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scavenging ability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2초

오미자종자의 항산화성, 항균성, 아질산염소거능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Omija) Seed)

  • 정기태;주인옥;최정식;홍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28-935
    • /
    • 2000
  • 오미자 종자의 몇가지 용매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성, 항균성,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하여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다. 돈지와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오미자종자의 methanol 추출물이, 대두유는 ethanol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free radical 소거 활성은 methanol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컸다. 오미자 종자 추출 용매별 항균 효과는 L. planterum, B. subtilis, E. coli, P. citrinium는 methanol 추출물이, S. aureus와 S. typhimurium은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컸다. 전반적으로 항균 활성이 큰 methanol 추출물을 분획하여 항균력을 검토한 바, buthanol 분획물이 L. planterum, B. subtilis, S. aureus, S. typhimurium 및 E. coli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반응 pH가 낮을수록 우수했으며 methanol 추출물의 buthanol 분획이 다른 추출물과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아질산염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 PDF

폐자원(게껍질, 참깨박, 감귤껍질)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소거작용 (The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Waste Resource (carb shell, sesame meal, Korean tangrin peal) Extracts)

  • 김수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9-593
    • /
    • 2001
  • 폐자원으로 얻어지는 게껍질, 감귤껍질, 참깨박이 free radical 반응 및 지방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nitrosamine 생성의 직접적인 영향인자인 아질산염에 대한 폐자원의 분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폐자원(게껍질, 참깨박, 감귤껍질)으로 부터 유효성분인 chitosan, crude sesamol, ascorbic acid는 각각 11.6%, 2.2%, 2.8%로 나타났으며, TBARS값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어 항산화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전자공여능은 chitosan 29.8%, crude sesamol 35.2%, 감귤껍질 추출물 15.8%로 나타났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전반적으로 SOD 유사활성이 8%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chitosan 51.3%, crude sesamol 19.9%, 감귤껍질 추출물 8.4%로 나타났다. 폐자원 추출물의 nitrite 소거작용은 pH 1.2에서 chitosan 17.4%, crude sesamol 56.4%, 감귤껍질 추출물 19.0%로 나타났으며, crude sesamol이 pH 1.2와 pH 3.0에서 각각 56.4%, 55.4%의 높은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팽이버섯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 김현구;최윤정;김공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13-1017
    • /
    • 2002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이용하여 팽이버섯을 물, 50% 에탄올, 99%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의 power와 시간에 따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작용 (EDA),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power를 $60{\sim}120\;W$로 증가시킴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90 W에서 평형에 이르러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Tyrosinase 저해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 증가에 따라 뚜렷한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능은 추출시간을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각각 추출시간 10분, 5분에서 평형에 이르렀다. 용매별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와 추출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pH에 의존적인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솔잎발효추출물의 효소적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 홍택근;이용림;임무현;정낙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4-99
    • /
    • 2004
  • 솔잎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솔잎발효추출물(PEE)과 에탄올추출물(PE 80, PE 50)로 효소적 저해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솔잎발효 추출물인 PEE가 솔잎 에탄을 추출물 PE 80과 PE 50에 비해 약 5∼38%정도 저해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XOase 저해효과는 PFE가 62.77%, PE 80이 64.90%, PE 50이 55.91%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ACE 저해효과는 PFE가 78.02%, PE 80이 69.82%, PE 50이 21.75%의 순으로 솔잎발효 추출물인 PFE가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솔잎추출물 모두 pH 3.0이하에서 높은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 분석 결과, PFE, PE 80, PE 50의 세 시료 모두 항산화작용에 관여하는 ascorb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시료별 ascorbic acid의 함량은 솔잎 발효추출물인 PF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명자 및 칡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항산화작용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from Cassia tora L. and Pueraria thunbergiana)

  • 하정욱;류연경;박혜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traction yiel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substances and antioxidative substances, electron donating abilities,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assia tora L. and Pueraria thunbergiana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ater and ethoanol extract from Cassia tara L. Tatal phenol substanc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from Cassia tora L. and Pueraria thunbergiana showed nearly the same levels, and the antioxidative substanc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from Pueraria thunbergiana has as much as two times higher than those from Cassia tara L..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measured at pH 1.2, 3.0, 4.2 and 6.0, respectively.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assia tora L showed 14.9%∼22.3% and 49.1%∼56.7%, and those from Pueraria thunbergiana revealed 57.7%∼61.0% of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extracts from Pueraria thunbergiana showed higher pH dependence than those from Cassia tora L. The electrol donating abilities of water extract from Cassia tora L. were higher than those from Pueraria thunbergiana, and vice versa in the case of ethanol extracts. In the antioxidative activitiy of extracts from Cassia tora L. against linoleic acid during storage of 20 days at 50$^{circ}C$, peroxide values at the addition level of 5mg and 10mg were consoderably lower than 2mg although peroxide value increased above 375 after 12days of storage compared with the control(BHA-added) of 129 at 8days.

  • PDF

시설재배 오이의 품종별, 생육단계별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Greenhouse-Grown Cucumb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th Stages)

  • 양승렬;김홍기;이숙재;차원미;안철현;부희옥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8-556
    • /
    • 2013
  • 시설오이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4 품종을 선발하여 생육단계별로 DPPH radical 소거활성, 아질산염 소거활성, ABTS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죽청장 품종이 모든 생육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품종들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생육단계별로는 수확기에 못 미친 미성숙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pH가 1.2일 경우 모든 품종과 생육단계에서 40% 이상 분해시켰으며, 특히 장형낙합과 신조은백다다기 품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pH 4.0에서는 추출물 모두에서 3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pH 6.0에서는 대부분 활성이 없었다. ABTS 소거활성은 장죽청장과 늘푸른 청장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고, 생육단계별로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ABTS 소거능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SOD 활성은 모든 품종과 전 생육단계에서 95%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품종 간에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AT 활성은 전체적으로 장죽청장과 늘푸른청장 품종이 그리고 APX 활성은 늘푸른청장, 장형낙합 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POX 활성은 생육단계별로 뚜렷한 경향을 보여 수확기에 이를수록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 오이의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이용 가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능성 부재료를 첨가한 시판 국수류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ercial Noodles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 손종연;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3-189
    • /
    • 2014
  • We investigated noodles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for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including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electron donating,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and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functional noodles arranged in order of decreasing concentration were kudzu (7.98%) > green tea (4.99%) > pumpkin (5.03%) > mulberry leaves (4.99%) > mugwort (4.23%) > cactus (3.57%) > kelp (3.33).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in green tea noodles were the highest as 4.35%.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n mugwort noodle was the highest as 12.27% at 1,000 ppm. This amount was 4.85 times than that of wheat flour noodle (2.53%).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unctional noodles at pH 1.2 arranged in order of decreasing concentration were green tea (66.52%) > cactus (55.12%) > kudzu (52.67%) > pumpkin (50.50%) > mulberry leaves (43.58%) > kelp (41.41%) > mugwort (37.66).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green tea noodle was lower than ascorbic acid (natural antioxidant) 77.83%, while that of green tea noodle was similar with BHT (artificial antioxidant) 69.45%. The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of noodles containing kelp were the highest as 27.02%. All of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good antioxidant property. Thus, noodles supplemented with mulberry leaves, cactus, mugwort, green tea, pumpkin, kelp or kudzu, demonstrated to have good functional effects for human health.

용매별 옻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 박현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77-682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of Rhus verniciflua were $4.32{\pm}0.17$ mg/100 g and $0.16{\pm}0.02$ mg/100 g, respectively. Electron-donating abil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and ethyl acetate extract ($95.4{\pm}0.4%$)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BHT ($93.3{\pm}1.7%$) at a concentration of 1,000 ${\mu}L$/mL. Reducing power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 ($2.45{\pm}0.03$) at a concentration of 1,000 ${\mu}L$/mL.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pH 1.2, 1,000 ${\mu}L$/mL)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 ($95.5{\pm}0.7%$). Therefore, ethyl acetate extract from Rhus verniciflua has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as that of BHT.

식물체(솔잎, 자초)의 에탄올 추출물이 유탁액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s in Pinus densiflora, Lithospermum erythrorhizon on the Lipid Oxidation of Oil Emulsion)

  • 김수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84-989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n lipid oxidation of oil emul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for hydroxyl radical was found, and plant extract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if Fe2+ ion exists in oil emulsion. Pinus densiflora(PD), Lithospermum erythrorhizon(LE) and PD+LE acted as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to reduce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The content of Fe2+ ion in ethanol extracts from LE and PD+LE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at of ethanol extracts from PD. The content of total iron has same tendency. The ascorbic acid content of PD(16.36ppm)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LE(13.08ppm).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D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of LE. However, the superoxide(SOD) like ability of LE showed a little higher than those of LE and PD+LE, which means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f LE.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s were dependent on pH value, however, they decreased as pH value increased. Especially, they almost didn't show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in pH 6.0. In conclusion, the PD and LE extracts may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 sources to reduce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 PDF

청미래 덩굴잎(Smilax china)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효과 (Electron Donating Abilities,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 김철암;박정륭;김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21-625
    • /
    • 2004
  • 청미래덩굴잎의 ethanol 추출물로부터 얻은 용매별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그리고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각 용매별 분획의 수율은 극성이 높은 수용성 분획과 methanol분획이 각각 63.73%와 26.40%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분간 반응시켰을 때 약 81%정도 달했다. 반면 chloroform분획에서는 약 26%로 가장 낮았다. 아질산 염소거능은 ethyl acetate와 butanol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활성은 모든 분획의 2.5%와 5.0%의 농도에서 Gram(+)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작용이 나타났으나 2.5%농도에서는 Gram (-)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는 전혀 활성이 없었으며 5.0%농도에서는 ethanol 추출물, ethyl acetate와 물분획에서 아주 낮은 활성이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