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m23 protei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4초

Causes of Transfer of Neonates (Born after ≥34 Weeks of Gestation)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wing to Respiratory Distress and their Clinical Features

  • Jung, Yu Jin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66-71
    • /
    • 2018
  • Purpose: Respiratory morbidity is the most common problem among neonates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a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 (TT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and pneumonia through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and test result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in 86 infants with TTN, RDS, or pneumonia. These were infants who had respiratory distress, were born after ${\geq}34$ weeks of gestation, and transferr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between June 1, 2011 and June 30, 2016. Results: The numbers (percentage) of infants with TTN, RDS, and pneumonia were 51 (59.3%), 20 (23.3%), and 15 (17.4%), respectively. Late-preterm and early-term newborns accounted for 65.1% of the infants. Tachypnea was observed in 74.4% of the neonates. The median age at admission was 4 hours (0 to 116) after birth. The infants with RDS had significantly lower birth weights, pH levels, base excess and oxygen saturation levels at admission, longer duration of total ventilator therapy, and hospital stay than those in the other two groups. The infants with pneumonia showed significantly high initial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s and significant chest radiographic findings. Conclusion: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for TTN, RDS, and pneumonia is challenging because they show similar respiratory symptoms at an early stage. Clinical features and test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tiology of respiratory distress and early antibiotic treatment.

Pseudomonas sp. Sw1이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조성 및 특성 (Compositional Analysis and Some Properties of Biosurfactant from Pseudomonas sp. SW1)

  • 석완수;임은경;손홍주;이건;이상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45
    • /
    • 1999
  • A tentative composition and some properties of biosurfactants, type I and type II, from Pseudomonas sp. SW1 are described. Biosurfactant type I and II are soluble in water, dichloromethane, chloroform, and a mixture of chloroform and methanol, respectively. The UV absorption spectrum of biosurfactants showed three characteristic peaks in the range of 212, 250 and 365nm, respectively. As a result of IR spectroscopy, GC/MS analysis and biochemical analysis, biosurfactant type I was a polymeric biosurfactant containing carbohydrate, lipid and protein. The carbohydrate was characterized as rhamnose. The lipid part consists of $C_{14}-C_{23}$ fatty acid when analyzed by GC/MS. The biosurfactant type II was a rhamnolipid consisting of carbohydrate and lipid.

  • PDF

IgA 신병증과 비박형 기저막 신증의 임상 및 병리학적 비교 분석 -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IgA Nephropathy and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 지근하;하창우;김영주;윤혜경;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2호
    • /
    • pp.147-155
    • /
    • 2001
  • 목 적 : IgA 신병증(IgA nephropathy)과 비박형 기저막 신증(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은 소아 연령에서 무증상성 혈뇨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사구체 질환이다. IgA 신병증은 면역 형광 현미경 검사에서 메산지움 부위에 IgA가 단독 혹은 현저하게 침착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전자 고밀도 물질의 침착과 함께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도 흔히 동반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IgA 신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구체 기저막 비박화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비박화의 정도에 따라 임상 양상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관찰하였으며, 나아가서 비박형 기저막 신증 환자들과 임상 및 병리학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인제의대 부산 백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후 IgA 신병증으로 확진된 51례와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 동안 비박형 기저막 신증으로 확진된 2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IgA 신병증의 경우에는 전례에서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대상환자들에 대해서는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일반 혈액검사, 요검사, 신기능 검사, 24시간 채집된 소변에서의 creatinine 청소율과 총 단백량을 측정하였다. 환자들의 임상 경과에 대한 분석은 후향적으로 실시하였다. 결 과 : IgA 신변증의 경우는 남자가 29례, 여자가 22례로 남자에서 더 많았으나, 비박형 기저막 신증의 경우는 남자 8례, 여자 18례로 여자에서 더 많았다. 입원당시 IgA 신병증에서 단백뇨, 단백뇨와 혈뇨의 동시 출현, 24시간 채집뇨에서 측정한 총 단백량, 24시간 채집뇨에서 측정한 총 단백량이 1gm 이상인 경우 등이 비박형 기저막 신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러나 혈청 알부민, 크레아티닌, BUN,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양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IgA 신병증 환자의 전체 사구체 기저막 두께의 평균은 $293.0{\pm}79.2\;nm$ (139.7-461.9 nm)이었으며, 비박형 기저막 신증의 전체적인 사구체 기저막 두께의 평균은 $180.9{\pm}35.8\;nm$(110.5-229.5 nm)로 비박형 기저막 신증에서 기저막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았다(P=0.0001).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가 250 nm 이하인 비율은 IgA 신변증에서 평균 $37.4{\pm}34.4\%$이었으며, 비박형 기저막 신증에서는 $93.0{\pm}7.0\%$이었다(P=0.0001). IgA 신병증 환자에서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에 따른 임상적 양상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결 론 : IgA 신병증의 경우에도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는 비교적 흔히 관찰되었다. 그리고 비박화의 정도에 따른 임상적 양상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그러나 비박형 기저막 신증에 비해서 단백뇨, 단백뇨와 혈뇨의 동시 출현, 24시간 채집뇨에서 측정한 총 단백량, 24시간 채집뇨에서 측정한 총 단백량이 1 gm 이상인 경우 등이 높았는데 이런 차이점들은 예후적인 측면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라고 생각한다.

  • PDF

Novel Antibacterial, Cytotoxic and Catalytic Activities of Silver Nanoparticles Synthesized from Acidophilic Actinobacterial SL19 with Evidence for Protein as Coating Biomolecule

  • Wypij, Magdalena;Ostrowski, Maciej;Piska, Kamil;Wojcik-Pszczola, Katarzyna;Pekala, Elzbieta;Rai, Mahendra;Golinska, Patrycj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9호
    • /
    • pp.1195-1208
    • /
    • 2022
  • Silver nanoparticles (AgNPs) have potential applications in medicine, photocatalysis, agriculture, and cosmetic fields due to their uniqu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Here, AgNPs were synthesized using actinobacterial SL19 strain, isolated from acidic forest soil in Poland, and confirmed by UV-vis and FTIR spectroscopy, TEM, and zeta potential analysis. The AgNPs were polydispersed, stable, spherical, and small, with an average size of 23 nm. The FTIR study revealed the presence of bonds characteristic of proteins that cover nanoparticles. These proteins were then studied by using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d identified with the highest similarity to hypothetical protein and porin with molecular masses equal to 41 and 38 kDa, respectively. Our AgNPs exhibited remarkabl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aeruginosa. The combined, synergistic action of these synthesized AgNPs with commercial antibiotics (ampicillin, kanamycin, streptomycin, and tetracycline) enabled dose reductions in both components and increased their antimicrobial efficacy, especially in the case of streptomycin and tetracycline. Furthermore, the in vitro activity of the AgNPs on human cancer cell lines (MCF-7, A375, A549, and HepG2) showed cancer-specific sensitivity, while the genotoxic activity was evaluated by Ames assay, which revealed a lack of mutagenicity on the part of nanoparticle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strain. We also studied the impact of the AgNPs on the catalytic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 orange (MO). The decomposition of MO was observed by a decrease in intensity of absorbance within time. The results of our study proved the easy, fast, and efficient synthesis of AgNPs using acidophilic actinomycete SL19 strain and demonstrated the remarkable potential of these AgNPs as anticancer and antibacterial agents. However, the properties and activity of such particles can vary by biosynthesized batch.

이온쌍 역상 HPLC를 이용한 인체 말초혈액단핵구에서 이노신 5'-일인산 탈수소효소 활성의 정량적 측정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inosine 5'-mono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by ion-pair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신혜진;권순호;박지명;권순효;이경률;김영진;이상후
    • 분석과학
    • /
    • 제23권6호
    • /
    • pp.531-5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이온쌍 역상 HPLC/UV를 이용하여 건강한 한국인에서 분리된 말초혈액단핵구(PBMCs)에서 이노신 5'-일인산 탈수소효소(IMP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IMPDH는 이노신 5'-일인산(IMP)을 잔토신 5'-일인산(XMP)로 전환시키는 베타-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디뉴클로티드 수화물(${\beta}-NAD^+$) 의존성 탈수소효소이며, 이것의 활성은 기질인 IMP와 조효소인 $NAD^+$의 존재 하에서 분해한 PBMCs로 부터 생성된 XMP에 해당하는 HPLC 크로마토그램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생성된 XMP는 260 nm에서 검출하였다. 이동상으로는 7 mM tetra-n-butylammonium hydrogen sulfate가 포함된 37 mM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pH 5.5)와 methanol의 혼합용액(85:15, v/v)을 사용하였으며, 유속은1 mL/min이었다. 정량 범위는 $0.2-50.0\;{\mu}M$이었으며, 이 때 정량 한계(LOQ)는 $0.2\;{\mu}M$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확립된 시험법은 일내 정밀성(0.88-1.47%), 정확성(98.74-99.99%)과 일간 정밀성(0.85-5.24%), 정확성(99.95-101.65%)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11명의 건강한 한국인에 대한 IMPDH 활성 측정 결과, 18.29-36.60 nmol/h/mg protein(평균값 $27.70{\pm}6.28\;nmol/h/mg$ protein)이었다.

장기 숙성에 따른 시판 멸치액젓의 성분변화 (Component changes in Commercial Salt-Fermented Anchovy Sauce by Long Fermentation)

  • 남기호;장미순;박희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01-109
    • /
    • 2012
  • 본 연구는 숙성기간이 다른(1, 3, 6, 9 및 12년) 시판 멸치액젓의 일반성분, pH, 아미노질소, 유리아미노산 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분석을 통해 장기 숙성에 따른 멸치액젓의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숙성기간에 따라 멸치액젓의 수분은 감소하였으며 조단백질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회분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pH는 9년산 멸치액젓까지는 감소를 보였으나 산도의 경우 pH와는 반대로 9년산까지 증가 하다가 12년산에서 약간 감소하였다. 숙성기간에 따라 멸치액젓의 VBN과 염도의 함량은 각각 243.6~253.4, 25.10~25.33%로 장기 숙성에 따른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아미노질소는 1~6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후의 숙성기간에서는 증가폭이 적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8,762.2~10,650.7mg% 이었으며 숙성기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였다.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glutamic acid, leucine, lysine의 함량이 높았다. 숙성기간에 따라 감칠맛계 아미노산은 꾸준히 증가한 반면 쓴맛계 아미노산은 점점 감소함을 보였다. 숙성기간에 따라 L값 및 b값은 점점 감소한 반면, a값 및 ${\Delta}E$값은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분광광도계로 453 nm에서 측정한 색도는 1차 희귀방정식에 따라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6년산 멸치액젓이 종합평가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Sprague-Dawley계 정상 흰쥐에서 위점막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에 대한 성별의 영향 (The Effect of Gender on the Gastric Alcohol Dehydrogenase (GADH) Activity in Normal Sprague-Dawley Rats)

  • 성기철;강주섭;이창호;고현철;신인철;강석한;전용철;엄애선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8권1호
    • /
    • pp.38-43
    • /
    • 2000
  •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stomach has sufficient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to metabolize some amount of orally administered alcohol and the sex-related differences in the first-pass metabolism of alcohol might be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the activity of gastric ADH(GAD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 the sex-related differences in GADH in 48 male and 48 female Sprague-Dawley rats aged 1, 4, 10, 15, 20, and 30 weeks which each aged group had same sex ratio. The GADH activity was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at 37$^{\circ}C$. The formation of NADH was monitored at 340nm for 10 minutes in the 1 ml of reaction mixture (0.5 M of Tris-HCl, pH 7.2 + 1.5 M of ethanol + 2.8 mM of NAD + 30 $\mu$l gastric mucosal supernatant). The GADH activity (nM of NADH/min/mg of cytosolic protein) was calculated using molecular extinction coefficient of 6.22 $\textrm{cm}^2$/$\mu$M for NADH. The GADH activities were 2.94$\pm$0.82 (n=48) in female rats and 3.34$\pm$2.17 (n=48) in male rats and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However, the GADH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female (1.91$\pm$0.59 and 3.30$\pm$0.49) than in male (0.68$\pm$0.43 and 1.92$\pm$0.81) of 1 and 4 weeks rats.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male (6.48$\pm$1.81, 3.65$\pm$1.04 and 5.13$\pm$1.30) than in female (4.23$\pm$1.23, 2.18$\pm$0.77 and 2.56$\pm$0.93) of 10, 20 and 30 weeks rats,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x-related differences of the GADH activities in same aged rats were existed by age.

  • PDF

물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동결건조 녹용의 추출 (Extraction of Freeze Dried Young Antler by Water and Proteas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9-387
    • /
    • 2003
  • 동결건조 녹용을 물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추출하였다. 동결건조녹용을 물추출하는 경우, 추출효율은 5% 농도로 5$0^{\circ}C$에서 6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추출물을 HPLC 분석한 결과, 물추출액에 존재하던 고분자 단백질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저분자화되었다. 저분자화율은 세균 protease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높고 다음 pepsin인데, papain의 효과는 적었다. 생녹용에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5시간 작용시켜서 얻은 추출액의 추출율은 세균 protease는 33.4% (280nm의 흡광도 13.25), papain은 22.4%(흡광도 10.06), pepsin은 30.2%(흡광도 11.34)였다. 30분 동안 끓인 녹용에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5시간 작용시킨 용액의 추출율은 세균 protease는 47.6%(흡광도 12.54), papain은 26.4%(흡광도 7.48), pepsin은 45.6%(흡광도 7.23)였다. 단백질함량은 물추출액은 52.1%, 세균 protease 추출액은 37.8%였고, 아미노산 함량은 물추출액은 16.3%, 세균 protease 추출액은 31.9%였다. 회분함량은 물추출액은 8.8%, 세균 protease 추출액은 5.6%였다. 무기물 함량은 물추출액의 경우 Ca 3.6%, P 8.6%, Mg0.01%, Na 1.4%, F 0.02%, 세균 pretense의 경우 Ca 2.5%, P 11.8%, Mg 0.046%, Na 2.1%, F 0.018%였다.

기름골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var sativus Boeck) Starch)

  • 한상하;이현유;금준석;박종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82-388
    • /
    • 2006
  • 기름골의 이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기름골의 일반성분 및 기름골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름골의 수분함량은 5.4%,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24.2, 7.2%로 비교적 많은 양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었다. 전분특성과 관련하여 먼저 알카리 침지법에 의해서 전분을 분리하였다. 기름골 전분의 일반성분 결과 전분의 수분함량은 10.10%,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0.41, 0.31%였다. 기름골 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41.6%였고 blue value는 0.49, 전분의 최대흡수파장은 628 nm로 조사되었다. 기름골 전분의 백도는 92.23이었으며 물 결합능력은 83%로 조사되었다. 팽윤력과 용해도의 측정결과 $60^{\circ}C$ 이하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60^{\circ}C$를 경계로 $65^{\circ}C$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70^{\circ}C$ 이후에는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기름골 전분의 입자형태는 표면이 매끄러운 원형 또는 타원형이었고 입자크기는 약 $10{\mu}m$정도였으며 기름골 생전분의 물결합능력은 83%였다. DSC에 의한 호화양상에서 호화개시온도는 $72.2^{\circ}C$, 호화최대온도는 $78.3^{\circ}C$, 호화종결온도는 $76.4^{\circ}C$로 나타나 DSC에 의해 측정된 호화온도가 RVA의 호화온도보다 낮았다. 기름골의 호화양상은 RVA와 DSC로 측정하였는데, RVA측정결과 최대 및 최종점도는 각각 385.08, 293.92 RVA로 나타났다.

한국인 쇄골 두개 이형성증 가족에서의 RUNX2 유전자 돌연변이 (A Novel RUNX2 Mutation in a Korean Family with Cleidocranial Dysplasia)

  • 이지원;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이상훈;김종빈;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9-415
    • /
    • 2019
  • 쇄골 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상염색체 우성의 유전질환으로, 두개골 간 봉합 지연, 쇄골의 이형성, 과잉치, 영구치 맹출 지연 등을 특징으로 한다. 경조직 형성 조절 인자인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의 돌연변이가 쇄골 두개 이형성증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치아 맹출 지연이 관찰되는 쇄골 두개 이형성증 가계에서 분자유전학적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3세 여성 환자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임상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진행하였고 RUNX2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대상자 모두에서 3번 exon 내의 단일 염기 결손 돌연변이(NM_001024630.4: c.357delC)를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frameshift가 발생하여 조기 종결 코돈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며[p.(Asn120Thrfs*24)], 이로 인한 RUNX2 단백질의 기능 손상이 해당 가계에서 나타난 영구치 맹출 지연의 병인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