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ss-$SO_4$(non-sea salt sulfat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수원과 안성지역 빗물의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Rainwater in Suwon and Ansung Area)

  • 이종식;김복영;김진호;홍승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3
    • /
    • 1999
  • 경기 남부지역 빗물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동안 수원과 안성지역에 내린 빗물을 채취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분석시료에 대한 양이온과 음이온의 균형과 전기전도도의 이론치와 실측치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고농도 시료를 제외하고는 분석의 신뢰성이 인정되었다. 조사기간중 빗물의 pH 분포는 수원과 안성지역 모두 pH $5.0{\sim}5.6$ 범위에서 각각 37.9%, 35.3%로 가장 많았으며, 강우량별 빗물의 이온함량과 pH 변화는 초기빗물(1mm 이하)가 그 이후의 빗물에 비해 높았다. 빗물의 조성은 $SO_4^{2-}$$NO_3^-$가 음이온의 약 85% 그리고 양이온은 $NH_4^-,\;Ca^{2+}$$Na^+$가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월별 빗물의 pH는 8월과 9월에 수원지역은 4.5와 4.2 그리고 안성지역은 4.6과 4.7로 그외 조사시기 보다 낮았고 조사지역 빗물중 비해염(非海鹽) sulfate는 두 지역 모두 총sulfate 함량의 약 97%이었다. 빗물의 $nss-SO_4^{2-}/NO_3^-$은 평균 수원지역 2.2와 안성지역 빗물 2.9로 비해염 $SO_4^{2-}$에 의한 기여울은 안성지역이 수원지역보다 높았다.

  • PDF

태안지역 강우의 산성도 중화 및 화학성 평가 (Neutralization of Acidity and Ionic Composition of Rainwater in Taean)

  • 이종식;김민경;박성진;최철만;정태우;정임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36-340
    • /
    • 2009
  • 최근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국의 편서풍 영향 하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장거리 이동에 따른 강우의 산성도 변화 및 예상되는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하여 강우의 화학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태안지역 강우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 4월부터 10월까지 19점의 빗물을 채수하여 pH 및 화학적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강우량을 고려한 가중평균(volume-weighted mean) 이온농도 변화와 알카리성 물질들에 의한 빗물의 산성도 중화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평균 pH값은 4.9를 보였다. 빗물의 EC는 조사기간 평균 $32.9{\mu}S\;cm^{-1}$을 나타냈으며, 월별로는 9월에 $9.7{\mu}S\;cm^{-1}$로 조사기간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강우량이 가장 적었던 4월에 $91.4{\mu}S\;cm^{-1}$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강우량 분포에 따른 EC의 계절적 특성을 보였다. 빗물의 조성에서 양이온 구성은 $Na^+$> $NH_4{^+}$ > $Ca^{2+}$ > $H^+$ > $Mg^{2+}$ > $K^+$의 순이었으며, $Na^+$$NH_4{^+}$가 전체 양이온 함량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음이온은 $SO_4{^{2-}}$ > $NO_3{^-}$ > $Cl^{-}$ 순으로 $SO_4{^{2-}}$가 약 56%를 차지하였다. Sulfate의 조사기간 중 평균 함량은 $152.1{\mu}eq\;L^{-1}$ 이었다. 총 sulfate 함량 중 비해염 sulfate $(nss-SO_4)^-$ 함량은 평균 90%로 빗물 중에 함유된 sulfate의 대부분이 인위적인 발생원에서 기인되었다. 또한, 강우 산성도의 중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가한 fractional acidity (pAi) 및 theoretical acidity ($pH_{the}$.) pH를 비교한 결과 1:1 직선의 오른쪽으로 분포되어 있음에 따라 본 조사기간 강우의 산성도가 빗물에 포함된 각종 알카리 물질들에 의해 중화되었음을 보였다.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at Two Sites in Jeju Island

  • Kang, Chang-Hee;Kim, Won-Hyung;Lee, 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363-368
    • /
    • 2003
  • The major ionic components of precipitation collected at the 1100 Site of Mt. Halla and Jeju city have been determined. The reliability of the analytical data was verified by the comparison of ion balances, electric conductivities and acid fractions; all of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bove 0.94. Ionic strengths lower than $10^{-4}$ M were found in 53% of the 1100 Site samples and 28% of the Jeju city samples. Compared with other inland areas, the wet deposition of $Na^+,\;Cl^-\;and\;Mg^{2+}$ was relatively larger, but that of $NH_4^+,\;nss-SO_4^{2-}$(non-sea salt sulfate) and $NO_3^-$ was lower. Especially the wet deposition increase of $Ca^{2+}$ in the spring season supports the possibility of the Asian Dust effect. The acidification of precipitation was caused mostly by $SO_4^{2-}\;and\;NO_3^-$ in the Jeju area, and the organic acids have contributed only about 7% to the acidity. The neutralization factors by NH₃were 0.47 and 0.48, and that of CaCO₃was 0.31 and 0.25 at the 1100 Site and Jeju city, respectively. Investigation into major influencing sources on precipitation components b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precipitation at the 1100 Site had been influenced mostly by an anthropogenic source, followed by soil and seawater sources. The precipitation at Jeju city was mainly influenced by oceanic sources, followed by anthropogenic and soil sources.

영농기 강우의 화학적 특성 및 부하량 평가 (Chemical Properties and Nutrient Loadings of Rainwater during Farming Season)

  • 고병구;김민경;이종식;김건엽;박성진;권순익;정구복;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78-583
    • /
    • 2010
  • 수원과 태안에 위치한 농업지역에서 영농기간 중 강우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 강우 53점을 채수하여 강우 중의 이온조성, 산성도 및 강우량을 고려한 가중평균 이온농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강우의 조성에서 양이온 구성은 $Na^+>{NH_4}^+>Ca^{2+}>H^+>Mg^{2+}>K^+$의 순이었으며, $Na^+$${NH_4}^+$ 성분이 전체 양이온 조성의 65% 이상을 차지하였다. 음이온은 ${SO_4}^{2-}>{NO_3}^->Cl^-$ 순으로 ${SO_4}^{2-}$가 약 61%를 차지하였다. 조사 기간 중 평균 sulfate 함량은 수원 130.2 ${\mu}eq\;L^{-1}$ 태안121.3 ${\mu}eq\;L^{-1}$이었으며, 이중 비해염 sulfate (NSS-${SO_4}^{2-}$)함량이 92%를 차지하여 강우 중에 함유된 sulfate의 대부분이 인위적인 발생원에 기인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우량을 고려한 월별 질소 부하량은 약 1~2 kg $ha^{-1}$정도로 토양에 공급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수원지역의 7월 강우사상별 강우량은 7.3 mm 이상으로 총질소는 6 kg $ha^{-1}$로 가장 많이 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영농기인 4~10월 동안 ${SO_4}^{2-}$, $Ca^{2+}$, $K^+$, $Mg^{2+}$의 부하량은 수원에서 각각 56.0, 7.4, 5.7, 1.4 kg $ha^{-1}$ 이었고, 태안에서 각각 42.8, 4.7, 2.6, 1.4 kg $ha^{-1}$ 이었다.

Chemical Properties and Nutrient Loadings of Rainwater during Farming Season

  • Kim, Min-Kyeong;Hong, Seong-Chang;Lee, Jong-Sik;Jung, Goo-Buk;Kwon, Soon-Ik;Chae, Mi-Jin;Yun, Sun-Gang;So, Kyu-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86-390
    • /
    • 2013
  • Recently, special attention has been given to acid rain and its problem to environment such as acid precipitation and air pollution in East Asia. In the present study, rain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pr to Nov in 2012. The samples were chemically characterized for the assessment of emission sources. Suwon and Yeoju regions, typical agricultural areas in South Korea, were chosen for study sites. Ion composition and cation-affected neutralization were determine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cations to the acidity of rainwater. 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estimated showed high correlation. The cations observed in Suwon and Yeoju were $Na^+$ > $NH_4{^+}$ > $K^+$ > $Ca^{2+}$ > $Mg^{2+}$ > $H^+$ and $Na^+$ > $K^+$ > $NH_4{^+}$ > $Ca^{2+}$ > $Mg^{2+}=H^+$, respectively. The anions of all sites were $SO{_4}^{2-}$ > $NO_3{^-}$ > $Cl^-$. While the amounts of sulfate, one of the major dissolved components of rainwater, were 77.6 and 75.6 ueq $L^{-1}$ in Suwon and Yeoju, the ones of NSS-$SO{_4}^{2-}$ (Non-Sea Salt sulfate) were 83 and 82% in Suwon and Yeoju, respectively. The comparison of observed pH values ($pH_{obs}$) with the theoretical pH values ($pH_{the}$) showed that the neutralization of rain water considerably went along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highest amounts of rainfall throughout the year in Suwon and Yeoju were 572.3 and 484.6 mm in July, and its corresponding nitrogen loadings in Suwon and Yeoju were 5.28 and 3.50 kg $ha^{-1}$, respectively. The major ion contents for crop growth with $SO{_4}^{2-}$, $Ca^{2+}$, $K^+$ and $Mg^{2+}$ were 51.7, 5.2, 11.8 and 1.8 kg $ha^{-1}$ in Suwon and 34.2, 4.0, 4.2 and 1.1 kg $ha^{-1}$ in Yeo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