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competitive inhibit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19초

Eisenia bicyclis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Dieckol의 Lipase 저해 Mode (Lipase Inhibitory Mode of Dieckol Isolated from Eisenia bicyclis Ethanol Extract)

  • 정슬아;김꽃봉우리;김동현;조지영;김태완;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2-118
    • /
    • 2013
  • 대황 ethyl acetate 분획은 $IC_{50}$ 값이 1.31 mg/ml으로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lip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ethyl acetate 분획으로부터 얻은 sub-fraction 중 EA1 fraction이 $IC_{50}$ 값 0.54 mg/ml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더 나아가 HPLC를 이용하여 8개의 sub-fraction으로 분리하였다. HPLC fraction 중 fraction 5가 $IC_{50}$ 값 0.37 mg/ml로 높은 lip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 fraction 5는 분자량 741.1로 $C_{36}H_{22}O_{18}$ 화합물인 phlorotannin derivative dieckol로 확인되었으며 lipase에 대해 비경쟁적 저해타입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대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dieckol의 lipase 저해 활성 및 저해 타입 확인을 통해 식품 산업에 항비만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수원 5호 메밀 채소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n Xanthine Oxidase by Acetone Extract from Buckwheat)

  • 김영순;조정순;서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54-258
    • /
    • 1997
  • 메밀 채소 아세톤 추출물을 각 용매로 분획시 회수율은 헥산이 57%로 가장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페놀 성분의 양은 아세트산에틸과 1-부탄올 분획이 47.96 mg/ml과 44.02 mg/ml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수소 공여능은 부탄오 분획이 가장 높았으며, 에테르, 헥산 순으로 나타났다. 과산화지질의 형성 억제능은 기질로 리놀레산을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에 대한 산화 억제능으로서 검토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형성 억제능은 부탄올과 헥산 분획에서는 0.9% 첨가시 1시간 조사한 결과 65%와 57%의 억제능과 2시간 조사시 75%와 60% 억제능을 보였다.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의 측정은 xanthine/xanthie oxidase를 이용한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각 분획의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은 부탄을 분획은 392.6 U/mg으로 가장 높은 SOD의 활성, $IC_{50}$값은 $2.5\;{\mu}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임에 따라 다른 분획에 비해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능력 이 가장 높았다. 또한 각 분획의 spectrophotogram을 검토한 결과 부탄올 분획은 메밀의 활성 성분인 rutin과 유사한 spectophotogram을 보였다.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능과 rutin 함량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분획의 xanthine oxidase의 활성 저해는 $IC_{50}$값이 $3.1\;{\mu}g$을 보인 부탄올 분획의 저해효과가 가장 높았다.

  • PDF

Effects of Ginsenoside Metabolites on GABAA Receptor-Mediated Ion Currents

  • Lee, Byung-Hwan;Choi, Sun-Hye;Shin, Tae-Joon;Hwang, Sung-Hee;Kang, Ji-Yeon;Kim, Hyeon-Joong;Kim, Byung-Ju;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1호
    • /
    • pp.55-60
    • /
    • 2012
  • In a previous report, we demonstrated that ginsenoside Rc, one of major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enhances ${\gamma}$-aminobutyric acid (GABA) $receptor_A$ ($GABA_A$)-mediated ion channel curren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ginsenoside metabolites on $GABA_A$ receptor channel activ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insenoside metabolites on human recombinant $GABA_A$ receptor (${\alpha}_1{\beta}_1{\gamma}_{2s}$) channel activity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using a two-electrode voltage clamp technique. M4, a metabolite of protopanaxatriol ginsenosides, more potently inhibited the GABA-induced inward peak current ($I_{GABA}$) than protopanaxadiol (PPD), a metabolite of PPD ginsenosides. The effect of M4 and PPD on $I_{GABA}$ was both concentration-dependent and reversible. The half-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values of M4 and PPD were 17.1${\pm}$2.2 and 23.1${\pm}$8.6 ${\mu}M$, respectively. The inhibition of $I_{GABA}$ by M4 and PPD was voltage-independent and non-competitiv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gulation of $GABA_A$ receptor channel activity by ginsenoside metabolites differs from that of ginsenosides.

약용식물추출물의 광보호 효과와 항염증 효과 연구 (Photo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hinese Medical Plants)

  • Jin-Hwa, Kim;Sung-Min, Park;Gwan-Sub, Sim;Bum-Chun , Lee;Hyeong-Bae, Py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7-233
    • /
    • 2004
  • 자외선이 피부에 지속적으로 조사되면 썬번, 염증, 광노화와 같은 다양한 부작용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광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은 점점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며, 천연 식물추출물에서 자외선에 대한 광보호효과가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물질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우수한 천연식물추출물에 대한 것이다. 향나무, 능소화, 비자추출물에서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효과, MMP 발현 및 활성 저해,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1알파, 6, 프로스타글란딘 E$_2$ 생성저해효과 등으로 피부세포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천연추출물 중 향나무추출물과 능소화추출물이 프리라디칼 및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피부 콜라겐과 같은 메트릭스를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의 활성 및 발현 저해효과는 섬유아세포에서 UVA 조사에 의한 실험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피부세포 배양액에 대해 zymography를 실시하여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6의 발현량 실험에서도 무처리군에 비해 향나무추출물이 인터루킨 6을 30% 정도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염증반응 중 cyclooxygenase(COX)에 의한 경로에서 생성되는 프로스타글란딘 E$_2$의 생성량도 감소시켰다. 사람피부에서 SLS (0.5%) 첩포로 유발된 자극성 피부염의 항염증 효과 평가 시 SLS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정도가 피검자의 피부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향나무 추출물 함유 에멀젼 제품 도포 실험에서는 피부 홍반 완화 효과와 피부장벽 회복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향나무추출물은 자외선 조사 및 SLS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한 피부세포보호작용이 우수하여 광노화에 대응하는 자극완화 소재로서의 화장품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