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cleopolyhedroviru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Characterization of an Improved Recombinant Baculovirus Producing Polyhedra that Contain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Crystal Protein

  • Kim Jae-Su;Cho Jae-Young;Chang Jin-Hee;Shim Hee-Jin;Roh Jong-Yul;Jin Byung-Ae;Je Yeon-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710-715
    • /
    • 2005
  • A novel recombinant baculovirus, Bactrus, was constructed by the insertion of the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gene between two polyhedrin genes of Autographa californica nucleopolyhedrovirus (AcNPV) under the control of the polyhedrin gene promoter. Polyhedra produced by Bactrus in insect cells were incorporated with 130 kDa of polyhedrin-Cry1Ac-polyhedrin fusion protein, and 30 kDa of intact polyhedrin, resulting from a homologous recombination between two polyhedrin genes, was also expresse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Bactrus against Spodoptera exigua larvae was similar to that of AcNPV, but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xicity towards Plutella xylostella larvae in comparison with that of AcNPV. The expression level of fusion protein an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recombinant polyhedra produced by the Bactrus against P. xylostella larvae were decreased after serial passages. In conclusion, the Bactrus had improved insecticidal activity and returned to wild-type AcNPV after several passages.

Bombyx mori Nucleopolyhedrovirus Bacmid Enabling Rapid Generation of Recombinant Virus by In Vitro Transposition

  • Tao, Xue Ying;Choi, Jae Young;Kim, Yang-Su;Lee, Seok Hee;An, Saes Byeol;Pang, Ying;Kim, Jong Hoon;Kim, Woo Jin;Je, Yeon 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3호
    • /
    • pp.386-392
    • /
    • 2015
  • A novel recombinant bacmid, bEasyBm, that enables the easy and fast generation of pure recombinant baculovirus without any purification step was constructed. In bEasyBm, attR recombination sites were introduced to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a recombinant viral genome by in vitro transposition. Moreover, the extracellular RNase gen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rnase, was expr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early promoter to negatively select against the nonrecombinant background. The bEasyBm bacmid could only replicate in host insect cells when the barnase gene was replaced with the gene of interest by in vitro transposition. When bEasyBm was transposed with pDualBac-EGFP, the resulting recombinant virus, EasyBm-EGFP, showed high levels of EGFP expression efficiency compared with that of non-purified recombinant virus BmGOZA-EGFP, which was constructed using the bBmGOZA system. In addition, nonrecombinant backgrounds were not detected in unpurified EasyBm-EGFP stocks. Based on these results, a high-throughput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multiple recombinant viruses at a time was established.

유기재배 배추포장 내 파밤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미생물의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Entomopathogenic Microagent against Spodoptera exigua on Organic Chinese Cabbage)

  • 박종호;홍성준;한은정;심창기;김민정;김용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97-811
    • /
    • 2015
  • 곤충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배추 파밤나방을 방제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 실내 실험의 경우 시중에 판매되는 4종의 비티제는 그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 10% 이하의 살충 효과를 보여주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경우 파밤나방에 대해 $1{\times}10^2$, $3{\times}10^2$, $1{\times}10^3$ 마리/ml에서 살충효과가 각각 33.3, 83.3, 100%로 나타났다. 비티와 곤충병원성 선충의 혼합처리에 의한 파밤나방 유충의 발육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파밤나방핵다각체 바이러스(SeNPV)는 $10^5$ 다각체/ml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높은 살충효과를 보여주었다. SeNPV 생산량은 초기접종농도, 사료 공급량 및 사육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온실시험에서는 비티와 선충 혼합처리가 단독처리보다 파밤나방에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SeNPV는 $10^7$ 다각체/ml에서 100% 방제효과를 보여주었다. 유기배추재배 포장에서는 미생물제와 유기농업자재 혼합처리에서 파밤나방을 비롯한 나방류해충 발생이 무처리구나 비티단독처리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두 가지 곤충 세포주에 대한 배양 및 바이러스 증식을 위한 최적 FBS 농도 결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Fetal Bovine Serum for the Growth of Two Insect Cell and Viruses)

  • 이재경;구현나;우수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19-324
    • /
    • 2007
  • 곤충 세포주 Sf21과 Bm5 세포주에 대해 세포 배양과 바이러스의 증식을 위한 최적 FBS 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FBS 농도에서 세포 및 바이러스의 증식 곡선을 비교하였다. 세포의 생존율, 증식속도, 증식량 그리고 FBS 함량을 모두 고려할 때 Sf21 에 대해서는 7%가, Bm5에 대해서는 5% FBS 가 최적 농도로 결정되었다. 바이러스의 증식은 감염 후 5일째에 두 세포주 모두 모든 FBS 농도에서 유사한 증식량을 보였으나, 감염 후 2 일과 3일에 있어서는 Sf21 은 각각 10%와 3%가 Bm5 에 대해서는 양일 모두 5% FBS 농도에서 가장 증식량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목적에 따라 세포 및 바이러스 증식을 위한 적정 FBS 농도의 결정이 필요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고온 스트레스 영향에 따른 홀스타인종 젖소의 반추위내 미생물 균총 변화 (Effects of Heat-stress on Rumen Bacterial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Holstein Cows)

  • 김동현;김명후;김상범;하승민;손준규;이지환;허태영;이재영;박지후;최희철;이현정;박범영;기광석;김언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7-234
    • /
    • 2019
  • 본 연구는 고온기 여름철 사육환경에서의 홀스타인종 젖소의 반추위내 미생물 균총 변화를 분석하고, 반추위내 미생물과 고온 스트레스간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에서 사육 중인 홀스타인 젖소 10두의 반추위액을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시료 샘플은 PowerSoil® DNA Isolation Kit (Cat. No. 12888, MO BIO)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한 후 Illumina HiSeqTM platform (Illumina, CA, USA)을 이용하여 미생물 균총 분석을 실시하였다. 반추위액 내 미생물 균총을 분석한 결과, 사육환경 온습도에 따른 미생물 군집 구성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미생물의 상대적 함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LEfSe 분석을 통해 적온과 고온 환경에서 특정 미생물들의 상대적 조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결과를 볼 때, 반추위내 미생물 균총은 고온과 같은 외부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어 젖소의 고온스트레스 반응에 있어 반추위 미생물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는 이러한 차이를 나타내는 미생물들의 대사 경로나 대사 물질에 분석을 통해 환경변화와 미생물간의 연관성 및 이러한 미생물 균총 조절을 통한 고온기 젖소의 적응성 향상을 위한 미생물학적 전략 연구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