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economic actor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초기 문화예술생태계에서 창조적 환경의 형성과정과 추동요인: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지역을 사례로 (Exploring the Formation Process and Key Drivers of a Creative Milieu in the Early Arts and Cultural Ecosystem: The case of Seongsu-dong, Seoul, Korea)

  • 이지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691-711
    • /
    • 2016
  • 경제활동공간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지역은 제조업 집적지였지만, 현재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성수동 지역은 도심 제조업이 쇠퇴하면서 공장 이전이나 폐업으로 인한 빈 공간에 새로운 행위자가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행위자들은 전통적인 접근법에서는 다소 간과되었던 비경제적 행위자인 문화예술 부문의 창조적 행위자들이며, 이들의 비공식적인 모임인 문화예술 인식공동체는 생태계 형성 초기에 지역 생태계가 창조적 환경으로 변화하는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공간구조 변화 메커니즘의 근본적인 동인을 규명하여 공간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진화적인 관점에서 인식공동체의 단계별 형성과정에 따라 초기 문화예술 기반의 창조적인 지식생태계의 형성과정과 추동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식공동체는 진화적인 경로 창출과정에서 지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플랫폼으로서 일시적인 공간 형성에 기여했고, 성수동 지역은 공간적 근접성을 넘어 관계적 근접성을 추구하며 관계적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본에 있어서 농촌지역개발주체의 존재형태와 변화방향에 관한 연구 (The Existing Types of Public and Private Actors for Managing The Rural Development Programs & Facilities in Japan)

  • 윤원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3호
    • /
    • pp.665-691
    • /
    • 2011
  • The implementation of an place-based rural policy requires changes in the intra-governmental relations and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civil society. Over the past decades, Japan has been increasingly devolving and decentralizing public responsibilities and resources to sub-national government levels. There is assumption that such transfers produce more efficiency in terms of public management and create better conditions for economic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se transfer respond to new expectations of citizens and civil society to participate more closely in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Coordination is also needed at the local level to integrate sectoral approaches, to involve private partners and to achieve the appropriate geographic scale. Local public and private actors join a partnership and pool knowledge and resources. This type of local partnership is characterized by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actors, including municipalities, sub-regional government institution and development agencies.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actors(private firms, cooperatives, associations, non-profit organizations, farm organizations, other categories organizations, etc,) is also important.

Strategic Choices of Small States in Asymmetric Dependence: Myanmar - China Relations through the case of the Myitsone Dam

  • Eszterhai, Viktor;Thida, Hnin My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20권2호
    • /
    • pp.157-173
    • /
    • 2021
  • In the transition to a multipolar international system, the literature has focused on great power competition while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trategic possibilities of smaller states. However, as a result of globalization, states are so closely interconnected that the primary strategies of even major powers are not to achieve zero-sum solutions but to create asymmetric dependency through which they can influence the behavior of other states and non-state actors. States are assisted in this effort by a variety of tools, including setting up institutions, direct economic influence and through building different forms of infrastructure connectivity networks. By discussing asymmetric dependency situ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eat powers, the literature presents smaller states primarily as passive actors, paralyzed by their dependence on great powers. Our paper argues that interdependence allows smaller states to effectively influence larger actors and examines strategies from which smaller states can choose in order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larger states. Despite an extremely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Myanmar and China, actors in Myanmar have sought to influence China's Myanmar policy. We examine a case study of the Myitsone Dam, including Myanmar's strategic aims, chosen strategy and limitations in maneuvering spac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local decision-makers and stakeholders are conducted in order to portray the full picture. Our study concludes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influencing strategies of small states in response to asymmetric dependence can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dependence of states.

호주의 창조도시 개발사업에 관한 연구: 멜버른의 맬버농시를 사례로 (Developing Creative Cities in Australia: A Case Study on the City of Maribyrnong, Victoria)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30-641
    • /
    • 2016
  • 호주 멜버른지역에 소재한 맬버농은 작은 시급정부로, 시 정부 주도로 과거 군수산업용지를 정화하여 주택지구로 재개발하였고, 도시기반시설을 정비하여 경관을 개선하는 한편, 도심을 활성화하고 있다. 도심의 빈 점포를 임대하여 대학 캠퍼스를 조성하고, 도심에 Little Saigon이란 베트남 촌을 조성하는가 하면, 빅토리아 대학과 연계해서 창조산업 관련 창업보육사업을 통해 기업유치 및 기업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사례에 기초해서 볼 때, 호주는 창조도시사업을 통해 사회 경제적, 도시경관적 여건을 개선하는데 성공하고 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대학과 각급 정부, 그리고 시민단체의 역할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내몽고 초원의 위기와 사막화 논쟁 -초원목계(草原牧鷄)가 등장하기까지- (Crisis Construction in the Inner Mongolia Grassland and the Controversy of Desertification: The Emergence of Grassland Chicken Farming)

  • 이선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36-852
    • /
    • 2012
  • 이 연구는 중국 내몽고에서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제안과 실천의 변화과정을 기술 분석하였다. 사막화라는 생태문제는 자연적인 것만으로도, 사회적인 것만으로도 환원될 수 없는 다양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의 구성과정의 결과물이다. 사막화 방지 제안들 속에는 사막화를 정의하기 위해 관계를 맺고 있는 여러 행위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 행위자들의 차이 그리고 이들의 관계의 차이를 통해서 초원의 위기는 달리 구성되어 왔다. 조림사업, 보호구역, 휴목 금목, 젖소의 도입 등 기존에 내몽고에서 이루어졌던 사막화 방지 제안들은 각기 다른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면서 사막화 방지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한계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위기 구성의 역사에서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 초원목계 프로젝트는 '닭'이라는 새로운 행위자의 매개를 통해, 몽고족 목축민의 경제적 위기를 해결하지 못했던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시도가 되었다.

  • PDF

서울 성동구와 은평구의 사회혁신클러스터 형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Innovation Cluster Formation in Seongdong-gu and Eunpyeong-gu, Seoul, Korea)

  • 노경란;주성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4-235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최근 경제체제의 한 축을 구성하는 사회적 경제조직이 정부, 투자기관, 중간지원조직, 비영리기구 등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것을 사회혁신클러스터라 보고, 이 클러스터가 한국적 상황에서 어떤 특징을 갖고 성장하는지를 서울 성동구와 은평구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클러스터 내부 행위자들과 그들의 관계를 확인하고 클러스터의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경제조직들의 협력관계 사회연결망분석의 결과, 성동구는 대학, 글로벌 네트워크, 투자기관 등 네트워크 참여 유형이 은평구보다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민간 주도 중추조직의 역할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것은 클러스터 내부 관계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에서도 확인되었다. 두 지역 모두 아직 초기 단계의 모습이지만 사회혁신클러스터의 모습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클러스터의 성숙단계에서 발견되는 산업의 연계, 타 클러스터와의 융합은 발견되지 않았다. 지속적인 사회혁신클러스터의 성장을 위해서는 두 지역의 정보와 발전 방향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된다.

Visualizations of Relational Capital for Shared Vision

  • Russell, Martha G.;Still, Kaisa;Huhtamaki, Jukka;Rubens, Neil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5권1호
    • /
    • pp.47-60
    • /
    • 2016
  • In today's digital non-linear global business environment, innovation initiatives are influenced by inter-organizational, political, economic, environmental, technological systems, as well as by decisions made individually by key actors in these systems. Network-based structures emerge from social linkages and collaborations among various actors, creating innovation ecosystems, complex adaptive systems in which entities co-create value. A shared vision of value co-creation allows people operating individually to arrive together at the same future. Yet, relationships are difficult to see, continually changing and challenging to manage. The Innovation Ecosystem Transformation Framework construct includes three core components to make innovation relationships visible and articulate networks of relational capital for the wellbeing, sustainability and business success of innovation ecosystems: data-driven visualizations, storytelling and shared vision. Access to data facilitates building evidence-based visualizations using relational data. This has dramatically altered the way leaders can use data-driven analysis to develop insights and provide ongoing feedback needed to orchestrate relational capital and build shared vision for high quality decisions about innovation. Enabled by a shared vision, relational capital can guide decisions that catalyze, support and sustain an ecosystemic milieu conducive to innovation for business growth.

고령친화산업 행위주체 테트워크의 구조적.공간적 특성: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Actor Network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 구양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26-543
    • /
    • 2008
  •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제조부문과 관련된 행위주체 네트워크를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적,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경제지리학 연구들이 네트워크 거버넌스 측면에 강조를 둔 것에 비해 본 연구는 네트워크 구조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행위주체를 기업과 조직으로 나누어 네트워크 매트릭스 자료를 구축하고, 중심성 지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위상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구조적 분석을 위해서 행위주체의 지역별 비율을 비교하고, 중심성 지수와 거리 지표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블록모델링을 이용하여 행위주체간 네트워크를 지역간 네트워크로 변환하여 공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제도구축 과정에 있는 고령친화산업은 정부의 산업진흥 정책으로 비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조직들이 네트워크에서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수도권 간의 네트워크 역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경지역 소수민족의 생존전략: 베트남 중부의 브루반큐 민족을 사례로 (Livelihood Strategies of Ethnic Minority in the Borderlands: Case Study of the Bru-Van Kieu in Northern Central Vietnam)

  • 응엔 틴 민 안;김두철;우부카타 후미카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6-318
    • /
    • 2015
  • 베트남의 소수민족 중 하나인 브루반큐 민족은 오랜 기간 동안 라오스와 국경을 이루는 산악지역에서 거주해 왔으며, 적어도 베트남전쟁이 끝날 무렵까지는 혈연관계에 기초한 무계급사회를 유지하면서 자급적 경제에 의존한 생활을 영위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지리환경은 지난 몇 세기 동안 베트남의 국가형성과 경제정책에 의해 급격하게 변화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국경지역의 소수민족들이 외부적 경제환경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여 왔는가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루반큐 민족의 생업 적응을 살펴봄으로써, 베트남 국경지역의 소수민족이 거대한 정치경제권력에 맞서거나 때로는 타협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생존전략을 구사하였는지를 고찰한다. 그 결과 이 논문에서는 브루반큐 민족이 그들의 사회문화적 관계를 최대한 지키기 위한 '일상적 저항'과, 다민족 경제주체들이 혼합된 새로운 경제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이러한 사회문화적 관계를 활용하는 전략을 동시에 구사하여 왔으며, 그 결과 그들 자신을 새로운 자원과 그 이용 가능성을 접목시켜 왔음을 밝혀 내었다.

  • PDF

농촌지역 산업 기술지식의 융합과 지식 네트워크: 순창군 장류산업을 중심으로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Knowledge Network in Rural Area: Fermented Soy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in Sunchang, Korea)

  • 허동숙;박소현;구양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66-582
    • /
    • 2016
  • 본 연구는 기술지식의 융 복합화로 인해 특정 산업에서 다른 부분으로 영역이 확장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것으로, 비수도권 농촌 지역인 전라북도 순창군의 장류산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허출원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융합분석과 지식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장류산업은 단순 식품, 식료품 제조 기술에서 기계 기기나 의약품 및 화장품 관련 기술로 폭넓게 융합이 이루어지는 반면 순창군의 장류산업은 발효미생물 관련 기술 방향으로 특화되고 있다. 이는 산업 전체의 융합 경향을 따라 여러 기술 분야로 확장하기 보다는 순창이 갖는 지역자산과 인력에 맞추어 지역산업을 특화시킨 결과라고 판단된다. 순창군 장류산업의 지식네트워크는 지방정부와 대학, 진흥원 등 공공부문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고, 최근 조합법인 형태의 출원자와 공공부문의 협력을 통해 지역 내 기술 공유와 확산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