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fibrous matter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파주 금릉리 출토복식의 섬유외 성분 연구 -KS 시험규격의 활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f Nonfibrous Matters in the Textiles Exhumed from Keumreung-Ri, Pajoo Application of KS Test Method)

  • 안춘순;조한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72-78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fiber content of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n-fibrous matters within the textiles exhumed from Keumreung-Ri, Pajoo of Kyunggi-do. Various microscopic methods' and the IR spectroscopy were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fibers. The KS K 0251 Test Method as well as the IR spectroscopy and the S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econ-fibrous matters. Fiber identification showed that each of the Pajoo samples were composed either of silk, cotton, or rami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non-fibrous matters were as follows. The amount of water-extracted compound exceeded that of chloroform-extracted compound in both Pajoo 2 and Pajoo 5 samples. In Pajoo 5 sample which have already been dry cleaned using the mixed solution of n-hexane and n-dacane, the amount of chloroform extracted compound was 0% of the total extracted matter. The enzyme and HCI disintegration steps further removed the soils those were nonsoluble in water or chloroform. The most extraction was achieved at the HCI extraction stage.

  • PDF

산업용지 제조용 압축폐지 베일의 분석 및 섬유 특성 평가 (Evaluation of Wastepaper Bale Compositions and their Fiber Properties for Board Grade Paper)

  • 이태주;고승태;강광호;김형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4호
    • /
    • pp.82-90
    • /
    • 2009
  • It is very important to utilize effectively fibrous waste paper in terms of cost savings, environmental effects, and governmental policies. The quality of final products and runnability of papermaking process are primarily affected by constitutions of fibrous raw materials. In specific, board grade paper depends directly on compositions of waste paper bales. At present, the raw materials of board grade paper are mainly derived from lots kinds of wastepaper. Some papermaking countries, like EU, USA and Japan have advanced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s of recycled fiber, but Korea has not yet organize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evaluation of wastepaper bale compositions and their fiber properties were carried out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fibrous raw materials for board grade paper production. 3 kinds of wastepaper bales were classified to fibrous or non-fibrous materials. In case of fibrous materials, KOCC, kraft sack paper and white duplex board matters were main component in total weight basis, and in case of non-fibrous materials, vinyl, plastic and cloth matters were main component, in turns. 3 representative kinds of waste paper were disintegrated and classified, and then prepared to handsheet for evaluation of recycled fiber property. Consequently, fines and ash content of waste paper, isolated from KOCC and white duplex board were higher than that of kraft sack paper. pH values of all kinds of waste fibers were neutral or weak alkaline.

마포 밀창군 묘 출토 복식유물의 섬유외 물질의 추출분석 (Analysis of the Extracted Non-fibrous Matters from the Exhumed Textiles of Milchang-gun Burial of Mapo)

  • 안춘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6호
    • /
    • pp.902-91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wo-folds; first, to investigate the type of soil contaminated in the Hunsang excavated from the Milchang-gun burial of Mapo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the adequate washing method, second, to utilize the chemical degradation result obtain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to identify the natural dye source used in the Hunsang textile. The application of KS K0251 test showed that the soil was more oleophilic than hydrophilic thus indicating that wet cleaning was more adequate that dry cleaning for the removal of Hunsang soil. The GC-MS result of the Hunsang extraction showed dimethyl phthalate and 2,4-di-tert-butylphenol as its degradation product and these coincided with the degradation products from the alizarin standard data of previous research. The comparison of the two suggested that it is likely that Hunsang was dyed with madder which has alizarin as its major chromophore.

  • PDF

한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분석 (Analysis of Sludges from Wastewater of Hanji Production)

  • 최희선;김태진
    • 분석과학
    • /
    • 제12권4호
    • /
    • pp.318-325
    • /
    • 1999
  • 한지를 만들 때 발생하는 폐수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슬러지를 분석하여 본 결과 잿물 삶기 공정과 최종 화학 및 미생물처리 공정의 슬러지는 섬유질이 아니고, 표백 공정, 표백제 씻기 공정, 그리고 지통으로 옮기기 공정의 슬러지는 섬유질이었다. 고형분의 양은 표백 공정에서 가장 많았다. 수분 함량은 표백, 표백제 씻기 및 최종 화학 및 미생물 처리 공정의 슬러지 시료가 80~90% 정도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pH를 냉수와 열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표백 시료가 하이포아염소산 이온으로 인해 다른 시료보다 높은 pH를 나타내었다. 슬러지의 무기물 성분 함량은 잿물 삶기 시료에서는 Na, 표백제 씻기 시료에서는 Ca, 최종 화학 및 미생물 처리 슬러지에서는 Ca 와 Al을 주로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외에도 Mg, Fe, K, P, Mn, Ti 등도 적은 양을 포함하고 있었다. 회분의 함량은 표백 공정의 슬러지일 경우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슬러지를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섬유질 모양과 결정성 모양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는데 섬유질의 폭은 $5{\sim}50{\mu}m$ 정도이었다. 냉수와 온수에서 녹아 나오는 가용분과 알코올-벤젠 가용분 모두 표백 공정의 슬러지에서 가장 많았다.

  • PDF

버섯의 봉지재배 및 병재배 시 재배단계별 배지의 사료영양적 성분, 독성중금속 및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Feed-Nutritional Components, Toxic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in Mushroom Substrates According to Bottle Type and Vinyl Bag Type Cultivation)

  • 김영일;배지선;허정원;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67-7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새송이버섯 병재배방식과 느타리버섯 봉지재배방식의 재배단계별(최초 배지 단계, 균사체 배양 후 배지 단계, 자실체 수확 후 폐배지 단계)로 배지의 화학 성분의 흐름을 추적 구명하고, 독성 중금속(Cd, Pb, As)과 잔류 농약으로부터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양 재배방식 공히 최초 배지와 비교해서 자실체 수확 후의 영양소의 양적 감소 정도에 있어서 총무게는 평균 29%, 건물과 유기물은 공히 21~25%, 섬유소는 19~22% 감소하였다. 재배단계에서 분해 이용된 유기물 량의 2/3~3/4은 섬유소(NDF)였으며, 이용된 섬유소의 주된 성분(50~70%)은 hemicellulose이었다. 균사체 성장이 배지의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효과는 새송이버섯의 병재배 시에는 미미하였으나(P>0.05), 느타리버섯의 봉지재배 시에는 ADF 성분을 제외한 거의 모든 유기물과 무기물이 분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자실체는 봉지재배 시보다는 병재배 시에 배지내의 영양소를 매우 활발하게 흡수하였다(P<0.05). 수확한 자실체는 폐배지보다 조단백질, 비섬유성탄수화물, 조회분 성분이 훨씬 높고(P<0.05), NDF 성분은 훨씬 낮아서(P<0.05), 폐배지의 화학적 조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배지는 독성 중금속과 잔류농약의 오염이 거의 없어 위생적으로 안전하였다. 결론적으로 최초 배지와 비교해서 폐배지는 난분해성 섬유소 성분이 증가하고, 조단백질 중 순수단백질이 줄고, 비소화성단백질이 느는 등 질적으로 떨어져서 사료영양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