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so compound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8초

아지리딘 N-옥시드의 酸性化 자리옮김 反應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Oxidative Rearrangement of Aziridine N-Oxides)

  • 최세천;장향동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8-45
    • /
    • 1983
  • 아지리딘 유도체들은 저온에서 아지리딘 N-옥시드 화합물들을 생성하는데 쓰여졌으며, 이 N-옥시드 화합물들은 수소이온이 첨가된 아지리딘처럼 실온에서 쉽게 분해하거나 또는 자리 옮김 반응을 일으켰다. N-옥시드 화합물이 분해하여 생성되는 니트로소 3차 부탄 화합물은 푸른색을 띄므로 쉽게 알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아지리딘 고리의 탄소원자에 알킬기가 치환되지 않고, 아지리딘의 질소원자에 3차 부틸기와 같이 N-옥시드 자리옮김 반응이 불가능할 경우에 주요생성물임을 밝혔다. 그러나 알킬기로 치환되었을 경우 메틸기일 때는 대부분의 아지리딘이 시그마트로픽 자리옮김 반응이 일어나 올레핀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이때 아지리딘 고리의 질소에는 3차 부틸기가 치환된 때이다. 만일 질소에 3차 부틸기를 에틸기로 치환하면 아지리딘 고리에 자리옮김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에틸기가 에틸렌으로 제거 반응이 일어나서 N-히드록시 아지리딘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 PDF

Vitrification of Highly Active Liquid Waste(I) (Thermal Decomposition of Nitrates and Additives for Glass-making)

  • Chun, Kwan-Sik;Lee, Sang-Ho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11-222
    • /
    • 1977
  • 고준위 방사성 폐액의 고화처리 방법들 중 하나인 Vitrification Process의 연구로서 핵연료 재처리 과정에서 유출되는 가상적인 비활성폐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분열 및 부식 생성물들의 질산화물과 유리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의 열분해에 관하여 연구 조사되었다. 결정수를 갖고 있는 화합물들의 열분해시점은 75$^{\circ}C$이하였지만, 무수화합물들은 비교적 높은 분포를 보였다. 110$0^{\circ}C$까지 가열하여 얻어진 질량손실율을 이론치와 비교하였을 때, 대부분의 화합물은 릴치하거나 근사하였지만, Sodium, Cesium, Lithium, Ruthenium 등의 질산화물의 질량손실율은 이론치 보다 훨씬 높았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고준위 폐액의 가소처리과정 또는 조사된 화합물들의 혼합에 따른 열분해를 분석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감귤류의 Ascorbate 및 Phenolic 획분이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in Ascorbate and Phenolic Portions from Citrus Juice)

  • 성낙주;송미향;이수정;신정혜;최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7-103
    • /
    • 2002
  • 감귤류(자몽. 레몬, 금귤, 밀감 및 오렌지)를 착즙하여 얻은 쥬스를 rep-pak $C_{18}$ cartridge를 사용하여 as-corbate 및 phenolic 획분으로 분리한 다음 pH를 달리한 in vitro 반응계에서 아질산염 소거 및 N-nitroso-dimenthylamine(NDMA) 생성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감귤류 쥬스ascorbate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5ml 첨가시 pH 2.5에서 79.9~98.6%, pH 4.2에서 48.5~86.3%였으나, pH 6.0에서는 35.2% 이하였다. Phenolic 획분은 ascorbate 획분에 비해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특히 pH 6.0에서는 ascorbate 획분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NDMA 생성억제 효과는 phenolic 획분의 첨가시에 월등히 뛰어나 PH 2.5의 반 응용액에 금귤, 밀감 및 오렌지쥬스의 phenolic 획분을 첨가했을 때 92.8% 이상이었으나, ascorbate 획분이 첨가된 경우에는 NDMA 생성억제 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감귤류 쥬스의 NDMA생성억제와 관련된 주된 인자는 pheno 화합물인 것으로 사료된다.

모조(模造) 환경조건하(環境條件下)에서의 치환(置換) Diphenyl Ether 제초제(除草劑)의 광분해(光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 (Solution Phase Photolyses of Substituted Diphenyl Ether Herbicides under Simul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 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3호
    • /
    • pp.149-176
    • /
    • 1974
  • 팔종(八種)의 치환(置換) diphenyl ether 제초제(除草劑)를 Rayonet 광화학(光化學) 반응기(反應器)를 사용(使用)한 모조환경조건하(模造環境條件下)에서 용액상(溶液相) 광분해(光分解)시켜 그 분해산물(分解産物)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하였다. 시료(試料)로 사용(使用)된 화합물(化合物)들은 300 nm에서 광화학반응(光化學反應)을 일으키기에 충분(充分)한 energy를 흡수(吸收)하였으며 분해산물(分解産物)은 tlc, glc, ir, ms, 그리고 nmr 등(等)에 의(依)하여 확인(確認)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C-6989의 용액상(溶液相) 광분해(光分解) : p-nitrophenol이 다량(多量) 생성(生成)됨을 보아 ether결합(結合)의 결렬이 주반응(主反應)이며 치환기(置換基) $NO_2{\rightarrow}NH_2$의 광화학적(光化學約) 환원반응(還元反應)과 $CF_3{\rightarrow}COOH$의 산화반응(酸化反應)도 관찰되었다. p-Nitrophenol의 수중(水中) 광분해(光分解) : quinone(0.28%), hydroquinone(0.66%) 및 p-aminophenol(0.42%)과 비교적(比較的) 소량(少量)의 미지화합물(未知化合物)이 생성(生成)됨을 확인(確認)하였고 모화합물(母化化合物)은 대부분(大部分) 작용(作用)을 받지 않은 채로 존재(存在)하였다. 이들 분해산물(分解産物)의 형성기구(形成機構)는 $n{\rightarrow}{\pi}^*$ 및 여기(勵起)를 거친 nitro-nitrite재배열(再配列) 및 자유기(自由基)에 의(依)한 수소탈취(水素脫取)를 통(通)한 광환원(光還元)으로 추측(推測)되었다. Nitrofen의 용액상(溶液相) 광분해(光分解) : n-hexane중(中)에서는 $NO_2$기(基)의 광환원(光遷元)이 주반응(主反應)이었고 수용액(水溶液) 중(中)에서는 광환원(光遷元) 및 hydroxylation이 ether결합(結合) 결렬 보다 현저하였다. hydroxide ion에 의한 친핵적(親核的) 치환(置換), hydroxyl기(基) 및 소량(少量)이긴 하지만 수소(水素)에 의한 염소(鹽素)의 치환(置換)도 다소 관찰되었다. MO-338의 용액상(溶液相) 광분해(光分解) : n-hexane용액중(中) nitro기(基)의 광환원(光遷元) 반응(反應)과 수용액중(水溶液中)에서의 광환원(光遷元) 및 hydroxylation이 주반응(主反應)이었으며 hydroxyl기(基)와 수소(水素)에 의(依)한 염소(鹽素)의 치환(置換) 및 ether결합(結合)의 결렬도 볼 수 있었다. n-Hexane과 cyclohexane중(中)에서의 MC-4379, MC-3761, MC-5127, MC-6063 및 MC-7181의 광분해(光分解) : nitro기(基)의 광환원반응(光還元反應)과 수소(水素)에 의(依)한 halogen의 치환반응(置換反應)이 주(主)로 일어났다. MC-4379의 수중(水中) 광분해(光分解) : ether결합(結合)의 결렬, hydroxyl기(基)에 의한 carboxymethyl기(基)의 치환(置換), hydroxylation, hydroxyl기(基)에 의한 nitro기(基)의 치환(置換)이 주(主)로 일어났고 광환원(光還元) 및 광염소화반응(光鹽素化反應)도 약간 일어났다. MC-3761의 수중(水中) 광분해(光分解) : ether결합(結合)의 결렬, hydroxyl기(基)에 의한 carboxymethyl기(基)의 치환(置換) 및 hydroxylation이 수반되는 광환원(光還元)이 주반응(主反應)이었다. MC-5127의 수중(水中) 광분해(光分解) : 수소(水素)에 의한 carboxyethyl기(基)의 치환(置換)이 현저 하였고 ether결합(結合)의 결렬, 광환원(光還元) 및 탈염소화반응(脫鹽素化反應)도 약간 관찰되었으며 decarboxyethylation은 decarxy-methylation보다 용이함을 볼 수 있었다. MC-6063의 수중(水中) 광분해(光分解) : ether결합(結合)의 결렬과 탈염소화반응(脫鹽素化反應)이 주(主)로 관찰되었다. MC-7181의 수중(水中) 광분해(光分解) : 수소(水素)에 의한 carboxymethyl기(基)의 치환(置換)과 monodechlorination이 현저하였고 ether결합(結合) 결렬과 hydroxylation도 약간 일어났다. 3-Carboxymethyl-4-nitrophenol의 수중(水中) 광분해(光分解) : 방향족(芳香族) ester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유도(光誘導) Fries rearrangement는 이 화합물(化合物)의 carboxymethyl기(基)에서는 볼 수 없었고 $nitro{\to}nitroso$반응(反應)이 주(主)로 일어났다.

  • PDF

미생물에 의한 5′-이노신산의 생산에 관한 연구 (제1보) 5′-이노신산 생산균주의 분리 (Studies on the Fermentative Production of Inosine-5′-monophosphate by Microorganisms (Part 1) Derivation of 5′-IMP Producing Mutants from Brevibacterium ammoniagenes)

  • 배종찬;공운영;손충홍;장욱;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9-125
    • /
    • 1979
  • (l) 핵산관련물질 생산균주의 분리를 위한 변이 유기제와 최적 처리조건은 UV; 30 cm, 1 min, NTG; 200 $\mu\textrm{g}$/ml, 20min, DES; 0.32 %, 90 min, EMS; 5%, 60 min 이었으며 이때 변이솔는 각각 0.083 %, 0.67%, 1.1 %, 및 0.45%로 DES가 가장 양호하였다. (2) Purine 영양요구변이주 239 strain 중 5'-IMP 생산균주는 모두 6 strain이었으며 이중 adenine-guanine 동시요구주 D-2150이 4.8mg/ml로 가장 우수하였다. (3) D-21530 strain의 배양액에서 얻은 결정을 paper chromatogram의 Rf치, 자외선 및 적외선 흡수 spectum 비교, 가수분해에 의한 hypoxanthine 생성량 및 orcinol 반응에 의한 D-ribose의 생성량을 검토한 결과 5'-IMP로 동정되었다. 이 연구을 할때 협력하여 주신 제일제당주식회사 김홍집 상무, 그리고 핵산의 정량분석을 하여준 문화식 씨에게 감사드립니다.

  • PDF

LC-MS/MS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 분석법 확립 (Analysis Method of N-Nitrosamines in Human Urine by LC-MS/MS System)

  • 박나연;정웅;고영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51-56
    • /
    • 2017
  • N-니트로사민은 이차 아민과 아질산이 산성조건 하에서 니트로소화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니트로소 화합물이다. 약 300여종이 존재하며, 그 중 90%가 동물실험을 통해 발암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1987년 IARC에서 NDMA와 NDEA를 Group 2A로 지정하였고, NDPA, NDBA, NPYR, NPIP, NMOR을 Group 2B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니트로사민류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위하여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소변시료는 고체상추출(Solid phase extraction, SPE)을 통하여 전처리 한 후, LC-(APCI)-MS/MS를 이용하여 정량분석 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의 정확도는 85.8~110.2% 이었고, 정밀도는 1.1~10.5%로 나타났다. 검출한계는 0.0002 (NDBA) ~ 0.0793 (NDMA) ng/ml 이었고, 검량선 회귀식의 상관계수($r^2$)은 0.999 이상으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실제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의 평균 농도는 NDMA 2.645 mg/g creatinine, NDEA 0.067 mg/g creatinine, NMEA 0.009 mg/g creatinine, NDBA 0.011 mg/g creatinine, NPIP 0.271 mg/g creatinine, NPYR 0.413 mg/g creatinine 이고, NDPA와 NMOR은 검출되지 않았다. 추후 N-니트로사민류의 인체 노출량 평가 및 위해평가를 위한 기기분석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