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ble lif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6초

세계 민족 헤드드레스 유형의 지역별 분류 (Geographical Classification of the World Folk Headdress Types)

  • 유태순;김지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46-251
    • /
    • 1999
  • Headdress which adorns the head has been used not only as a type of dress but also as a vehicle to express the human's mentality and a tool to convey idea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type of headdress observed in the world folk costumes and investigates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aims to examine how the types of headdress are inter-related to the peoples' natural environments, way of life and cultural background such as religion and aesthetic, ethical standards. Headdress used as important elements of many peoples' folk costumes can be categorized into scarf-type, hat-type and adornment-type. Veil-type, the one of scarf-types, was developed in Southwestern Asia and Arabic Africa influenced by natural and religious factors. This type is more simplified in Turkey and Eastern Europe and only covers head and neck in the former and only head in the latter while also being called 'headkerchief-type'. Hat-type is observed in many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dornment-type has been used to symbolized one's noble social status and authority in societies dominated by shamanistic cultural background; it was also used in Far East out of the motivation to fulfil one's aesthetic desire. Headdress though it was originally made from the idential purpose of wearing, has developed into the various types affected by each people's natural environments, emotion and ways of life.

  • PDF

소애 맹화섭 선생의 생애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aeng Hwa-seop's Life)

  • 박영환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1-118
    • /
    • 2022
  • Maeng Hwa-seop (1915-2002) was born in 1915 in the Pundang neighborhood of Tolma township in Kwangju prefecture. After graduating from Pangyo primary school, he got a job at House of Gold and Jade (Kŭmhodong) in Dangjutong at the age of 17 and started learning Korean medicine. In 1939, he worked as a rural government official in Kwangju prefecture and became famous as a good doctor. In 1957, he got a license in Korean medicine and in 1958, he opened the Maeng Hwa-seop Korean medicine clinic in Anam-dong 5-ga. He started a clinical lecture, which began in 1970 for Professor Maeng Woong-jae, continued until 2001 and trained many students. Maeng died in May 2002 at the age of 88. He left clinical records as an outstanding clinician. He was not only famous among Korean medical doctors, but also a great scholar who was widely respected for his noble personality. His book, Guide to Medical Prescriptions (Pangyak chich'im 1976), is a clinical textbook and history book representing Korean medicine in the 20th century, and is still widely used in medical contexts.

윤씨부인의 여사적(女師的) 삶과 그 의미 (A study of Mrs Yun's Teaching Life and It's Meaning)

  • 윤경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49호
    • /
    • pp.161-185
    • /
    • 2012
  • 본고는 조선 중기 사대부 여성 윤씨부인의 일생을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선비정경부인행장(先?貞敬夫人行狀)"을 주 자료로 하여 재구하여, 아들에 의해 형상화된 사대부 여성의 여사(女師)적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윤씨 부인의 삶은 한 마디로 여사적(女師的) 삶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녀는 당대 최고 명문가인 해평 윤문의 외동 딸로 태어나 할머니인 정혜옹주에게 엄격한 훈육을 받고 강한 의지력과 절제력을 지닌 사려 깊은 여성으로 성장하였다. 이후 조선 최고의 예학 집안인 광산 김문으로 출가하지만 병자호란이라는 미증유의 국난에 남편 김익겸이 순절하여, 윤씨부인은 남편, 아버지의 자리를 대신하여 가문의 여사가 되었다. 집안의 정신적 지도자, 여사로 윤씨부인은 손녀 딸 인경왕후를 덕망을 갖춘 왕가의 여인으로 훈육하였다. 그녀는 손자, 조카들의 교육에도 열과 성을 다하였는데, 그 결과 두 아들과 손자가 대제학에 오르는 가문의 번성을 이루게 된다. 만년에 연이은 정변으로 가문에 위기가 닥쳤을 때도 윤씨부인은 집안의 여사로서 중심을 잡고 법도를 준수하여 가문의 앞날을 기약하였다. 손자와 종손들에게 학업에 힘쓸 것을 당부하였고, 며느리, 손부들에게는 근검한 집안의 법도를 지킬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보통 사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웠던 고난과 좌절을 강인한 의지로 극복해 낸 윤씨부인의 삶은 가부장 제도에 순종한 여성의 수동적 선택으로 평가하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그녀는 아름다운 자질을 지니고 태어난 현명한 여성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의 길을 능동적으로 걸어간 것이다. 윤씨부인은 고난과 궁핍을 두려워하지 않고 극복하며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되는 삶에 진정한 가치를 둔 진정한 스승, 여사(女師)였던 것이다.

퇴계(退溪)의 인간상(人間像) : 열락군자(說樂君子) (Toegye : a person of pleasant and noble mind)

  • 이상익
    • 한국철학논집
    • /
    • 제41호
    • /
    • pp.39-70
    • /
    • 2014
  • 퇴계가 추구한 삶의 모습은 글자 그대로 '열락군자(說樂君子)'였다.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의 기쁨은 학자(學者)라면 누구나 누리는 기쁨일 것이다. 그러나 창자 속의 더러운 피를 세척하고 중인(衆人)들이 맛보지 못한 기쁨을 맛보는 '참된 기쁨' 또는 구습(舊習)이나 속기(俗氣)를 모두 씻어내야만 깨닫게 되는 '참된 소식'은 아무나 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유붕자원방래(有朋自遠方來)'의 즐거움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염원하는 즐거움일 것이다. 학문(學問)과 수양(修養)의 장소로 산림(山林)을 선호한 것은 사실 대부분의 유학자(儒學者)들에게 공통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퇴계는 특히 산림지락(山林之樂) 자체의 의의를 깊이 체인하여, 소요(逍遙)에 독서(讀書)와 맞먹는 의미를 부여했다. '인부지이불온(人不知而不?)'은 누구에게도 쉽지 않은 경지이다. 그러나 퇴계는 세간의 훼예영욕(毁譽榮辱)에 초연(超然)하게 대처하면서, 모든 것을 사양했다. 그런데 퇴계는 사후(死後)에 모든 것을 다 얻었다. 또 퇴계는 '사양함으로써 얻은 것'이기에, 후세의 사람들이 모두 칭송할 뿐 아무도 퇴계를 원망하지 않게 된 것이다.

18세기(世紀) 조선시대(朝鮮時代) 회갑연(回甲宴)과 회혼예(回婚禮) 회화(繪畵)에 나타난 식생활(食生活) 문화(文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the Festival for Elderly Person's $60^{th}$ Birthday (Hoegap) and Marriage Anniversary (Hoehon) Appearing in the 18th Century Painting of the Chosun Period)

  • 고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36-543
    • /
    • 2003
  • The Chosu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of revival for science, art, and culture, bringing about Silhak(practical science), a new trend in the history of Chosun thoughts. In the history of fine arts, realistic landscape paintings and genre paintings were popular as realism became prevalent. From the aspect of food culture, in particular, the luxurious and elegant Korean-styled food culture was completed during this period. Iwanwasuseoksihoedo was painted by Jeong Hwang (1735-1800) in 1789, depicting a banquet on an elder's $60^{th}$ birthday. It is classified as a genre painting in the late Chosun Period but it contains things that comes into our heart, which are white porcelain with blue celadon pictures, white porcelain bowls, busy atmosphere of a banqueting house where food is being carried in a hurry and elders' serene appearance. All these things show the abundance of life, the room and comfort of old ages, and the beauty and relish of life in the well-arranged living ground. Hoehonyedo was painted on an elder's $60^{th}$ marriage anniversary by an unknown artist presumably in the $18^{th}$ century is a painting as realistic as a documentary photograph. The work gives viewers pleasure and comfort because it describes not a mighty clan but the superb later years of an official who had lived right and upright life. In the aspect of food culture, it displays the food culture of the splendid sixtieth marriage anniversary of a Korean official through noble etiquette among family members, seat planning, unique table culture and high quality tableware including white porcelain with celadon pictures and pure white porcelain.

옥소 권섭의 학창의에 관한 연구 - "옥소고"소재 학창의 관계자료를 대상으로- (A Study on Okso, Keun Seob's Hakchangeui(학창의)-Examining Data about Hakchangeui Written in $\lceil$Oksoko(옥소고)$\rfloor$-)

  • 이민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2호
    • /
    • pp.269-279
    • /
    • 2005
  • Okso, Keun Seob($1671\sim1759$) was descended from a noble family of Noreun(노론) and learned from his uncle, Keun Sang-ha who is a disciple of Song Si-Yeol, Kim Chang-hyeub and Kim Chang-heub. His $\lceil$Oksoko$\rfloor$ remains in the form of a transcription or a lithographic printing, and documents on 'Hakchangeui' are recorded in jabeui(잡의), Euijedogi(의제도기), which is a part of it. He left Seoul in 1714, settled in Chungpung, journeyed to many places, including the Hwang river area and Jecheon and led a literary and artistic life as Sadaebu(사대부), which was written in a collection of his works where the record about 'Hakchangeui', the most suitable clothes for the life of a retired scholar remains today to express one part of his life. This study introduces data about Hakchangeui written in $\lceil$Oksoko$\rfloor$, pursues the reason why Okso, Keun Seob told about it and intends to embody the figure of Hakchangeui based on the system, measure, material, and sew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cords in a collection. Hakchaneui described in $\lceil$Oksoko$\rfloor$ reveals a 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old Hakchaneui, showing characteristics like the following. It is a Sadaebu's costume for field amusement in which the length of a former part is longer than that of a later part and the side seam of a garment rips. Black Yeon is attached to the white texture. Yeon widths of Git(collar), Sugu and Gil are varied, respectively. Yeon's figure attached to Gil and Somaejindong is a mountain. Git is Bangryeong and link parts between Git and Gil is connected with Sangchim. This Hakchangeui is considered to playas a gown because it has no string or support to adjust his dress. Especially we can identify that Hwayanggun(화양건) was used in this Hakchangeui.

  • PDF

읽기/쓰기 문화의 변천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상(浮上) :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The Transition of Reading/Writing Culture and Emerging Digital Contents-Focusing on Bakhtin's "The prose of everyday life")

  • 구모니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71-382
    • /
    • 2011
  • 인류가 고대로부터 물려받은 읽기/쓰기 행위는 인류의 의사소통 체계이자 지식정보 전달 체계로서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특히 디지털적 읽기/쓰기로 개개인의 일상사에 의미와 가치가 부여되는 시대, 그야말로 혁명적으로 일상적 담론과 대화들이 증폭된 지금 본 연구자는 이 시대의 '디지털적' 읽기/쓰기 방식과 이에 따른 의사소통 수단을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점검하고, 그러한 현상이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로 재창조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과거 읽기/쓰기는 '기록'의 과정을 통해 '서사의 창조'라는 지점에서 신성성을 부여받아왔다. 그러나 이는 현대로 오면서 데이터 간의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해 변모하고 있다.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읽기와 쓰기는 선형적 서사성의 결여로 비난 받아야 할 현상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변화의 한 과정이며 결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읽기와 쓰기 방식의 변화는 콘텐츠의 층위, 지위, 의미, 가치의 변화를 수반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디지텔링'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여,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읽기/쓰기 방식을 새로운 대중문화 현상으로 접근해야 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초.마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ose Using Straw and Hemp)

  • 김지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2
    • /
    • 1990
  • Though many thousands years of long history of Korea, many changes have taken place in politics, economy, culture, religion, arts and science, but the writer, in this thesis, has traced historical development of footwear that common people use as one of necessities of human life. Since the footwear is included in clothing, the history of footwear may be also traced along with the history of clothing. In the beginning, the shoes were only made to serve the purpose of protection of feet. As time passed by, the purpose gradually developed the skill in making shoes. Taking a historical of straw and hemp into consideration, I have studied on shoes using straw and hemp in this thesis. The history of straw and hemp can be retroacted to the beginning stage of the human culture. These straw and hemp have been developed over and over again for long time and it has its own distintion inquality so that these refined products used by noble men and these careless ones were used by the common people. In Japan, these straw and hemp were effected by the influence of typical continental climate, made characteristic shape. Since 1930s rubber shoes were introduced to Korea and traditional Korean shoes came to disappear in Korean market. Because of this, we now can see the traditional Korean shoes only in the windows of Museum.

  • PDF

도열병균의 Transposable elements (Transposable Elements in Magnaporthe Species)

  • 지명환;박숙영
    • 식물병연구
    • /
    • 제24권2호
    • /
    • pp.87-98
    • /
    • 2018
  • 곰팡이 종들은 유전체내에 대략 10% 정도의 다양한 전이인자와 함께 반복적인 염기서열을 갖는다. 이러한 전이인자들의 대부분은 유전체내에서 활발히 전이되며 곰팡이 병원균의 기주 범위와도 연관성을 갖으며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화본과 작물에 병을 일으키는 도열병에 분포하는 전이인자들은 활발히 전이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정 기주에 감염하는 개체군에 특이적으로 분포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수의 연구 보고에서도열병균의 전이인자가 비병원성 유전자의 기능을 상실하는데 작용하여, 이로인해 저항성 품종에 병을 일으켰다. 따라서, 도열병균의 전이인자들은 식물-곰팡이 사이의 상호 진화를 유도하는 원동력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도열병균에 존재하는 전이인자들의 종류와 생물학적인 기능에 관해 정리하였다.

저에너지 불활성 기체이온에 의한 AC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MgO막의 이차전자 방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Electron Emission from MgO Layer for Low-Energy Noble Ions)

  • 이상국;김재홍;이지화;황기웅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8-112
    • /
    • 2002
  • AC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막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gO막의 2차 전자 방출계수를 저에너지 불활성 기체이온에 대해 펄스 이온빔 기법으로 측정하였다. 실리콘 산화막의 헬륨이온에 의한 2차 전자 방출계수는 300 eV에서 0.82를 보였지만 50 eV에서는 0.22보여 운동에너지에 대한 상당한 의존성을 보였다. 한편, MgO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는 이온에 의한 스퍼터링이 지속됨에 따라 0.62에서 0.3으로 감소함으로써 이온충돌이 MgO의 이차전자 방출계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