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biting midg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Redescription of Chironomus salinarius (Diptera: Chironomidae), nuisance midges that emerged in brackish water of Jinhae-man (Bay), Kyongsangnam-do, Korea

  • REE Han-Il;YUM Jin-Hwo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63-66
    • /
    • 2006
  • Huge numbers of non-biting midges emerged from brackish water which were made at the harbor construction field in Jinhae City, Kyongsangnam-do, Korea in late summer in 2005, and caused a serious nuisance to villagers. The midg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s Chironomus salinarius (Kieffer, 1921). Although this species was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1998,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s were so brief and simple. A full redescription is made with detailed illustrations for ecological and control workers of this nuisance midge.

전남 진도의 위생 절지동물상 (Fauna of Arthropods of Medical Importance in Chindo Island , Korea)

  • han-II R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87-100
    • /
    • 1995
  • 1994년 7월 전라남도 진도에서 위생절지동물상을 조사하였다. 모기는 8종이 채집되었는데 그중 일본뇌염 매개종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우점종이었다. 신종으로 보이는 Cluex sp. 유충이 채집되었는데 명명은 성충이 채집되지 않아 보류하였다. 깔따구는 모두 11속 23종이 채집되었는데 그 중 Cladopelma viridula(녹색사촌무깔따구, 신칭), Dicrotendipes septem-maculatus(여섯점갈래깔따구, 신칭) 및 Harnischia urtilamellata(혹무깔따구, 신칭)는 한국 미기록종이어서 자세히 재기재하였다. 깔따구류중 우점종은 안개무늬날개깔따구(Chironomus kiiensis)이었고(67.3%), 노란털깔따구(Ch. flaviplumus)가 그 다음이었다(15.6%), 등에모기는 모두 5종이 채집되었고 그 중 Culicoides punctatus가 88.7%로 우점종이었다. Foreipomia sp.도 채집되었는데 이 속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것이다. 들쥐 채집결과는 등줄쥐(Apodemus agrarius)가 높은 밀도를 보였고 등줄쥐에 기생하는 외부기생 절지동물로 Leptotrombidium orientale, Ixodes nipponensis, Laelaps jettmani, Eulaelaps stabularis 등이 동정되었다.

  • PDF

4-tert-octylphenol에 노출된 장수깔따구 Chironomus plumosus의 생태독성 반응과 기형 (Ecotoxicological Responses and Morphological Abnormalities in Chironomus plumosus Larvae Exposed to 4-tert-octylphenol)

  • 방현우;이창훈;정경숙;곽인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4호
    • /
    • pp.277-284
    • /
    • 2008
  • The ecotoxicological effects of 4-tert-octylphenol were observed on non-biting midge, Chironomus plumosus collected from Anyang stream in Seoul. The survival rate and adult emergence rate on C. plumosus exposed to octylphenol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However, 4-tert-octylphenol induced developmental delay and disrupted sex ratio in high concentration of octylphenol. The mouth deformity such as tooth deletion or fusion in mentum, and tooth deletion in mandible were observed exposure to 4-tert-octylphenol. The deformity type of the mentum showed deletion (LT, 6.7%), and fusion (LT, 6.3%). Moreover, tooth deletion of mandible was observed in 4-tert-octylphenol treated groups (6.7%, 3 ppm).

요시마쯔깔따구와 리파리깔따구(파리목: 깔따구과)의 중금속에 대한 급성독성 및 유영능력 비교 (Comparing Acute and Swimming Endpoints to Evaluate the Response of Two Freshwater Midge Species, Chironomus yoshimatsui and Chironomus riparius to Heavy Metals)

  • 유동현;손진오;모형호;배연재;조기종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98-105
    • /
    • 2005
  • 한국산 요시마쯔깔따구(Chironomus yoshimatsui)의 세 가지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에 대한 급성독성 및 행동 독성을 외국 표준 실험 종인 리파리깔따구(C. riparius)와 비교하였다 48시간 및 96시간 동안 수중 노출(water-only exposure)을 시킨 후 두 가지 실험종의 반수치사농도($LC_50$)및 깔따구의 유영 능력 감소에 영향을 주는 농도($EC_{50}$)를 바탕으로 두 실험 종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카드뮴과 납에 대하여는 요시마쯔깔따구가 리파리깔따구에 비해 둔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수은에 대하여는 요시마쯔깔따구가 더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모든 실험에서 $LC_50$값과 $EC_{50}$값의 비율이 1보다 높게 나와 사망률보다는 유영 능력을 기준으로 실시한 급성독성 평가가 더욱 민감한 결과를 얻었다. 노출 기간에 따른 급성독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노출 기간이 길수록 급성독성 및 행동독성도 높게 나타났다.

오존(O3) 노출에 의한 조각깔따구(Glyptotendipes tokunagai)의 체색 변화 및 heat shock protein 70 발현 변화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70 Gene and Body Color Changes in Non-biting Midge Larvae (Glyptotendipes tokunagai) Effected by O3 Treatment)

  • 김원석;최보형;김문경;채선하;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324-330
    • /
    • 2020
  • 오존은 수돗물 정수장에서 이용되는 소독 물질로 미세오염 물질들을 비롯해서 박테리아나 병원성 미생물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사육 중인 붉은 체색을 지닌 Glyptotendipes tokunagai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오존 노출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치사율, 체색 변화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오존에 노출된 G. tokunagai에서 농도-시간 의존적으로 치사율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체색 변화는 오존 농도에 따라 붉은색의 체색이 체절마다 엷어지며 탈색되고 경직되는 현상이 보였다. HSP70 유전자 발현은 저농도인 0.2~0.5 ppm에서 노출 10분과 20분에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30분 노출 후에는 발현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리적으로 저산소층에 대해 적응능력이 뛰어난 깔따구 경우에도 오존은 매우 강력한 치사 효과를 유발하여 30분 노출 후 경직과 헤모글로빈 파괴로 인한 탈색이 유발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수돗물 정수장에서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오존이 수생물에 주는 영향성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lyses of Expressed Sequence Tags from Chironomus riparius Using Pyrosequencing : Molecular Ecotoxicology Perspective

  • Nair, Prakash M. Gopalakrishnan;Park, Sun-Young;Choi, Jin-He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6권
    • /
    • pp.10.1-10.7
    • /
    • 2011
  • Objects: Chironomus riparius, a non-biting midge (Chironomidae, Diptera), is extensively used as a model organism in aquatic ecotoxicological studies, and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C. riparius larvae as a bio-monitoring species, little is known about its genome sequences.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an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sequencing project conducted on C. riparius larvae using 454 pyrosequencing. Metho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C. riparius transcriptome, we generated ESTs database of C.ripairus using pyrosequencing method. Results: Sequencing runs, using normalized cDNA collections from fourth instar larvae, yielded 20,020 expressed sequence tags, which were assembled into 8,565 contigs and 11,455 singletons.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by BlastX search against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nucleotide (nr) and uniprot protein database. Based on the gene ontology classifications, 24% (E-value${\leq}1^{-5}$) of the sequences had known gene functions, 24% had unknown functions and 52% of sequences did not match any known sequences in the existing database. Sequence comparison revealed 81% of the genes have homologous genes among other insects belonging to the order Diptera providing tools for comparative genome analyses. Targeted searches using these annotations identified genes associated with essential metabolic pathways, signaling pathways, detoxification of toxic metabolites and stress response genes of ecotoxicological interest. Conclus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ould eventually make ecotoxicogenomics possible in a truly environmentally relevant species, such as, C. ripari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