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odle-making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9초

진공 탈기 압출법에 의한 보리 국수 제조 (Barley Noodle Making by Vacuum Press)

  • 장창문;오영택;윤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3-97
    • /
    • 1986
  • 호화 옥분을 결합제로 첨가하고 진공탈기 압출법으로 단백질변성온도보다 저온에서 보리국수를 제조하였다. 면대 안의 기포제거로 습윤국수의 강도가 높아 졌으며건조국수의 조리안정성도 높아 졌다. 호화 옥분 첨가는 습윤국수 면대 강도 확보에 필수적이었는데 첨가수준이 높아지면 국물탁도가 높아지므로 20% 첨가가 적정수준이었으며 반죽액은 3% 대두단백질용액으로 하면 국수 품질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 PDF

Hydrocolloids혼합첨가 쌀면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연구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noodle blended with of hydrocolloids)

  • 이한나;장은희;이진실;홍완수;김영식;한정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03-709
    • /
    • 2012
  • Using market-selling rice flour, four rice wet noodles were prepared with three hydrocolloids: wheat flour,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and potato starch at different levels based on pre-test, and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nood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rice noodle with hydrocolloids showed much higher peak and final viscosity than wheat flour noodle (control). Rice noodle also showed higher hard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than control in textural properties, however, the noodle with the highest hydrocolloids (wheat flour 15%, HPMC 12.5%, potato starch 17,5%) showed lowest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values among samples. By sensory evaluation, the rice noodle with 15% wheat flour, 8.5% HPMC, 17.5% potato st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appearance,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HPMC in noodles seemed to influence on the noodle quality than potato starch or wheat flour. For making rice noodle, adequate level of hydrocolloids could improve noodle quality such as viscoelasticity, however, excess addition made the noodle coarse.

Influences of Protein Characteristics on Processing and Texture of Noodles from Korean and US Wheats

  • Kang, Chon-Sik;Seo, Yong-Won;Woo, Sun-Hee;Park, Jong-Chul;Cheong, Young-Keun;Kim, Jung-Gon;Park, Chul-Soo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33-140
    • /
    • 2007
  • Protein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tein content and quality on processing and textural properties of white salted noodles compared to US wheat flours with various wheat classes and commercial flours for making noodles. Protein quality parameters, which were independent of protein content and included SDS sedimentation volume with constant protein weight, mixograph mixing time and proportion of 50% 1-propanol insoluble protein, of Korean wheat flours with 2.2+12 subunit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subunit composition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commercial flours for making noodles. Parameters related to noodle making, including optimum water absorption, thickness and color of noodle dough sheet, correlated with protein content and related parameters, including SDS sedimentation volume with constant flour weight, mixograph water absorption and gluten yiel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in protein parameters independent of protein content. Hardness of cooked noodles from Korean wheats was lower than that of US wheat flours compared to similar protein content of commercial noodle flours.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cooked noodles from Korean wheats were similar to US wheat flours. Hardness of cooked noodles correlated with protein content and related parameters.

  • PDF

Evaluation of Korean Noodle Quality of Korean Winter Wheat over Years and Locations

  • Hong, Byung-Hee;Park, Chul-Soo;Baik, Byung-K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1-28
    • /
    • 2002
  • Noodle texture parameters of Korean style wet and dry nood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noodle quality and flour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two years, 1997 and 1998, and at two locations, Suwon and Deokso, using Korean winter wheat cultivars and line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ewiness was found between cultivars over locations. Noodles made from flours from 1997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hewiness than those from 1998. Chewiness of cooked noodles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rotein content and SDS sedimentation volume and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tarch peak viscosity and flour swelling volume. Korean winter wheat cultivars, except for Gobunmil, Keumkangmil Tapdongmil, Suwon 265 and Suwon 280, showed chewiness of cooked noodles similar to commercial flours used for noodle making in Korea and Japan.

분리대두단백질의 첨가가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ybean Protein Isolate on the Properties of Noodle)

  • 배송환;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01-1306
    • /
    • 1998
  • 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 영역에서 각각 추출한 SPI를 첨가한 복합분의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I-건면과 조리면의 l값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감호하였으나 a와 b값은 증가하였다. SPI-건면의 최적조리시간은 100% 밀가루로 제조된 건면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SPI-조리면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은 감소하였다. $SPI-2,\;SPI_3,\;SPI_7$$SPI-{10}$-건면의 파쇄력은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5%, 10% $SPI-{12}$-건면의 파쇄력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PI의 첨가농도와 종류에 관계없이 SPI-조리면의 탄성과 응집성은 대조구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고 씹힘성과 견고성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저열량 메밀맛국수의 조리특성 (Cooking Properties of Low Caloric Buckwheat Taste Noodle)

  • 김경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23-828
    • /
    • 2005
  • 비만방지 및 성인병 예방식품의 일환으로 메밀국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glucomannan, RS전분 등을 처리하여 열량까지 낮춘 새로운 타입의 메밀국수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밀가루 단독으로 제조한 생면에 비하여 몇 가지 원료를 처리한 메밀생면의 열량은 약 $30\%$ 수준의 감소효과가 있었다. 제조된 메밀국수를 조리 후 최근 웰빙식품의 일환으로 각광 받고 있는 올리브유를 coating하여 퍼짐성을 방지하고 90일까지 상온에서 유통이 가능한 즉석국수 타입의 메밀국수를 제조할 수 있었다. 원재료 배합비율은 4종의 시료 중 RS전분 함유 밀가루, 메밀가루, glucomannan을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활성글루텐과 유화제를 처리한 것이 가장우수하였으며, 식염은 처리하지 않은 것의 품질특성이 우수하였다. 포장재질은 6종을 검토한 결과 단독재질보다는 OPP/Al/PE의 복합다층필름을 포장재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구약감자 분말의 첨가가 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Noodle by the Addition of Konjac Powder)

  • 최희은;박화영;조영인;김나율;이난희;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2-28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oodle-making characteristics of a noodle dough with konjac powder added. The water-bin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amounts of the konjac powder. Whe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noodles were measured after cookin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konjac powder groups. Turbid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hromaticity, in the case of raw noodle lightness (L),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redness (a) and yellowness (b) significantly increased. Cooked noodles also showed the same pattern of results, however, as a whole, the results were lower when compared to wet noodles.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hard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konjac powder. Cohesiveness was determined to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noodle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a sensory evaluation of the cooked nood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loss, taste, hardness, springiness or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konjac powder groups. This study indicates the that addition of 1.5% konjac powder to noodle dough may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of noodles.

호화찹쌀가루를 이용한 쌀가루 복합분의 제면성 시험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Dried Noodle Made of Composite Flours Utilizing Rice, Wheat and Gelatinized Waxy Rice Flours)

  • 박욱희;김형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2호
    • /
    • pp.83-90
    • /
    • 1982
  • 쌀가루의 제면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찹쌀을 호화시켜 건조 제분한 것을 혼합시키고 여기에 쌀가루와 점성 개량제인 XG를 첨가하여 제면적성을 시험 검토하였다. 1. 원료분을 Amylograph에 의해 점도특성을 측정한 결과 밀가루의 최고점도에 비해서 쌀가루의 최고점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쌀가루 복합분 중 최고점도가 가장 높은 것은 (RF 85+GWRF 15+XG2%) 이고 가장 낮은 것은 (RF 35+GWRF 15+WF 50)인데 후자의 복합분이 밀가루와 비슷한 호화특성을 보였다. 2. (쌀가루+호화찹쌀가루 15)에 밀가루를 $40{\sim}50%$ 혼합했을 때 상온에서 반죽이 잘 되었고 삶은 국수의 중량, 부피와 용출되는 고형물이 밀가루면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3. (쌀가루+호화찹쌀가루 15)에 XG를 2%첨가했을 때 면대형성과 조리 후 결착성을 주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쌀가루+호화찹쌀가루 15 +밀가루)로 만든 면에서 XG 2% 첨가와 밀가루 40%를 혼합한 것이 그것의 조리특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4. 가장 기호도가 높은 밀가루 복합분면의 조성비는(RF 45+GWRF 15+WF 40+XG 2%)이었으며 밀가루면과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 PDF

보리-밀 및 보리-콩 복합분(複合粉)의 제면성(製麵性) 및 제품특성(製品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s Using Barley-Wheat and Barley-Soybean Flours)

  • 최홍식;유정희;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6-241
    • /
    • 1976
  • 보리가루-밀가루(중력분) 복합분에 있어서 보리가루 30%수준까지는 면대형성 및 절출등의 제면성이 양호하였고 겉보리가루보다는 쌀보리가루가 약간 우수한 제면성을 보였다. 이때 xanthan gum의 첨가는 이들복합분의 제면성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쌀보리가루-탈지콩가루 복합분에서는 NSI(Nitrogen Solubility Index)가 높은 탈지콩가루만이 건면을 만들 수 있었으나 대체로 불량한 제면성을 보였다. 쌀보리가루-밀가루 복합분으로 만든 건면의 조리특성은 겉보리가루-밀가루의 그것보다 우수한 경향을 보였으며, xanthan gum의 첨가는 조리중 수분흡수 및 부피의 팽창을 촉진시켰다. 보리가루-밀가루 복합분으로 만든 건면의 조리후견고성 및 gumminess는 보리가루 혼합수준이 60%이상에서만이 밀가루 단독의 경우보다 저하되었으며, 쌀보리가루-탈지콩가루 복합분으로 만든 건면의 조리후 견고성은 특이하게 높은 현상을 보였다.

  • PDF

백강균 자실체의 첨가가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ynnemata of Beauveria bassiana on the Properties of Noodle)

  • 배송환;이찬;이석원;윤철식;정수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8-164
    • /
    • 2003
  • 백강균 자실체를 첨가한 복합분의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면의 색도, 조리특성, 기계적인 조직감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실체-건면과 조리면의 L값은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각각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자실체-건면과 조리면의 a값과 b값은 대조구에 비해 각각 증가하였다. 자실체를 첨가한 조리면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은 자실체의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자실체를 첨가한 조리면의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자실체-건면의 파쇄력은 자실체의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모두 대조구와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자실체의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자실체-조리면의 견고성과 껌성은 각각 대조구와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실체 첨가농도가 1%일때 자실체-조리면의 탄성, 씹힘성, 응집성 및 부착성은 대조구와 같았으나, 자실체 첨가농도가 3% 및 5% 일때 자실체-조리면의 탄성, 씹힘성, 응집성 및 부착성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자실체 분말을 1%와 3%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리면의 색, 맛, 향,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