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vascular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7초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 an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 KWON, Lee-Seung;KIM, Su-Hye;JUNG, Min-Jae
    • 웰빙융합연구
    • /
    • 제4권1호
    • /
    • pp.11-1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job and hypertension. Hypertension is a major risk factor such as stroke, myocardial infarction, heart failure, and vascular aneurys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from this study are the 201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lassified into office workers and non-office workers.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ANOVA test analysis was used for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basic variables and blood pressure. The post analysis as turey was u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tatistical results. Al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4.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mong office workers and non-office workers.

유리 견갑 피판 이식술 (Scapular Free Flap)

  • 정덕환;한정수;임창무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5권1호
    • /
    • pp.24-34
    • /
    • 1996
  • There are many kinds of free flaps for management of extensive soft tissue defect of extremities in orthopaedic field. Free vascularized scapular flap is one of the most useful and relatively easy to application. This flap has been utilize clinically from early eighties by many microsurgical pioneers. Authors performed 102 cases of this flap from 1984 to 1995. We have to consider about the surgical anatomy of the flap, technique of the donor harvesting procedures, vascular varieties and anatomical abnormalities and success rate and the weak points of the procedure. This flap nourished by cutaneous branches from circumflex scapular vessels emerges from the lateral aspect of the subscapular artery 2.5-5cm from its lateral origin passing through the triangular space(bounded by subscapularis, teres minor, teres major, long head of triceps). The terminal cutaneous branch runs posteriorly around the lateral border of the scapular and divided into two major branches, those transeverse horizontally and obliquely to the fascial plane of overlying skin of the scapular body. We can utilize these arteries for scapular and parascapular flap. The vascular pedicle ranged from 5 to 10 cm long depends on the dissection, usually two venae comitantes accompanied circumflex scapular artery and its major branches. The diameter of the circumflex scapular artery is more than 1mm in adult, rare vascular variation. Surgical techniques : The scapular flap can be dissected conveniently with prone or lateral decubitus position, prone position is more easier in my experience. There are two kinds of surgical approaches, most of the surgeon prefer elevation of the flap from its outer border towards its base which known easier and quicker, but I prefer elevation of the flap from its outer border because of the lowering the possibilities of damage to vasculature in the flap itself which runs just underneath the subcutaneous tissue of the flap and provide more quicker elevation of the flap with blunt finger dissection after secure pedicle dissection and confirmed the course from the base of the pedicle. There are minimal donor site morbidity with direct skin closure if the flap size is not so larger than 10cm width. This flap has versatility in the design of the flap shape and size, if we need more longer and larger one, we can use parascapular flap or both. Even more, the flap can be used with latissimus dorsi musculocutaneous flap and serratus anterior flap which have common vascular pedicle from subscapular artery, some instance can combined with osteocutaneous flap if we include the lateral border of the scapular bone or parts of the ribs with serratus anterior. The most important shortcoming of the scapular free flap is non sensating, there are no reasonable sensory nerves to the flap to anastomose with recipient site nerve. Results : Among our 102 cases, overall success rate was 89%, most of the causes of the failure was recipient site vascular problems such as damaged recipient arterial conditions, and there were two cases of vascular anomalies in our series. Patients ages from 3 years old to 62 years old. Six cases of combined flap with latissimus dorsi, 4 cases of osteocutaneous flap for bone reconstruction, 62 parascapular flap was performed - we prefer parascapular flap to scapula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ize of the flap has less meaningful because of the flap has great versatility in size. In the length of the pedicle depends on the recipient site condition, we can adjust the pedicle length. The longest vascular pedicle was 14 cm in length from the axillary artery to the enter point cutaneous tissue. In conclusion, scapular free flap is one of the most useful modalities to manage the large intractable soft tissue defect. It has almost constant vascular pedicle with rare anatomical variation, easy to dissect great versatility in size and shape, low donor morbidity, thin and hairless skin.

  • PDF

카드뮴중독(中毒) 가토(家兎)의 동정맥(動靜脈)에 관하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Vascular Smooth Muscle of $Cd^{2+}$-poisoned Rabbits)

  • 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5권1_2호
    • /
    • pp.29-37
    • /
    • 1979
  • Cd 중독(中毒)으로 가토(家兎)에 고혈압(高血壓)을 일으키고 이를 중독(中毒) 가토(家兎)와 대조(對照) 비중독(非中毒) 가토(家兎)의 간문맥(肝門脈), 흉부(胸部) 대정맥(大動脈) 및 폐정맥(肺動脈)을 적출하여 in vitro에서 장력(張力)-길이의 관계를 관찰하고 NE, $K^+$-depolariration 및 angiotensin의 수축(收縮)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였다. 1. 비중독(非中毒) 대조군의 평균 동맥압은 $87.0{\pm}4.7mmHg$이었고 Cd 중독군(中毒群)에서는 $109.0{\pm}2.8mmHg$로 Cd 중독(中毒)에 의하여 의의(意義)있는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2. 동(動) 정맥(靜脈)의 장력(張力)-길이 곡선(曲線)에서 Cd 중독(中毒) 가토의 간문맥(肝門脈)은 passive tension의 증가에 따라 distensibility가 현저히 증가되나 대동맥(大動脈)에 있어서는 오히려 대조군에 비(比)하여 유의(有意)한 감소(減少)를 나타내었고 폐동맥(肺動脈)은 아무런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3. Passive tension의 증가에 따른 active tension의 변화(變化)는 대동맥(大動脈)에 있어서는 Cd중독으로 현저히 감약되었으나 간문맥(肝門脈)이나 폐동맥(肺動脈)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4. Cd 중독군(中毒群)이나 비중독(非中毒) 대조군에서 passive tension의 변동에 따른 수축결과(收縮效果)는 세 혈관에서 모두 유의(有意)한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5. 대동맥(大動脈) 절편에 대한 angiotensin의 수축(收縮) 효과(效果)는 Cd 중독군(中毒群)에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 PDF

Diallyl Sulfides (DAS) and Diallyl Disulfides (DADS) Exhibit a Suppressive Effect on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 Kim, Min-Ju;Kwak, Jung-Hyun;Baek, Seung-Han;Yeo, Hyun-Yang;Song, Ju-Hyun;Cho, Bong-Jun;Kim, Oh-Yoe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37-142
    • /
    • 2010
  •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organo-sulfur compounds derived from garlic inhibited smooth muscle cell (SMC) proliferation and induced apoptosis of cancer cells. Recently, lipid-soluble compounds such as diallyl sulfides (DAS) and diallyl disulfides (DADS) have been reported to more effectively suppress tumor cell proliferation.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suppressive effects of lipid-soluble garlic sulfur compounds on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AS and DADS on VSMC proliferation/migration induced by oleic acid (OA), a principal fatty acid in circulating triglyceride of blood stream. Assays performed include a tetrazole (MTT) assay, a wound healing assay and a Western blots. VSMC proliferations were enhanced by OA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s of $10{\sim}50\;{\mu}M$ and inhibited by DAS and DADS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OA-induced proliferations were also attenuated by DAS and DADS. OA-induced cell migrations were 2.5 times higher than non-treated control, and they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DAS (32% at $150\;{\mu}M$ and 50% at $200\;{\mu}M$) and DADS (40% at $150\;{\mu}M$ and 46% at $200\;{\mu}M$). OA-induced cell migration was also attenuated by PD98059 (ERK inhibitor), SB203580 (P38 inhibitor) and particularly by LY204002 (PI3K inhibitor) and SP600125 (JNK2 inhibitor). Additionally, Western blot assays showed that OA-induced JNK1/2-phosphorylation was down-regulated after treatment with DAS and DAD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our study support the idea that DAS and DADS may have a suppressive effect on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OA-induced VSMC and that this effect may be partly associated with PI3K and JNK2 pathways.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동정맥 누관의 개발 (Development of U-shaped Arterialvenous Shunt Using Porous Polyurethane)

  • 정재승;김희찬;박광석;최진욱;민병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1-230
    • /
    • 1999
  • 다공성 인공 혈관을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만든 다공성의 시편을 준비하여 여러 가지 물성을 비교하였다. 용매/비용매 교환법에 의한 다공성 부여 방법과 고분자 용액의 냉각에 따른 상전이 현상을 이용하여 고분자 용액의 농도와 냉각속도를 달리하여 인공 혈관 시편을 제작하였다.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그리고 냉각속도가 작을수록 인공 혈관 재료로서 유리한 물성을 지닐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방법으로 다공성을 조절함으로써 재료의 기계적 물겅 또한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냉각 속도를 조절하여 다공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고안된 몰드를 사용하여 기존에는 만들기 어려웠던 균일한 두게의 U자형 소구경 인공 혈관을 만들 수 있었다. 비교적 간단한 도구로 균일한 물성을 지니며 원하는 물성의 인공 혈관을 제조할 수 있었다. 온도를 조절하여 고분자 박막에 다공성을 부여하는 기술은 다양한 기능의 의료용 고분자에 접목하여 필요로 하는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병리학적 병기 I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완전절제술 후 사망의 원인에 따른 위험인자 분석 (Cause-specific Analysis of Risk Factors in Completely Resected Pathologic Stage Ia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박성용;박인규;변천성;이창영;배미경;김대준;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25-731
    • /
    • 2009
  • 배경: Ia 병기의 비소세포성폐암에서 폐엽 절제술과 종격동 림프절 청소술은 표준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약 15~40%의 환자의 재발 또는 사망 등의 치료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저자들은 Ia 비소포성폐암에서의 치료 실패 유형을 분석하고 각각에 따른 위험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비소세포성폐암으로 완전(R0)절제술을 시행받은 15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치료 실패의 원인을 폐암연관 사망 및 폐암무관 사망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156명의 환자중 남자가 93명, 여자는 6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1.31세였다. 중앙 추적관찰 기간은 33.8개월이었다. 5년 생존율은 87.6%였고 10년 생존율은 78.3%였다. 미세 림프관-혈관 침윤이 있었던 환자는 10명이었다. 추적기간 중 19예의 폐암재발이 진단되었으며, 12예의 폐암연관 사망이 발생하였다. 폐암무관 사망은 16예에서 발생하였다. 폐암 재발과 폐암연관 사망의 위험인자는 미세 림프관-혈관 침윤(HR=6.81, p=0.007, HR=7.81, p<0.001)이었으며, 폐암무관 위험인자는 전폐절제술(HR=25.92, p=0.001)과 수술 후 심혈관계 또는 호흡기계통의 합병증 발생여부(HR=29.67, p=0.002)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a 비소세포성폐암의 완전절제술 후 사망 원인은 재발과 이로 인한 폐암연관 사망뿐만 아니라 폐암무관 사망 또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재발 및 폐암연관 사망의 위험인자인 미세 림프관-혈관 침윤이 있는 환자들 대상으로 수술 후 보조 항암요법을 선택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전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나 심혈관계 또는 호흡기계 합병증이 발생했던 환자들에 있어서는 병발증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아름'의 Gibberellin 처리에 따른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the Fruit Developmental Stage as Affected by Gibberellins Treatments in Pyrus pyrifolia Nakai cv. Hanareum)

  • 박지은;권용희;이별하나;박요섭;정명희;최진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33-40
    • /
    • 2014
  • 본 연구는 조생종 '한아름'의 기본적인 해부학적 과실 구조 및 과실 품질과 GA 처리 시의 변화를 구명하여 '한아름'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아름'의 생육기별 과실 발달을 조사한 결과 만개기의 과실 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종류의 유관속 조직이 관찰되었다. 코르크층은 무처리구에서는 만개 후 70일, GA 처리구에서는 만개 후 60일경에 형성되었다. '한아름' 품종의 세포분열 기간은 만개 후 40일까지이며 이후에는 세포비대에 의해 과실이 발달하였다. GA 처리에 따른 과실 비대와 조직 발달을 관찰한 결과, GA 처리는 '한아름'의 세포분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세포비대를 촉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과경부는 세포분열 정지기인 만개 후 40일부터 처리구의 유관속 조직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큰 것으로 관찰되어 '한아름' 과실은 GA를 처리할 시 유관속 조직의 발달을 촉진하여 상대적으로 과실로의 양분 공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확기에 무처리구와 처리구의 평균적인 품질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에서 과중이 높았으나 경도는 낮게 조사되어 '한아름' 과실에 GA를 처리할 경우 수확 후 과실의 저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다.

Cytotoxic Effect of Triglycerides via Apoptotic Caspase Pathway in Immune and Non-immune Cell Lines

  • Lim, Jaewon;Yang, Eun Ju;Chang, Jeong 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6-74
    • /
    • 2019
  • Hyperlipidemia is defined as conditions of the accumulation of lipids such as free fatty acids (FFA), triglyceride (TG), cholesterol and/or phospholipid in the bloodstream. Hyperlipidemia can cause lipid accumulation in non-adipose tissue, which is lipid-cytotoxic effects in many tissues and mediates cell dysfunction, inflammation or programmed cell death (PCD). TG is considered to be a major cause of atherosclerosis through inflammatory necrosis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Recently, TG have also been shown to exhibit lipid-cytotoxicity and induce PC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G on the cytotoxic effect of various cell types. When exposed to TG, the cell viability of U937 monocytes and Jurkat T lymphocytes, as well as the cell viability of MCF-7, a non-immune cell, decreased in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In U937 cells and Jurkat cells, caspase-9, an intrinsic apoptotic caspase, and caspase-8, an extrinsic apoptotic caspase, were increased by exposure to TG. However, in TG-treated MCF-7 cells, caspase-8 activity increased only without caspase-9 activity.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cell viability by TG was recovered when all three cell lines were treated with pan-caspase inhibi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ation of apoptotic caspases by TG causes lipotoxic effect and decreases cell viability.

콜린성 및 아드레날린성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이스라엘잉어 복대동맥의 혈관긴장도 조절기능 (Vasomotor Regulation of the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Ventral Aorta by Cholinergic and Adrenergic Neurotransmitters)

  • 박관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8-45
    • /
    • 2000
  • 어종에 따라 혈관의 긴장도 조절은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대부분의 어종에서 자율신경계 신경전달물질 및 혈관긴장도 조절인자들의 기능에 대하여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아직 연구되지 않은 분야인 이스라엘잉어에서의 자율신경계 신경전달물질들의 혈관긴장도 조절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적출복대동맥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이 적출혈관에서 아세틸콜린 (ACh)은 정상혈관과 미리 일정수준 수축시킨 혈관 모두에서 수축을 유발하였으며 수축작용은 무스카린성 길항제인 아트로핀에 의해 거의 완벽하게 차단되었다. 여러 가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동시에 흥분시키는 내인성 물질인 에피네프린 (Epi)은 혈관의 조건에 상관없이 이완반응을 유발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내인성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NE)은 정상혈관에서는 미약한 수축율, 미리수축된 혈관에서는 이완작용을 유발하였다. 한편 ${\alpha}_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흥분제인 페닐에프린은 수축을, $\beta$수용체 홍분제인 이소프로테레놀은 이완을 각각 유발하였으며 ${\alpha}_2$수용체 흥분제인 클로니딘은 아무런 반응을 유발하지 않았다. Epi, NE 및 이소프로테레놀에 의해 유발된 혈관이완 반응은 $\beta$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길항제인 프로프라놀롤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따라서 살아있는 상태의 이스라엘 잉어에서는 ACh는 주로 무스카린성 수용체 활성화에 의한 혈관을 수축하는 기능을, Epi과 NE는 $\beta$수용체 흥분에 의한 이완작용을 각각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특징 (Vascular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ited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임재원;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8-95
    • /
    • 2009
  •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