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oncoherent

Search Result 13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변조 방식과 채널 코드에 따른 EFTS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EFTS According by Modulations and Channel Codes)

  • 강상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4-98
    • /
    • 2013
  • 최근에 Standard 톤 방식의 FTS(Flight Termination System)는 보안 및 다수의 발사체가 동시에 운영될 때 문제가 있음이 보고되어, 차세대 FTS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FTS로 도입이 검토되고 있는 EFTS(Enhanced FTS)의 변조 방식 및 채널 코드에 따른 BER 성능을 비교하였다. EFTS의 변조 방식으로는 비동기 BFSK, 동기 BPSK, 비동기 DPSK, 동기 CPFSK 그리고 비동기 CPFSK의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채널 코드로는 컨볼류션널, RS 그리고 BCH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EFTS의 변조 방식의 성능 시뮬레이션 결과 동기 방식이 비동기 방식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동기 방식은 발사체의 환경에서 동기의 획득 및 유지문제 그리고 동기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부품들의 신뢰성을 고려하면 도입이 어렵다. 비동기 방식에서는 DPSK, 비동기 CPFSK 그리고 비동기 BFSK 순서로 BER 성능이 좋은 것으로 시뮬레이션되었다. 그러나 DPSK 변조의 경우 PEP(Peak Enveop Power)가 약 2.6dB(rolloff 0.5인 경우)로 CPFSK의 PEP 1.8dB 보다 크기 때문에 송신기의 구성측면에서 불리하다. 채널 코드에 따른 성능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컨볼루션널 코드가 다소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원하는 BER을 갖는 $E_b/N_0$ 부근에서는 RS의 BER 성능 개선 정도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Noncoherent UWB 시스템에서 Analog Front End 특성에 따른 레인징 성능 분석 (Analysis of Ran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alog Front End Characteristics in a Noncoherent UWB System)

  • 김재운;박영진;이순우;신요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C호
    • /
    • pp.77-8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형태의 적분기와 1-비트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로 구성된 AFE (Analog Front End)를 사용하는 Noncoherent IR-UWB (Impulse Radio-Ultra Wide Band) 레인징 (Ranging) 시스템을 제시하고, 레인징 성능에 영향을 주는 AFE 특성에 대해 정의한다. 이 레인징 시스템에서 적분기는 단순히 수신된 신호의 에너지만을 축적하며, 다중 비트 ADC를 필요로 하는 Coherent IR-UWB 시스템과는 달리 1-비트 ADC를 사용하게 되므로, 시스템 구현 측면에서 현실적이고 매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Noncoherent 방식의 특성상 수신 신호를 단순히 제곱하여 적분하게 되므로, 잡음과 다중경로 페이딩 등의 채널 특성에 따라 레인징 정밀도는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IR-UWB 레인징 시스템 연구에서는 AFE 특성 변화에 따른 성능 분석에 관한 결과는 거의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Noncoherent IR-UWB 레인징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무선 채널 환경에서 AFE 특성 변화에 따른 레인징 성능을 분석한다. 또한 이를 통해 실제 UWB 하드웨어를 설계할 경우 규격 설정에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들을 제시한다.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Criteria of Unitary Space-Time Codes with Noncoherent and Coherent Decoding

  • Cheun, Kyung-Whoon;Kim, Jeong-Chang;Choi, Soong-Yoo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2A호
    • /
    • pp.1145-1151
    • /
    • 2010
  • Hochwald et al. introduced unitary space-time codes for quasi-static Rayleigh fading channels which allows for noncoherent decoding when the channel response is not known at the receiver. However, when reliable information on the channel response is available, coherent decoding is preferable for improved performance. Here,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criteria on the diversity and coding advantages provided by unitary space-time codes with noncoherent and coherent decoding. We show that when a unitary space-time code achieves full spatial diversity with noncoherent decoding, full spatial diversity is also guaranteed with coherent decoding.

실내 무선 채널에서 전력검출 기반 Noncoherent OOK UWB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Noncoherent OOK UWB System Based on Power Detection in Indoor Wireless Channels)

  • 오종옥;양석철;신요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1C호
    • /
    • pp.1498-150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향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응용 등에 적합하도록 간단한 송수신기 구조를 유지하면서,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Noise Power Calibration 및 Noise Power Windowing 방법을 통해 잡음의 영향을 고려하여 적응적인 임계값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력검출 (Power Detection)을 수행하여 성능을 향상하는 임펄스 라디오 (Impulse Radio) 형태의 Noncoherent OOK (On-Off Keying) UWB (Ultra Wide Band) 시스템을 제시하고, 전형적인 UWB 실내 무선 채널 모델에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채널에서는 Noise Power Calibration 모드를 위한 슬롯수의 증가에 따라 이상적인 Ideal Adaptive Threshold를 사용하는 경우께 근접하는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 데이터 전송률의 큰 감소를 감수해야 하는 Noise Power Windowing 방법에 의한 성능 개선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IEEE 802.15 Task Group 3a UWB 실내 채널 모델을 이용한 모의실험 결과, Noise Power Calibration 모드가 적용된 Noncoherent OOK UWB 시스템의 성능이 Ideal Adaptive Threshold의 경우와 비트오율 성능이 매우 근접하며, 펄스 반복 전송의 회수의 증가에 따라 비트오율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중경로 채널 환경에서 Noncoherent UWB 시스템을 위한 고속 고신뢰의 동기획득 기법 (Rapid and Reliable Signal Acquisition Scheme for Noncoherent UWB Systems in Multipath Channel)

  • 김재운;양석철;최성수;신요안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41-146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to extend the TSS-LS (Two-Step Search scheme with Linear search based Second step) scheme which was already proposed by the authors for coherent UWB (Ultra Wide Band) systems, to rapid and reliable acquisition of noncoherent UWB systems in multipath channels. The proposed noncoherent TSS-LS employing simple energy window banks utilizes two different thresholds and search windows to achieve fast acquisition. Furthermore, the linear search is adopted for the second step in the proposed scheme to correctly find the starting point in the range of effective delay spread of the multipath channels, and to obtain reliable BER (Bit Error Rate) performance of the noncoherent UWB system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SS-LS can achieve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required mean acquisition time as compared to general search schemes. In addition,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quite good BER performance, which is favorably comparable to the case of ideal perfect timing.

  • PDF

Noncoherent FSK DS/SSMA 통신의 다중 경로 다이버시티 수신 특성 (Multipath Diversity Reception of Noncoherent FSK DS/SSMA Communications)

  • 안재영;이재경;황금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63-679
    • /
    • 1991
  • 본 논문에서는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에서 최대 다중 경로 지연폭이 한 비트 폭보다 큰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심볼간 간섭을 극복하기 위해 M-ary 신호 방식과 절환 신호 방식을 채용한 다중 경로 다이버시티 수신 noncoherent F나 ds / SSMA 통신 시스템의 평균 오율을 평가하였다. 시스템의 평균 오율은 가우스 근사법을 이용해 채널 파라메타와 PN 시퀀스의 길이와 같은 시스템 파라메타에 대한 식으로 표현하였고, 이러한 결과식을 이용해 M-ary FSK 시스템과 두 종류의 절환 수신기에 대한 FSK시스템의 평균 오율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M진 비직교 신호를 위한 최적의 위상비동기 검출기 (The Optimum Noncoherent Detector for M-ray Nonorthogonal Signals)

  • 김광운;곽경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4C호
    • /
    • pp.392-396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n optimum noncoherent detector for M-ary nonorthogonal, unequal energies, unequal priori probabilities nonlinear modulation signals. Theretical derivations are given in detail. Under above conditions, there is not any previous papers to explore the corresponding optimum noncoherent detector. The detector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generic optimum detector which can be applied to nonorthogonal nonlinear M-ary communication systems.

A Noncoherent UWB Communication System for Low Power Applications

  • Yang, Suck-Chel;Park, Jung-Wan;Moon, Yong;Lee, Won-Cheol;Shin, Yo-A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10-216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ncoherent On-Off Keying (OOK) Ultra Wide Band (UWB) system based on power detection with noise power calibration for low power applications. The proposed UWB system achieves good bit error rate performance which is favorably comparable to that of the system using the ideal adaptive threshold, while maintaining simple receiver structure, In addition, low power Analog Front-End (AFE) blocks for the proposed noncoherent UWB transceiver are proposed and verified using CMOS technology. Simulation results on the pulse generator, delay time generator and 1-bit Analog-to-Digital (AID) converter show feasibility of the proposed UWB AFE system.

Multi-Antenna Noncoherent ML Synchronization for UWB-IR Faded Channels

  • Baccarelli Enzo;Biagi Mauro;Pelizzoni Cristian;Cordeschi Nicola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8권2호
    • /
    • pp.194-204
    • /
    • 2006
  • This contribution focuses on the maximum likelihood (ML) noncoherent synchronization of multi-antenna transceivers working in faded environments and employing ultra-wideband impulse radio (UWB-IR) transmit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Cramer-Rao bound (CRB) is derived for the general case of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UWB-IR systems and used to compare the ultimate performance of three basic transmit schemes, thereinafter referred to as 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MIMO equal signaling (MIMO-ES), and MIMO orthogonal signaling (MIMO-OS) ones. Thus, the noncoherent ML synchronizer is developed for the better performing transmit scheme (i.e., the SIMO one) and its performance is evaluated under both signal acquisition and tracking operating conditions. The performance gain in the synchronization of UWB- IR signals arising by the utilization of the multi-antenna technology is also evaluated.

Noncoherent CDMA 시스템에서의 적응 배열 안테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Noncoherent CDMA Systems Using Adaptive Array Antennas)

  • 박재홍;최동민정하송박한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42-45
    • /
    • 1998
  • Adaptive array antenas have emerged as a useful technique to enhance the cell capacity of mobile communications. In this research, to analyze the noncoherent CDMA systems employing adaptive array antennas, we modeled the transmitting signal of CDMA systems using M-ary orthogonal modulation. And we induced the condit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bout the decision variable, the output of 2D-RAKE receiver and mean symbol error prabability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bout MAI(Multiple Access Interference), SI(Self Interference) and Noise. Also, we analyzed the charateristics of adaptive array antenna for noncoherent CDMA systems using M-ary orthogonal modul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rray elements, doppler frequency and AOS(Angle of Sprea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