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falling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229초

아스팔트 포장의 점탄성 거동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coelastic Model of Asphalt Concrete Pavement)

  • 조병완;태기호;노동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A호
    • /
    • pp.429-4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을 구성하고 있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점탄성(Viscoelasticity) 거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의 일반적인 역학적 모델을 고찰하였으며, 차량의 단일 축 하중을 고려한 점탄성 모델식을 제안하고 그 모델에 대한 기본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식의 검증을 위해서 시험구간에 대하여 비파괴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하중 이력에 따른 변형률과 처짐값을 산출하고 이를 제안된 모델식의 계산값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험값과 모델식의 결과값의 오차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간에 따른 처짐의 양상만을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식에 의해서 실제 하중에 의한 포장의 처짐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노인 보행 시 하지 근 활동 양상과 관절의 안정성이 낙상에 미치는 영향 -후향성 연구- (Effects of Muscle Activation Pattern and Stability of the Lower Extremity's Joint on Falls in the Elderly Walking -Retrospective Approach-)

  • 류지선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3호
    • /
    • pp.345-35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자와 비낙상자 간 보행 시 하지의 국부적 안정성과 근 활동 양상을 후향성 접근을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보행 시 낙상 경험이 있는 20명과 낙상 경험이 없는 20명이 선정되었다. 트레이드밀 보행 시 3차원 운동 캡쳐 시스템과 무선 근전도 장비를 이용해 운동학적 좌표와 근전도 신호를 수집했다. 운동좌표를 이용해 무릎과 발목 관절의 3차원 각 변위를 산출했으며, 이들의 국부적 안정성을 Lyapunov 지수를 통해 계산했다. 근 활성도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해 대퇴직근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과 비복근을 살펴봤으며, 또한 이들의 동시 수축 지수를 정량화했다. 연구 결과 무릎 관절의 내·외전 움직임의 국부적 불안정성은 비낙상자 집단이 낙상자 집단보다 컸으며(p<.05), 전경골근의 근활성도는 낙상자 집단이 비낙상자 집단보다 적게 나타났다(p<.05). 또한 비복근과 전경골근의 동시 수축 지수는 낙상자 집단이 비낙상자 집단보다 컸다(p<.05). 그 밖에 낙상자 집단에서 비복근과 전경골근의 동시 수축 지수와 발목 관절의 굴신 움직임에 대한 국부적 안정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따라서 보행 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릎 관절의 내·외전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들을 강화하고, 발목 관절의 굴신에 작용하는 비복근과 전경골근을 균형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태극운동이 낙상 위험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기능 및 낙상발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ai Chi Exercise on Physiologic, Psychological Functions, and Falls among Fall-Prone Elderly)

  • 최정현;문정순;송경애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2-76
    • /
    • 2003
  •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ai Chi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s, psychological functions, and fall among the fall-pron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 2001 to January 31, 2002. The study, conducted at two facilities located in Kwang-ju, was targeted to the ambulatory aged 60 years or older who had at least one of the key fall risk factors.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ai Chi exercise for 40 minutes per one time and three times a week for 12weeks at an auditorium. Fifty nine fall-prone elderly were assigned to 12-week Tai Chi exercise program (n=29) and control group (n=30). They underwent tests of lower muscle strength, time for chair stand, balance, flexibility, depression, falls efficacy, fear of falling, and numbers of fall at the baseline and at the 12th week. Numbers of fall and fall injuries were monitored for 16 weeks(12-weeks intervention plus 4-week follow-up periods) using fall calendar. Each participant was given a calendar to record the numbers of fall per day for a month. The calendars were collected at the last week of each month. 1. Tai Chi exerciser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rength of knee flexors, and ankle dorsiflexors and plantarflexo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improvement in the strength of knee extensor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2. Tai Chi exercisers reported positive change in the average time of chair stand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Tai Chi exercisers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lexibilit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pression between the two groups, even though the Tai Chi exercisers maintained depression score in the same level while the others were increased. 5. Tai Chi exerciser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falls efficac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alls effica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pposite was identified among the control group. 6.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fear of fall, whereas control group reported the opposite. 7. Of the 59 subjects for 16weeks(12weeks intervention period and 4weeks follow up), 9 (31.0%) of the 29 in exercise group and 15 (50%) of the 30 in the control group fell (relative risk=0.62. 95% CI 0.32-1.19), even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ai Chi exercise program can improve the strength of knee flexors, ankle dorsiflexors and plantarflexors, chair stand. flexibility, falls efficacy, and fear of falling for the fall-prone elderly.

  • PDF

현장 도로평가장비를 이용한 입상재료층의 비선형 재료상수 추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Nonlinearity Parameter in Unbound Material for Asphalt Concrete Pavement using Field-NDT Equipment)

  • 서주원;최준성;김수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D호
    • /
    • pp.227-234
    • /
    • 2008
  • 국내의 경우 도로포장설계시 외국의 설계법을 단순히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건설재료, 기후 및 교통조건 등이 외국과 상이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제한성이 있다. 특히, 국내 포장구조해석에서 아스팔트층 거동특성만을 중요시하는 해석은 포장구조체가 각 층의 영향을 받는 종합적인 거동특성을 보인다는 포장구조체 시스템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도로포장 설계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포장구조체의 해석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하부의 다층구조로서의 역학적 거동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하여 비파괴 시험장비인 FWD(Falling Weight Deflectometer) 를 이용하여 층 재료 자체의 성질을 대변하는 모델 중 포장하부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한 비선형 탄성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복잡한 실험을 통해 얻게되는 비선형탄성모델의 구성인자인 재료상수를 FWD 시험자료로부터 직접 추정하는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FWD 시험의 비선형성을 고찰하고, 실내 $M_R$ 시험을 통해 결정되는 재료상수를 현장에서 수집된 FWD 자료로부터 추정하는 체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체계로부터 추정된 재료상수는 실내시험을 통해 제안된 국내 보조기층의 재료상수 범위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WD 를 이용한 비선형모델 적용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깊이별 처짐 측정장비인 MDD(Multi-Depth Deflectometer) 현장시험자료를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선형탄성모델을 적용한 방법이 기존의 선형탄성모델보다 실제 MDD 실측값에 더 가까운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밭담은 태풍에 왜 안 무너지나?: 비직교 대칭 하중 아다마르 행렬에 의한 수학적 접근 I (Why Won't the Field Wall Collapse in the Typhoon? : Mathematical Approach to Non-orthogonal Symmetric Weighted Hadamard Matrix I)

  • 이문호;김정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11-217
    • /
    • 2019
  • 제주의 3대 발명은 1234년 김구 판관의 밭담, 제주 사람들의 방목문화 관습에서 나온 정낭, 1406년 문방귀의 묘의 신문인 올레 등을 들 수 있다. 돌과 돌의 수 눌음에서 나온 외담인 밭담은 친족사회인 괸당을 만들었다. 30m/s 이상 불어오는 태풍에도 약 1.5m 높이인 밭담은 무너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주 사회의 괸당도 어떤 어려움이 닥쳐도 서로 도와 무너지지 않는다. 밭담을 쌓을 때는 밑돌인 괸돌 둘을 나란히 평면으로 붙이고 그 위에 왼쪽 윗돌로 괴고 옆에 오른쪽 윗돌을 상보적으로 붙인다. 밭담이 밑에서 위쪽으로 한 돌, 두 돌 붙여나가는데 가운데 돌은 조금 작거나 큰 비정형 돌들로 쌓으면 하나의 공간에선 평면 밭담이 된다. 괸당은 할아버지, 할머니-아버지, 어머니-나를 중심으로 가깝고, 먼 혈족이 수직관계를 나타낸다. 밭담은 밑에서 위로 쌓아가는 수직관계인 데 반하여, 괸당은 윗대 할아버지 친족에서 아랫대의 손자까지 피를 나누어가는 수평 관계다. 본 논문은 밭담 가운데 돌이 큰 돌(작은 돌)을 놓는가에 대해서 비직교 대칭 하중 Hadamard 행렬로 접근한다.

Radiotherapy for pituitary adenomas: long-term outcome and complications

  • Rim, Chai-Hong;Yang, Dae-Sik;Park, Young-Je;Yoon, Won-Sup;Lee, Jung-Ae;Kim, Chul-Yo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56-163
    • /
    • 2011
  • Purpose: To evaluate long-term local control rate and toxicity in patients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for pituitary adenoma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0 patients treated with EBRT for pituitary adenoma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96 and 2006. Thirty-five patients had hormone secreting tumors, 25 patients had non-secreting tumors. Fifty-seven patients had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RT), and 3 had received RT alone. Median total dose was 54 Gy (range, 36 to 61.2 Gy). The definition of tumor progression were as follows: evidence of tumor progression on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worsening of clinical sign requiring additional operation or others, rising serum hormone level against a previously stable or falling value, and failure of controlling serum hormone level so that the hormone level had been far from optimal range until last follow-up. Age, sex, hormone secretion, tumor extension, tumor size, and radiation dose were analyzed for prognostic significance in tumor control. Results: Median follow-up was 5.7 years (range, 2 to 14.4 years). The 10-year actuarial local control rates for non-secreting and secreting adenomas were 96% and 66%, respectively. In univariate analysis, hormone secretion w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p = 0.042) and cavernous sinus extens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factor (p = 0.054) for adverse local control. All other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hormone secretion and gender were significant. Fifty-three patients had mass-effect symptoms (headache, dizziness, visual disturbance, hypopituitarism, loss of consciousness, and cranial nerve palsy). A total of 17 of 23 patients with headache and 27 of 34 patients with visual impairment were improved. Twenty-seven patients experienced symptoms of endocrine hypersecretion (galactorrhea, amenorrhea, irregular menstruation, decreased libido, gynecomastia, acromegaly, and Cushing's disease). Amenorrhea was abated in 7 of 10 patients, galactorrhea in 8 of 8 patients, acromegaly in 7 of 11 patients, Cushing's disease in 4 of 4 patients. Long-term complication was observed in 4 patients; 3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1 patient developed dementia. Of these patients, 3 of 4 received more than 60 Gy of irradiation. Conclusion: EBRT is highly effective in preventing recurrence and reducing mass effect of non-secreting adenoma. Effort to improve tumor control of secreting adenoma is required. Careful long-term follow-up is required when relatively high dose is applied. Modern radiosurgery or proton RT may be options to decrease late complications.

연구개 열창의 비외과적 처치술 (NON SURGICAL TREATMENT OF SOFT PALATE LACERATION)

  • 채규호;최병재;최형준;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50-454
    • /
    • 2002
  • 연구개 및 구인두부의 열창은 아동들에게 상대적으로 흔한 편이다. 연구개 열창은 신생아부터 노년층까지 모든 연령에 걸쳐 보고된 바 있지만, 어린 아동들 특히 걸음마를 막 시작한 아동들에게서 많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아동들의 경우 입안에 물체를 물고 돌아다니다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구인두부 열창을 입게되는 경우가 많은 편이고, 주로 4세 정도에 호발하며, 여아보다는 남아에서 더 이러한 외상이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주로 손상을 입는 연구개 및 구인두 부위는 좌측 편도 상단부위이며, 관통상없이 선상이나 표면상의 손상으로 주로 발생하고, 손상 형태는 U자 형태 혹은 V자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외상에 있어 관통상이나, 크게 조직편이 이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봉합술은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러한 봉합술이 외상부위의 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본 창상의 치유에는 3주정도 소요되며 상흔은 거의 남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연구개의 창상이 경동맥의 손상을 야기하여 신경학적인 합병증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2-3일간은 외상을 입은 환아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합병증 발생시 구강외과의 및 이비인후과의 또는 신경외과의와의 협의진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2세 및 3세 남환아로 입안에 이물질을 물고 넘어져 연구개의 열창을 입은 경우로 비외과적인 처치 및 신경학적인 평가 후 완치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지류하천의 유황분석을 통한 BOD5 농도변화 유형 분석 (Study of BOD5 Variation Patterns with Flow Regime Alteration in the Tributaries)

  • 정우혁;김영일;김홍수;문은호;박상현;이상진;정상만;조병욱;최정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99-508
    • /
    • 2011
  • We analyzed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y with flow regime alteration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where the stream management is considerably difficult due to the high variability of the flow rates. In this study, both flow rates and water qualities were monitored at the tributaries, 34 in count, of both Geum River and Sabgyo Lake Basins.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ies were divided into 2 types, based on their stream flow rates, known as Type I and Type II. If the water quality of a stream increases during low flow rate periods compared with high flow rate periods, it is classified as Type I; if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 increases during high flow rate periods compared with low flow rate periods, it falls under Type II. The analysis for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ies, of all 43 basins, resulted to 24 basins under Type I and Nineteen 19 basins under Type II.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ies were analyzed first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follow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average slope of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ies and the slope of the standard deviations were 0.00135 and 0.00477, respectively.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both Type I and Type II basins were 61.1% and 38.9%, respectively. The basin having a probability distribution of 61.1% and is also known as Type I, increases during periods of low flow rates, due to the presence of point sources. Therefore, the basin should be enforced with stream management. Before the stream management can be implemented in all streams falling under Type II, the sources of contaminants should first be estimated. These contaminants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s, the first is Point source pollution and the second is Non-point source pollution, where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can be sub-divided into two types, with storm runoff and without storm runoff.

노거수 내부결함 탐지를 위한 비파괴 음파단층촬영의 신뢰성 분석(소나무·은행나무를 중심으로) (Reliability of Non-invasive Sonic Tomography for the Detection of Internal Defects in Old, Large Trees of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and Ginkgo biloba L.)

  • 손지원;이광규;안유진;신진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35-549
    • /
    • 2022
  • 강풍, 폭우 등 이상기후의 대형화와 빈도 증가로 인해 나무가 부러지거나 쓰러지는 훼손이 증가하고 있으나 나무 내부의 공동, 부후 등 구조적 결함은 육안조사로 판별이 어렵기 때문에 예측을 통한 사전대응에 한계가 있다. 비파괴음파단층촬영은 나무에 미치는 물리적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내부결함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내부결함 진단에 효율적이나 수종별 정확도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현장적용 전 측정결과의 신뢰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수종인 소나무와 은행나무 노거수를 대상으로 음파단층촬영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침입성 드릴저항 측정을 교차 적용하여 목재 내부결함을 측정하고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 결함부 측정 평균값에 대한 t검정 결과 소나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은행나무는 유의성에 차이가 있었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두 수종 모두 드릴저항그래프의 결함이 증가할 때 음파단층영상 결함이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호교환식 메트로놈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the Plantar Pressure and Fall 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황원경;이한숙;박선욱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5-11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the plantar pressure and fall 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two hemiplegic patien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emphasized weight-bearing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he training was performed three times per week, 40 minutes per each session, for a total of seven weeks. The plantar pressure was assessed using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pressure, whereas the fall efficacy was assessed using the FES (Fall Efficacy Scale), ABC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nd FOFQ (Fear of Falling Questionnaire). RESULTS: After training,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paretic side of the contact area and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 of contact pressure in both groups (p<.05). The between-group differences i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rai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aretic side of the contact pressure (p<.05). After training, both the FES of the between-group and ABC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5), but the between-group differences i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rain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ES, ABC, and FOFQ (p>.05). CONCLUSION: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is considered an effectiv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contact pressure of the paretic side in chronic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