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sterilized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2초

Quality comparison of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nd commercial apple vinegar products

  • Sun Hwa Kim;Ji-Hyung Seo;Yong-Jin Jeo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5-244
    • /
    • 2024
  • A nonthermally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as manufactured using an ultra-fine filtration process (0.2 ㎛ membrane filter) and its quality was comparable to commercially available vinegar products. First, using apple concentrate as a raw material, it was possible to produce non-thermal sterilized Using a two-stage fermentation process of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s, a non-thermally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ith pH 2.94 and an acidity of 6.20% was produced from an apple concentrate. The fermentation process increased the browning index significantly. However, the fundamental quality parameters of the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 with sterilized apple vinegar (B)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pH (2.92-2.95) of apple vinegar (A and B) was higher than that (pH 2.65-2.70) of commercial vinegar (C and D), and the total acidity, which is in the range of 6.20-6.21% and 6.53-6.90%, respectively, was higher in samples C and D than in samples A and B. However, four kinds of organic acids were detected in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 and its total organic acid content (6,245.00 m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B, C, D) (p<0.05). In particular, malic acid content, as a main organic acid in apples, was very high in sample (A) (244.83 mg%) and sample (B) (210.21 mg%), compared to commercial products C (125.78 mg%) and D (86.90 m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apple vinegar (A, B) we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ose of commercial products (C, D). Vinegar A ha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than vinegar B. The above results sugges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commercialize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ith higher orga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using ultra-fine filtration.

Rhizosphere 토양과 Non-rhizosphere 토양에서 Pyrene의 분해속도 비교 (Comparison of Biodegradation of pyrene between Rhizosphere Soil and Non-rhizosphere Soil)

  • 김상채;이의상;서성규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1-78
    • /
    • 1998
  • Pyrene은 보통 석유류로서 오염된 지역에서 쉽게 발견된다. 이 화합물은 생물학적으로 난분해성물질이므로 오염지역에서 장시간 존재한다. 세 종류의 토양(rhizosphere soil, non-rhizosphere soil, sterilized soil)에서 pyrene의 분해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microcosm실험을 수행하였다. Pyrene 농도감소속도는 rhizosphere soil)non-rhizosphere soil>sterilized soil 순서로 증가하였다. 또한 뿌리 유출물을 모사한 유기산의 첨가는 pyrene의 농도감소에 큰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pyrene농도감소 속도와 토양미생물의 증가는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의 밀도가 높은 rhizosphere 토양에서 pyrene의 생물학적 분해가 효과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액란의 냉장저장 중 미생물 및 이화학적 성상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quid Egg during Cold Storage)

  • 강근호;조수현;성필남;박범영;함준상;정석근;김동훈;채현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7-562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액란의 냉장저장 중 미생물 및 이화학적 성상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액란은 살균 및 비살균 처리된 전란액, 난황액 및 난백액으로 여름철과 겨울철 생산 제품에 대해 각각 조사하였다. 냉장저장 중 세균수의 경우 여름철에 생산된 비살균 액란(전란액, 난황액 및 난백액)은 1,270-83,300 CFU/g 수준으로 겨울철에 생산된 비살균 액란의 0-4,330 CFU/g 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 전란액과 살균 난황액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액란생산 계절과 관계 없이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살균 액란은 냉장저장 중 겨울철에 생산된 난백액에서만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는 살균 및 비살균 액란 모두에서 냉장저장 중 액란 생산 계절과 관계없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름철에 생산된 비살균 전란액으로부터 Salmonella 의심균을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 Pseudomonas geezenne, Pseudomonas otitidis, Pseudomonas aeruginosa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액란의 냉장저장 중 pH 및 점도변화는 살균과 비살균 처리구간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름철에 비살균 액란 생산시 교차오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傳統醱酵食品)의 연구개발동향(硏究開發動向) (R & D Trend of The Traditional Fermented Foods in Korea)

  • 임번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65-269
    • /
    • 1989
  •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have been diversely developed to enhance taste and flavor while preserving them on a long term basis. For those furthur utilization and development, more efforts to commercialize these products focusing to the consumer's needs should be proceded. In that sence, the fermented foods might be classified into the bioproduct (biofood) and the sterilized. The former defines the non-sterilized such as Kimchi, Jeotkal (fermented fishes), and Jang (fermented soybean products) so as to include various kinds of microorganisms, enzymes and the unknown bioproducts, while the latter defines the sterilized such as soysauce and vinegars proper to the commercialization. In this paper, present R & D status has been reviewed laying stress on Kimchi, Jeotkal and Jang and the mixed fermentation system by the microflora was suggested as a Korean style model for the future R & D direction in these fields.

  • PDF

Membrane Filtration에 의한 약주의 저장성 증진 (Improvement of Shelf-life of Yakju by Membrane Filtration)

  • 강미영;박영서;목철균;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34-1139
    • /
    • 1998
  • 막여과 약주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여과막으로 여과한 약주를 $25^{\circ}C$에서 50일간 저장하면서 약주의 pH, 적정산도, 탁도 및 총균수, 젖산균수, 효모수를 측정하였다. 비살균 약주는 저장 중 적정산도, 탁도, 생균수가 증가한 반면 pH는 감소하였다. 막여과 약주의 경우 적정산도와 탁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약주내 미생물들이 관찰되지 않아 높은 저장성을 보여주었다. 키토산을 0.1% (w/v)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생균수의 급격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어 높은 살균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소독방법이 PPDO-hybrid-PLGA nanofiber scaffold의 형태와 세포부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FFERENT STERILIZATION METHODS ON THE SURFACE MORPHOLOGY OF PPDO-hybrid-PLGA NANOFIBER SCAFFOLD AND ATTACHMENTS OF PC12 CELL)

  • 이주현;민현기;정주영;강나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6호
    • /
    • pp.635-639
    • /
    • 2008
  • Objectives : the effect of different sterilization methods on the surface morphology of PPDO-hybrid-PLGA nanofiber scaffold and attachments of PC12 cell were investigated. Methods : Poly (p-dioxone)-hybrid-Poly (lactide-glycolide) (PPDO-hybrid-PLGA) nanofiber scaffold, fabricated in a tube form with 1.5 mm internal diameter, 0.2 mm thickness and 5 mm length, was prepared using electrospinning method. To study the surface morphology using SEM, The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in respective were; Control:Non-sterilized scaffold, Group I:scaffold sterilized with 70% Alcohol, Group II: scaffold sterilized with Ethylene Oxide at $65^{\circ}C$, and Group III: scaffold sterilized with Ethylene Oxide at $37^{\circ}C$. To investigate viability of the PC12 cell on the scaffold, The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in respective were; Control: sterilized with 70% Alcohol, Group I: sterilized with Ethylene Oxide at $65^{\circ}C$, and Group II: sterilized with Ethylene Oxide at $37^{\circ}C$. Results : 1. The surface morphology was slightly changed in Group I, II and Group III, compared with control. 2. The attachment of PC12 cells in Group I, II was not higher than in control Discussion : The attachment of PC12 cell is not influenced by different sterilization methods.

구강체온계의 각 소독솜 별 소독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erilization of the thermometer c three disinfectant sponges)

  • 강수금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20
    • /
    • 1980
  • This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effect of sterilization of the thermometer with three sorts of disinfectant sponges-0.1 % bichloride of mercury sponge 70% alcohol sponge, 0.5% zephiran chloride sponge,- by bacterial culture methods in 10 admitted adult patients in S. Hospital, Mok Po c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thermometer sterilized with 0.1 % bichloride of mercury sponge showed no growth of bacteria organism in 5 cases but showed growth of pathogenic organism in 1 case and non pathogenic organism in 4 cases. 2. The thermomerer sterilized with 70 % alcohol sponge showed no growth of bacteria organism in 8 cases but showed growth of nonpathogenic organism in 2 cases. 3. The themometer sterilized with 0.5 % zephiran chloride sponge showed no growth of bacteria organism in all 10 cases.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0.5 % zephiran chloride would be most effective in sterilization of thermometer.

  • PDF

한국 인삼의 Allelopathy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llelopathy of the Korean Ginseng)

  • Lee, Seong Ho;Jai Seup Ro;Kyung So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4호
    • /
    • pp.250-256
    • /
    • 1983
  • Dehiscence of ginseng seeds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growing experiment in the different soil conditions, and growing experiment with extracts obtained by water passed the pot of 4 year ginseng plan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survival rate of ginseng plants in the soil of ginseng field sterilized by MIYAZAWA's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sterilized, but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survival rate of ginseng plants on the sterilized soil of ginseng field was lower than that on the surrounding soil. The growth of ginseng plants cultivated with the water passed through the pot-planted 4-year-old ginseng plants was strongly inhibit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Besides biological cause, chemical products excreted from the root of ginseng plants might be the important factors of soil sickness in the successive cultivation of the same plants.

  • PDF

Dinobuton의 토양(土壤) 및 용액중(溶液中)에서 분해(分解) (Degradation of Dinobuton in Soil and Solution)

  • 홍종욱;김정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22
    • /
    • 1984
  • 용액(溶液) 내(內)에서 dinobuto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온도(溫度)와 pH의 영향(影響) 및 토양중(土壤中)에서의 분해양상(分解樣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증류수(蒸溜水) 내(內)에서 dinobuton의 반감기(半減期)는 $30^{\circ}C$$60^{\circ}C$에서 각각(各各) 27일(日)과 6일(日)이었다. 산성(酸性)인 완충용액중(中)에서 dinobuton의 반감기(半減期)는 약(約) 27일(日)이었으나 pH가 9,10에서는 각각 10일(日), 4일(日)로 alkali성(性)이 강(强)할수록 dinobuton의 분해(分解)는 빨랐다. 증류수(蒸溜水)와 완충용액 내(內)에서는 dinobuton이 가수분해(加水分解) 되어서 소량(少量)의 dinoseb가 생성(生成)되었다. Dinobuto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살균토양(殺菌土壤)에서는 무살균토양(無殺菌土壤)에서 보다 dinobuton의 반감기(半減期)가 약 16일(日) 지연(遲延)되었으며, dinobuton의 분해생성물(分解生成物)인 dinoseb도 살균토양(殺菌土壤)에서 분해(分解)가 지연(遲延)되었다.

  • PDF

남부지방에 발생하는 Rhizoctonia solani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Isolates from Southern Horticultural Area in Korea)

  • 노명주;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7-222
    • /
    • 1987
  • 남부지방의 고추, 오이, 대추, 딸기, 수도 등에 발생한 모잘록병 이병주에서 분리한 9가지 Rhizoctonia solani 균주의 고추, 오이, 무, 대추에 대한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GI 균주는 공시한 모든 기주에 대해 강한 병원성이 있었고, AG2군 1형 균주는 무와 배추에 대해서는 강한 병원성을, 고추에 대해서는 묘령이 증가함에 다라 발병이 적어 중정도의 병원성이 있었으나, 오이에 대해서는 병원성이 매우 약한 경향이었다. AG2군 2형 균주는 고추를 제외한 나머지 작물에는 병원성이 없거나 약하였고, AG5 균주는 공시한 모든 기주에 대해 중정도의 병원성이 있었다. 각 균주의 병원성 정도는 균계융합군(AG)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같은 균사융합군(AG)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즉, AG1은 공시한 모든 기주에 강한 병원성을 보였으며, AG2군 1형 균주는 오이에 대해서만 약한 정도의 병원성을, 다른 기주에 대해서는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각 기주의 묘령별 발병율은 살균토나 비살균토에서 묘령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오이 뿌리와 수도줄기에서 분리한 병원성이 강한 균주에 대해서 각 기주는 묘령에 따른 발병율의 차이가 없었다. 살균토와 비살균토에서 병원성을 비교하면 병원균이 분리된 기주 및 근록의 작물에 대해서는 비살균토보다 살균토에서 더 강한 병원성을 보였으나, 병원균이 분리된 작물과 원록의 작물에 대해서는 살균토보다 비살균토에서 더 강한 병원성을 보였는데, 전반적으로는 다른 토양전염성병과는 달리 살균토보다 비살균토에서 병원성이 더 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