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structure

검색결과 2,216건 처리시간 0.033초

방사선 조사를 받은 흰쥐 머리피부 표피층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n the Epidermis of the Scalp of the Head-Irradiated Rats)

  • 고정식;김재호;양남길;안의태;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2호
    • /
    • pp.63-77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epidermis of the rat scalp, following X-ray irradiation. Male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experimental groups. Rats anesthetized with sodium thiopental, were exposed only on their head areas with a single dose of 3,000rads or 6,000rads, respectively. Radiation was produced by Mitsubishi Linea Accelerator ML-4MV at the speed of 200rads/min. The target distance was 80cm. Animals were sacrificed on six hours, two days and six days following irradiation. By the perfusion fixation through the heart, rats were fixed with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scalp were re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solution, followed by post-fixation with 1% osmium tetroxide, and embedded within araldite mixture. The sections were cut on a LKB-V ultratom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and were observed with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Six hours after exposure to 3,000rads of X-ray. Disrupted intercellular spaces, within which some amorphous materials were filled, disrupted mitochondria, and vacuoles in the keratinocytes were frequently observed, but six days after exposure to 3,000rads of X-ray, Morphology of the keratinocytes was generally restored. 2. Many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were seen on the six days after exposure to 6,000rads of X-ray. 3. Widened intercellular spaces and thickened dense plaques of the desmosomes were frequently observed after exposure to 6,000rads of X-ray. 4.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Langerhans and the Merkel cells were damaged, similarly to the keratinocyte. Above results suggest that head irradiation with the dose of 3,000rads temporarily damaged the epidermis of the scalp, though most of the structures recover within six days, whereas with the dose of 6,000rads it severely damaged the epidermis without showing any recovering tendency.

  • PDF

초음파검사에 의한 소의 번식장애 감별진단 및 치료법 개발 II. 무발정우의 감별진단 (Development of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 of Reproductive Disorders Using Ultrasonography in Cows II. Differential Diagnosis of Subestrous Dairy Cows)

  • 강병규;최한선;강현구;오기석;서동호;손창호;서국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7-318
    • /
    • 1998
  • Accuracy of rectal palpation and ultrasonography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subestrous dairy trows were investigatedl using the result of pIRsma progesterone assay. The ovaries were examined 2 times of 10 days interval in 520 posearom and postinsemination subestroHs dairy cows, using rectal palpation and B-mode transrectal ultrasonography. The results of rectal palpation,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measurement of plasma progesterone profiles in 520 subestrous dairy cows were silent brat or error of estrus detection 303 (58.3%), persistent corpus luteum 59 (11.3%), follicular cyst 37 (7.1%), luteal cyst 16 (3.1%), inactive ovary 9 (1.7%), granulosa tumor 1 (0.2%), hydmsalphinx 1 (0.2%), endomehris 81 (15.6%), pyometra 12 (2.3%) and mummified fetus 1 (0.2%), respectively. Accuncy of rectal palpation and ultrasonography for diagiosing ovarian disordeir based on plasma progesterone profiles were silent heat or error of estrus detection 80.5% and 96.7%$\boxUl$ persistent corpus luteum 57.6% and 94.9%, follicular cyst 62.5% and 91.9%1 luteal cyst 62.5% and 87.5%, maclive ovary 55.6% and 88.9% and granulosa cell tumor 100% and 100%, respectively. Acnuucy of rectal palpation for diagnosing uterine disorders based on ultrasonography was pyometra 75.0%1 endometritis 51.9% and mummified fetus 100%, respectively. Cbaracteristic ultrasonographic appearances of ovaries in subestrous dairy cows were as follows; Silent heat or error of estrus detection: anechoic follicle or hypoechoic corpus luteum than ovarian stroma was alternately present on Day 0 (first examination) and Day 10. Follicular cyst: uniformly nonechogenic ovarian structure $\geq $ 25 mm in diameter with a wall < 3 mm was present in ipsilateral on Day 0 and Day 10. Luteal cyst: luteal cyst was similar to follicular cysts but thickness of cystic wall was $\geq $ 3 mm. Inactive ovary : structures within ovaries was not present on Day 0 Bnd Day 10. Characteristic uthssonograpsc appearances of uterus in subestrous dairy cows were as follows; Endometritis: characterized by uterine lumen containing fluid in which 'snowy'echogenic particles art suspended. Pyometra: ultrasonographic appearance of pyometra was diffuse echogenic particles distributed in fluid within the distended uterus, and a thickened uterine wal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ultrasonography was practical far diagnosing reproductive disorders. To diagnosing ovarian disorders, ultrasonography should be carried out 2 times of 10 days interval and rndometritis should be differentiated with uterus of luteal phase in normal cycling cows.

  • PDF

절수에 의한 mongolian gerbil 종뇌 및 간뇌에서 dopamine성 면역반응세포의 분포변화 (The change of dopaminergic immunoreactive cells in telencephalon and diencephalon of mongolian gerbil by water deprivation)

  • 송치원;이경열;박일권;정주영;권효정;이철호;현병화;이근좌;송운재;정영길;이강이;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6
    • /
    • 2000
  • Nowadays, mongolian gerbil is notably utilized for the research of brain and water deprivation because of a congenital incomplete willis circle structure in the brain, audiogenic seizure in low noise, and special cholesterol metabolism without water absorption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we are intend to identify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catecholaminergic neuron of brain according to the time lapse in the condition of long term water deprivation. 55 mongolian gerbil were divided 10 groups(control, 1, 2, 3, 4, 5, 10, 15, 20, 42th day water deprivation group), of which each group include 5 mongolian gerbils and 5 normal mongolian gerbils in control group were also used for brain atlas as a control. The brains were observed by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using the TH, DBH and PMNT antibod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nerve fibers of the TH-immunoreactive neuron were observed only in the and corpus striatum of the telencephalon. 2. Intensity of the immunostain of the nerve fiber in the cerebral cortex and corpus striatum was decreased gradually day by day after water deprivation. 3. The TH-immunoreactive nerve cells were observed in the paraventricular and periventricular nucleus of the 3rd ventricular in the hypothalamus of mongolian gerbil but the number of nerve cells were decreased from the first day of the water deprivation to the 10th day and increased until the 20th day, after than redecreased from the 20th day by the continuous water deprivation. The number of nerve fibers in this area were increased in the first day, but decreased from the 2nd day of water deprivation. The shape and density of the dopamine secreting cells in the brain of mongolian gerbil by the immunoreactive stain were changed in the continuous water deprivation. In this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dopamine concerned in the water metabolism of mongolian gerbil, and mongolian gerbil could be used as an animal model for the research of water deprivation.

  • PDF

이상 유동에 놓인 관군의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 분포 (Pressure Distribution over Tube Surfaces of Tube Bundle Subjected to Two-Phase Cross-Flow)

  • 심우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1호
    • /
    • pp.9-18
    • /
    • 2013
  • 이상 횡 유동은 응축기, 증발기와 원자로 증기발생기와 같은 쉘과 튜브의 열 교환기에서 볼 수 있다. 이상 유동장에 놓인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동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상유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 유동의 유동특성과 유동변수를 소개하고 관군에서의 압력손실과 실린더에 작용하는 압력분포에 의한 수동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부 입구에서 이상유동은 혼합되었으며 실험은 횡 방향 이상 유동장에 놓인 정규 삼각형 배열을 갖는 관군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관군에서의 흐름방향 압력손실을 측정하여 이상유동의 마찰승수를 계산하고 이론적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특정 실린더에 작용하는 원주 방향 압력 분포의 측정결과와 이상유동의 기초이론에 근거하여 압력손실계수의 분포 및 항력계수에 미치는 체적건도와 단위면적당 질량유량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튜브 표면에 작용하는 측정된 압력을 수치해석방법으로 적분하여 항력계수를 계산하였다. 작은 질량 유량의 경우에 측정된 마찰 승수는 기존의 이론 결과와 잘 일치하며 압력분포에 의한 항력계수에 작용하는 기공률의 영향은 기존의 실험결과와 정성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y Years Appeared in Seoul Annual Rainfall Data)

  • 유철상;김보윤;노재경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07-31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부터 최근까지의 약 200년간의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원자료에 나타난 자기상관특성을 분석함은 물론 몇 개의 절단수준(truncation level)에 대해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경향이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절단수준에 대해 연강수량을 평년, 다우해 및 과우해로 나누고 각각의 전이확률을 조사하여 봄으로서 궁극적으로는 각각의 경우에 대해 평년, 다우해 및 과우해의 평균재해기간이 얼마나 되는지를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은 조선시대의 측우기기록과 근대의 강우관측기록을 포함한 전체의 기록뿐만 아니라 측우기 관측기록 및 근대 관측기록에 대해 각각 적용해 봄으로서 비교 분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자료를 이용한 결과의 경우 1900년 전후의 건조기의 영향을 제외한다면 건조기의 전반부 및 후반부만을 이용한 결과와 어느 정도 유사한 결과를 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건조기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대한 비교에서는 건조기 후반부의 기록에서, 특히 상대적으로 큰 절단수준에 대해, 과우해의 재현기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대략 평균에서 표준편차(약370mm)정도가 벗어난 수준을 다우해 및 과우해의 기준으로 본다면 다우해의 재현기간은 5∼6년, 과우해의 재현기간은 6∼7년 정도로 과우해의 재현기간이 다우해의 재현기간 보다 약간 길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2가 양이온이 Thiamine Pyrophosphate에 의한 Group I Intron Ribozyme의 Splicing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valent Cations on the Self-splicing Inhibition of Group I Intron by the Coen-zyme Thiamine Pyrophosphate)

  • 안성준;박인국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18
    • /
    • 2002
  • 2가 양이온($Mg^{2+}$, $Mn^{2+}$, $Zn^{2+}$)이 조효소 thiamine pyrophosphate에 의한 T4파지 티민생합성 유전자 (td) 인트론 RNA의 splicing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g^{2+}$를 30 mM까지 증가시켰을 때 splicing 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나 $Mg^{2+}$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0.1-4 mM 농도에 걸쳐 $Zn^{2+}$를 사용한 결과 약 20% 정도의 splicing이 일어났다. 이때 대부분의 splicing product는 인트론-엑손2 및 엑손2였고 엑손1-엑손2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4 mM 농도에서는 RNA가 대부분 가수분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Mn^{2+}$ 이온은 사용한 농도 범위 (0.1-8 mM)에서 $Zn^{2+}$ 보다는 전반적으로 약간 증가된 splicing 활성을 보였으며 8 mM 농도에서도 약 30% 정도의 splicing 활성을 보였다. $Zn^{2+}$ 이온처럼 splicing product는 인트론-엑손2 및 엑손2였고 엑손1-엑손2는 검출되지 않았 다. 반면에 splicing반응에 10 mM $Mg^{2+}$ 를 첨가했을 때 $Zn^{2+}$$Mn^{2+}$ 이온은 평균 약 35-40% 정도 splicing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한 2가 양이온 중에서 특히 $Mg^{2+}$ 은 가장 낮은 농도에서 thiamine pyrophosphate 에 의한 억제반응을 극복하는 최고의 활성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억제 회복 효과는 $Mg^{2+}$에 의한 리보자임의 td intron 구조적 안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생종 벼의 평야지 재배에 따른 등숙 온도 차이에 의한 전분구조 및 종자 저장단백질 특성 연구 (Effects of Ripening Temperature on Starch Structure and Storage Protein Characteristics of Early Maturing Rice Varieties during Grain Filling)

  • 곽지은;이점식;원용재;박향미;곽강수;김미정;이춘기;김선림;윤미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77-85
    • /
    • 2018
  • 본 시험은 조생종 벼의 평야지 재배에 따른 등숙 온도 차이에 의한 전분구조와 종자 저장단백질 특성 차이를 평가하여 쌀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생종 벼 8 품종을 철원 및 등숙기 온도가 상대적 고온조건인 수원에서 재배하여 품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등숙시 고온 조건에서는 일반 조건보다 쌀 완전미율, 아밀로스 함량, 식미총평 점수가 낮은 반면 단백질 함량은 높았다. 전분구조 특성 차이를 평가한 결과, 고온 조건에서는 일반 조건에 비해 아밀로펙틴의 단쇄 사슬길이(DP < 12) 분포비율이 낮은 반면, 중쇄(DP 13-24) 및 장쇄사슬 길이(DP > 25) 분포비율은 높았다. 저장단백질 특성 차이를 평가한 결과, 등숙기 고온 조건의 시료에서는 알부민과 글로불린 함량에는 차이가 없는 반면, 글루텔린 함량은 높고, 프롤라민 함량은 낮았다. 글루텔린의 서브유닛을 분석한 결과, 염기성 글루텔린 조성은 두 지역 간 차이가 없었으나 산성 글루텔린은 등숙기 고온 조건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alpha}$-1(약 36 kDa)과 ${\alpha}$-3(약 40.6 kDa) 서브유닛의 함량이 높았다. 선행연구에서 고온등숙 조건에서 프롤라민의 감소는 보고가 되었으나, 산성 글루텔린 증가와 관련된 사항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어,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고찰된다.

수온에 의한 멍게(Halocynthia roretzi)의 물렁증 유도와 생리 및 조직학적 반응 (Induction of Soft Tunic Syndrome by Water Temperature and 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Responses of the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 신윤경;박정준;명정인;김혜진;이정식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225-233
    • /
    • 2014
  • 수온조절 (6, 9, 12, 15, 18, 21, 24, $27{\circ}^C$)에 의해 유도된 멍게의 물렁증 진행에 따른 생리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수온조절에 의한 물렁증 유도율은 수온 $15^{\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4^{\circ}C$에서 가장 낮았다. 물렁증은 피낭 색깔 및 탄성을 기준으로 S0, S1, S2, S3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정상개체와 물렁증을 가진 개체들 사이에서 산소소비율과 여수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0에 비해 S3단계에서 혈구 구성비의 가장 뚜렷한 변화는 multi-vacuole cell은 약 1/2 감소하였으며, morula cell은 약 10배 증가하였다. 기관계 구조의 변화는 피낭, 수관, 새낭, 육질부, 소화선에서 상피세포의 변성, 미세섬유의 변성, 혈구의 증가 및 근섬유의 변형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모든 특징들은 멍게의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흰쥐에서 분리 배양한 간세포의 담세관 형성에 있어서 액틴미세섬유의 역할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ole of Actin Filaments during the Formation of Bile Canaliculi in Isolated Rat Hepatocyte Culture System)

  • 박창현;장병준;엄창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37-450
    • /
    • 1999
  • 간세포의 기능적 연구를 위한 배양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계 흰쥐의 간장에서 collagenase와 hyaluronidase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간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여, 배양중인 간세포의 구조적인 변화와 담세관의 형성 과정을 확인하고, cytochalasin D를 배양계에 첨가한 경우 발생되는 간세포 및 담세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살펴보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리 배양한 흰쥐의 간세포는 원형이었고, 표면에 미세융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배양중 서로 부착되어 세포띠를 형성하였다. Cytochalasin D처리후 간세포의 표면은 미세융모가 소실되어 편평하게 변화되었으며, 소포성 돌출물이 자주 관찰되었다. 담세관은 부착된 간세포의 사이에서 형성되었으며, 간세포 표면의 작은 융기에서 기시하는 다양한 길이 및 형태의 미세융모로 채워져 있었고, 양단에는 치밀결합 및 부착만 등으로 구성된 연접복합체가 존재하였다. Cytochalasin D 처리후 당세관의 내강은 팽창되었으며 미세융모는 소실되어 거의 존재하지 많았고, 양단에 존재하는 연접복합체는 파괴되어 간격이 벌어진 곳이 많았다. 담세관내에 존재하는 미세융모 속에 존재하는 액틴미세섬유심은 완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불완전하게 적은 양만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담세관주변세포질에 존재하는 액틴미세섬유얼기의 형성은 불완전하여 부위에 따라 없는 곳도 있었다. Cytochalasin D처리후 담세관주변세포질의 액면미세섬유얼기는 존재하지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의 간장에서 분리한 간세포는 배양중 성장하면서 정상적인 담세관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으며, 담세관의 형성은 접착부위의 연접복합체의 형성 및 미세융모의 형성,담세관 내 액틴미세섬유심 및 담세관주변세포질내 액틴미세섬유얼기의 형성 등을 특정으로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2급 복합레진 와동의 비교 연구 (A STUDY ON CLASS II COMPOSITE RESIN CAVITY USING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 임영일;여인호;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428-446
    • /
    • 1997
  • Restorative procedures can lead to weakening tooth due to reduction and alteration of tooth structure. It is essential to prevent fractures to conserve tooth. The resistance to fracture of the restored tooth may be influenced by many factors, among these are the cavity dimensio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torative material. The placement of direct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has generally been found to have a strengthening effect on the prepared teeth. It i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vity isthmus and the fracture resistance of a tooth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this study, MO cavity was prepared on maxillary first premolar.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made by serial photographic method and isthmus(1/4, 1/3, 1/2 of intercuspal distance) were varied. Two types of model(B and R model) were developed. B model was assumed perfect bonding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ity wall and R model was left unfilled. A load of 500N was applied vertically at the first node from the lingual slope of the buccal cusp tip. This study analysed the displacement, 1 and 2 direction normal stress and strain with FEM software ABAQUS Version 5.2 and hardware IRIS 4D/310 VGX Work-s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isplacement of buccal cusp in R model occurred and increased as widening of the cavity, and displacement in B model was little and not influenced by cavity width. 2.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stress resulting in increase of fracture resistance in B model when compared with R model. 3. With the increase of the isthmus width, B model showed no change in the stress and strain. In R model, the stress and strain increased both in the area of buccal-pulpal line angle and the buccal side of marginal ridg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rack increased. 4. The stress and strain were distributed evenly on the tooth in B model, but in R model, were concentrated on the buccal side of the distal marginal ridge and buccal-pulpal line angl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fracture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