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 SURGICAL TREATMENT OF SOFT PALATE LACERATION

연구개 열창의 비외과적 처치술

  • Chae,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Choi, Byung-Ja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Choi, Hyung-J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Son, Heung-Ky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채규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병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형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손흥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8.31

Abstract

Laceration of soft palate and oropharynx is relatively common in children. Soft palate laceration has been reported patients of all ages, ranging from new born to geriatric patients. However, young children often place objects their mouth, they may fall on the object or receive a direct force on the object which then perforates the soft palate tissue. Most frequently affected site is the left supra-tonsillar area. Lesions are predominately in the soft palate with-out perforation. Linear and superficial wounds are frequent. A typical injury is the flat- U-, or V-shaped with apex directed anteriorly. In those cases without any through-and-through lacerations or any tissue loss, suture is not necessary. Furthermore, suture of the affected site may hinder wound healing. Healing of the wound should be complete by three weeks with minimal scarring. There have been reports of carotid artery injury due to soft palate laceration causing neurologic complications. For such reasons, traumatized child must be in close observation for 2-3days, and if symptoms of complication are noticed consultation with oromaxillofacial surgeons, E.N.T., or neurologist is required. These are two reports of boys 2 and 3 years of age who had soft palate laceration caused by a falling-down-in jury with an object in their mouth. They were treated non-surgically and neurologic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1 week with complete healing.

연구개 및 구인두부의 열창은 아동들에게 상대적으로 흔한 편이다. 연구개 열창은 신생아부터 노년층까지 모든 연령에 걸쳐 보고된 바 있지만, 어린 아동들 특히 걸음마를 막 시작한 아동들에게서 많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아동들의 경우 입안에 물체를 물고 돌아다니다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구인두부 열창을 입게되는 경우가 많은 편이고, 주로 4세 정도에 호발하며, 여아보다는 남아에서 더 이러한 외상이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주로 손상을 입는 연구개 및 구인두 부위는 좌측 편도 상단부위이며, 관통상없이 선상이나 표면상의 손상으로 주로 발생하고, 손상 형태는 U자 형태 혹은 V자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외상에 있어 관통상이나, 크게 조직편이 이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봉합술은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러한 봉합술이 외상부위의 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본 창상의 치유에는 3주정도 소요되며 상흔은 거의 남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연구개의 창상이 경동맥의 손상을 야기하여 신경학적인 합병증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2-3일간은 외상을 입은 환아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합병증 발생시 구강외과의 및 이비인후과의 또는 신경외과의와의 협의진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2세 및 3세 남환아로 입안에 이물질을 물고 넘어져 연구개의 열창을 입은 경우로 비외과적인 처치 및 신경학적인 평가 후 완치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