수의 증가는 거의 없었다. 3. 어느 농도에서나 1회 살포의 경우는 엽의 생장도 다소 좋아지는 경향이나, 2회, 3회로 살포회수가 많고 농도가 높을수록 오히려 엽의 생장에 저해를 받는듯 하였다. 4. 섬유수량은 Gibberellin 100ppm 3회 살포의 경우 가장 다수였으며 섬유비율에 있어서도 무처리구의 4.6%에 비하여 5.3%로서 가장 높았다. 5. Atonic은 모시풀의 줄기신장 효과가 Gibberellin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생장조절제 처리는 모시풀의 인피섬유의 발달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센터필라 적용을 위한 이종 접합강의 충격 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Impact Characteristics of Bonded Dissimilar Materials for Center Pillar)

  • 남기우;박상현;유정수;이상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8호
    • /
    • pp.929-93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TWB로 용접된 이종재료의 동적 특성에 대한 해석이 수행되었다. 해석프로그램은 Hyper works 10.0으로 Solver는 LS-DYNA v.971, 모델링 요소는 2D-Shell, 요소 수는 35,641개, 노드 수는 36,561개이다. 충격속도는 10 km/h이다. 상 하부의 용접선 높이에 따르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하부의 길이를 300 mm와 400 mm로 하였다.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길이 300 mm인 하부 재료 SPFC980의 변형은 가장 작고, 충돌 흡수 에너지는 가장 크다. 하부 냉연강 기준으로 TWB의 위치가 짧을수록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즉, 상대적으로 상부 고강도강인 SABC1470 재료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성능이 좌우되었다. 하부 재료 SPFH590은 큰 변형이 나타났고, 충돌성능은 SPFC980보다 현저히 떨어졌다. 따라서 충돌 성능 해석 결과에서 하부 재료 SPFC980인 길이 300 mm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부 위암에서 유문보존 근위부 위아전절제술과 공장간치술을 시행한 위전절제술의 비교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vs. Total Gastrectomy with Jejunal Interposition for Proximal Gastric Adenocarcinomas)

  • 노승무;정현용;이병석;조준식;신경숙;송규상;이태용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3호
    • /
    • pp.145-150
    • /
    • 200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term outcome of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by comparing it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after a total gastrectomy in proximal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or 22 patients (12 men and 10 women) who underwent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several clin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993 and December 1999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5 patients (17 men and 8 women) who underwent an isoperistaltic simple jejunal interposition. Results: The average operative time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group (220 minutes) was shorter than that in the jejunal interposition group (243 minutes) (P<0.05). The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group at 2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 body weight ratio (postoperative body weight/preoparative body weight) in patients who had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at 2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 jejunal interposition procedure had better outcomes in anastomotic site stricture,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number of removed lymph nodes (P<0.05). Conclusions: We think that from the viewpoint of quality of life,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as well as a jejunal interposition, is a useful reconstruction method for early adenocarcinomas of the proximal stomach. However, stricture of the esophagogastrostomy site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is a common problem to be solved in the future.

  • PDF

대맥절간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Internode)

  • 김봉구;조장환;김기준;이동진;양승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2-166
    • /
    • 1986
  • 피맥5품종, 과맥5품종 및 맥주맥5품종 등 15품종을 공시하여 대맥절간의 조직형태와 외부형태의 품종간 차리 및 형질들간의 상호관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한 시험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상위절간장(상위로부터 1∼3절간)은 맥주맥>피맥>과맥의 순으로 길었으며, 하위절간장 (상위로부터 4∼5절간)은 과맥>피맥>맥주맥의 순으로 길었다. 2. 절간의 굵기는 과맥>피맥>맥주맥의 순으로 굵었고, 올보리, 세도하다가, 무안보리 및 광성이 굵은 경향이었다. 3. 간벽 두께는 상위절간(과맥>피맥>맥주맥), 하위절간(피맥>맥주맥>과맥)의 순으로 두꺼웠다. 4. 상위 제 1절간의 대유관속수는 피맥품종들이 과맥과 맥주맥품종들 보다 많았다. 5. 대유관동 크기는 피맥과 과맥품종들이 맥주맥품종들 보다 큰 경향 이었다. 6. 대유관동 크기와 간벽 두께 및 절간의 굵기와는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냈고, 간벽 두께와 절간장 및 간장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간벽 두께와 절간 굵기와는 유의한 정의 산관을 보였다.

  • PDF

후천성 면역 결핍 바이러스와 연관된 위장관 카포시 육종: 증례 보고 (Human Immunodeficiency Virus-Associated Gastrointestinal Kaposi's Sarcoma: A Case Report )

  • 임희중;박소현;최승준;박수영;이희영;정준원;정동해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260-1265
    • /
    • 2020
  • 카포시 육종은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이하 AIDS)와 연관되어, 피부, 점막과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다발성의 혈관성 결절로 나타나는 신생물을 일컫는다. AIDS와 연관되어 생기는 위장관 카포시 육종은 내장에 파종성 질환으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우리는 다양한 장기를 침범하여 복통과 함께 장관 내 출혈을 유발한 드문 카포시 육종의 영상 소견에 대해 보고한다. 회장 대장내시경을 통해 말단 회장, S자 결장, 직장 내 다양한 병변이 발견되었으며 소장 투시검사로 공장과 회장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부 골반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회장 내 조영증강된 다양한 납작한 병변과 복강 내 크기가 커진 림프절을 발견하였다. 조직병리학 검사에서 카포시 육종으로 최종 진단이 된 환자는 항레트로바이러스제로 치료를 시행 받았다. 최근 AIDS 환자의 수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AIDS와 연관된 Kaposi's sarcoma의 영상학적 소견을 숙지하는 것은 영상의학과 의사를 비롯한 임상의사들에게 빠른 진단과 치료뿐만이 아니라 예상치 못한 AIDS의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의료진의 안전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품종 및 파종기이동이 대두의 수량형질과 단백질 및 유지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eties and Seeding Dates on the Yield Components, Protein and Oil Content in Soybean)

  • 박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77-83
    • /
    • 1974
  • 1. 경장 경경 주경절수는 5월 15일 파종에서 파종후 70일경에 거의 완성되었으며 파종시기가 20일 40일로 지연되므로서 완성에 이르는 시기가 10, 20일식 빨랐고 품종간에서는 충북백이 가장 빨랐다. 2. 협수는 5월 15일 파종에서 가장 많았고 분지협이 주경협보다 많았으며 6월 25일파에서는 주경협이 많았다. 분지협에서는 공협과 1입중간에서 충북백은 2,3입협율이 높았고 김두와 장단백일은 1,2입협율이 높았으며 익산은 1,3입협율이 높았다. 3. 주경절위별 착입수가 3-4절에서 가장 많았고 9-10절이 다음으로 많았다. 4. 만파에서는 수량이 떨어지며 5월 15일파에 비하여 6월 5일파와 6월 25일파의 감수율은 충북백 6% 14% 익산 9% 17% 김두 15% 26% 장단백일 18% 27%였다. 5. 단백질함량은 5월 15일 파종한 것이 가장 높았고 유지함량은 6월 25일 파종한 것이 높았으며 품종간에서 단백질은 장단백일이 유지는 익산이 가장 높았다.

  • PDF

파종량, 유기질 비료 시용량 및 수확시기에 따른 케나프의 수량 및 사료가치 (Effects of Seeding and Organic Fertilizer Rates and Harvest time on Kenaf Yield and Feed Value)

  • 남철환;김기수;박만호;김원호;지희정;최기춘;선상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1-98
    • /
    • 2018
  • 본 시험은 여름철 논에서 사료용 케나프의 파종량, 유기질 비료 시용량 및 수확시기 등 적정 재배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2014년에 전남 강진 지역 논에서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파종량이 ha당 10, 15, 20 kg 등 3수준 및 수확 시기가 파종 후 60일, 75일, 90일 등 3수준과 동일한 파종량에 유기질 비료 시용량이 20톤, 30톤 등 2수준으로 하였고, 시험구는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하였다. 케나프의 파종량을 ha당 10 kg에서 20 kg까지 늘림에 따라 초장이 커지고, 수량이 증가되었다. 파종량과 관계없이 수확 시기가 60일에서 90일까지 늦춰질수록 계속 성장하여 초장은 10.1~26.0% 수량은 18.8~30.0% 증가되었고, 파종 후 75일에서 90일 사이 증가 폭이 62.3~68.9%로 가장 컸다. 그러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과 TDN 값은 감소되고, ADF와 NDF는 증가되어 사료가 치가 감소되었다. 유기질 비료를 ha당 20톤에서 30톤으로 증가하여 시비함에 따라 평균 15.3% 수량이 증가되었다. 결과적으로 케나프 재배시 ha당 가축분퇴비 30톤을 시비하고, 종자 20 kg를 파종하며, 생육 90일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높은 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