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effe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s of Mechanochemical Pretreatment on the Extra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outtuynia cordata

  • Park, Keum-Joo;Song, Won-Seob;Islam, Mohammad Nazrul;Lee, Jong-Ill;Kim, Yang-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9-313
    • /
    • 2011
  • Houttuynia cordata is used as a raw material of oriental medicine to acquire antioxidant and anti cancer effect and to cure a heart disease. Mechanochemical technology not only reduces the size of the object but also changes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object. Extra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the Houttuynia cordata after grinding as a pretreatment using the mechanochemical technolog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inding on the yiel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Houttuynia cordata was ground by the planetary ball mill and the morphology was analyzed by SEM. Yields of functional materials were increased from 6.2 g in the sample without grinding to 7.0, 7.8, 8.8 g after grinding of 30 minutes, 1 hour and 2 hours, respectively.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increased from 57-77% to 69-86% as a result of mechanochemical pretreatment. Also, DPPH scavenging abilities for the methanol extraction were increased from 10.01-40.29% to 11.01-49.29% as a result of mechanochemical grinding.

Napier grass (Penninsetum purpureum)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효과 (In Vitro antioxidant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Pennisetum purpureum)

  • 권영지;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67-172
    • /
    • 2019
  • Napier grass (Penninsetum purpureum)의 5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Napier grass 추출물의 수율은 $6.3{\pm}0.35%$이었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79.6{\pm}3.65{\mu}g$ gallic acid equivalents/mg-추출물로 나타났다. Napier grass 추출물의 유리라디칼과 양이온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모두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Napier grass 추출물의 DPPH 유리라디칼에 대한 $EC_{50}$값은 $1,930.0{\mu}g/mL$로 유리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이 높지 않았다. Napier grass 추출물의 ABTS 양이온라디칼 소거, 환원력 및 아질산염 소거에 대한 $EC_{50}$값은 각각 350.0, 840.0 및 $1,470.0{\mu}g/mL$로 나타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에 비해 높은 항산화 능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특히 Napier grass 추출물은 $85.0{\mu}g/mL$의 농도에서 과산화물의 생성을 74.6% 억제할 정도로 뛰어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보여주었다.

마늘 추출물이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s on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 최선영;김형식;이수정;손미예;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7-682
    • /
    • 2006
  • 본 연구는 마늘 추출물 중의 총 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고 NDMA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ethyl acetate>hexane>butanol>chloroform>water 순으로 많았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을 10 mg/mL 첨가 시 각각 $88.0{\pm}1.53%,\;77.5{\pm}0.8%$의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효과는 10 mg/mL의 butanol 추출물 첨가 시 각각 $96.9{\pm}0.75%$$68.6{\pm}1.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utanol 추출물을 prep-LC로 5개의 획분으로 분획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I에서 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이를 prep-LC로 재분획하여 얻은 3개의 subfractions(III-a, III-b 및 III-c)에서는 subfraction III-c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마늘 부탄올 추출물은 NDMA 생성 억제에 효과적인 저해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Some Physiological Activities Observed from Ethanol Extracts of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 Lee, Youn-Ri;Hwang, In-Guk;Woo, Koan-Sik;Kim, Kee-Jong;Jeong, Heon-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176-181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some of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f specialty rough rice ('Goami2', 'Keunnunbyeo', and 'Heugkwangbyeo' rough rice cultivars)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analyzed for their inhibition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The most active rough rice cultivar was 'Heugkwangbyeo' and germinated 'Heugkwangbyeo' rough rice was more effective than ungerminated rough rice, having higher inhibition activity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1.2-fold),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4-fold),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1.2-fold),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1.1-fold).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was increased after germination (2.1-fold) and decreased as pH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70%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Heugkwangbyeo' rough rice can be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the functional food materials.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on from DNA Damage by Water Extract from Pine (Pinus densiflora) Bark

  • Jiang, Yunyao;Han, Woong;Shen, Ting;Wang, Myeong-Hy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16-121
    • /
    • 2012
  • Water extract from Pinus densiflora (WPD)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its ability to provide protection from DNA damage. A series of antioxidant assays, including a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ssay, a reducing power assay, a metal-chelating assay, a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a nitrite scavenging ability, as well as a DNA damage protection assay were performed. Total phenolic content was found to be 211.32 mg Tan/g WPD. The extract scavenged 50% DPPH free radical at a concentration of 21.35 ${\mu}g/mL$. At that same concentration, the reducing power ability of WPD was higher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The extract chelated 68.9% ferrous ion at the concentration of 4 mg/mL. WPD showed better nitrite scavenging effect at the lower pH. Meanwhile, WPD exhibited a strong capability for DNA damage protection at 1 mg/mL concentration.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water extract from Pinus densiflora could be used as a suitable natural antioxidant.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 강보라;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89-394
    • /
    • 2006
  • 본 연구는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의 항산화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반현미와 발아현미 2종(2.5 mm 발아, 5 mm발아)의 총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과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발아정도에 따라 활성이 달라졌다. 각 시료의 총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차이를 이용하여 hexane, EtOAc, 물로 분획하고 다시 각 분획물의 SOD 유사활성 및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분획물에서 발아가 더 많이 진행될수록 SOD유사활성이 증가하여 특히 5 mm 발아현미의 hekane 분획물과 EtOAc 분획물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 50 ppm의 74.1%보다 우수하였으며, vitamin C 100 ppm의 94.0%과 유사한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EC_{50}$ 값 역시 발아정도에 따라 크게 낮아졌으며, 특히 vitamin C의 $EC_{50}$ 값이 38 ppm이었으나, 5 mm 발아현미의 EtOAc 분획물의 $EC_{50}$ 값은 17 ppm으로 분획물임에도 불구하고 vitamin C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활성을 가졌다. Nitrite 소거능은 현미와 발아현미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H 1.5에서 물분획물의 $IC_{50}$ 값은 현미 325 ppm, 2.5 mm 발아현미 120ppm, 5 mm 발아현미 122 ppm으로 현미와 발아현미간의 차이는 컸으나, 2.5 mm 발아현미와 5 mm 발아현미간의 차이는 적어 발아에 의해 더 낮은 농도에서 nitrite 소거능을 가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hexane 분획물과 물분획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각각 9.88, 30.8 및 46.5 mg/kg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CCA 구성 성분은 방부목재로부터 환경 중으로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성분들이 인간과 생태계에 미칠 악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을 것으로 판단된다.상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모든 결과로 볼 때 율무의 추출 효소는 chymotrypsin-like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혈전용해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smotic control group(A/B 25)에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후기당화합물이 첨가된 경우에 SEM상 분리된 세포사이이음(intercellular junction)과 융합된 미세융모를 관찰할 수 있었다. BSA의 투과성은 일 주 배양 후 A30 dish에서만 일 주 배양 후 B5 dish에 비해 19%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 사구체 상피세포의 HSPG 형성의 감소에 고농도의 당과 후기당화합물은 서로 부가적인 역할을 하고 후기당화합물이 더 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HSPG 감소 소견과 더불어 SEM상 장기간 고혈당을 유지하면 사구체 여과기전에서 size-selective와 charge-selective 장벽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당뇨병에서의 단백뇨의 기전 중 하나로 생각된다. MAR 값은 군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과체중군(0.76)이 정상체중(0.73) 또는 저체중군(0.73)에 비해 높은 값은 보여주었다. 9. 철분은 과체중군(1.67)이 저체중(0.80) 또는 정상 체중군(0.82)에 비해 영양 질적 지수(INQ)가 높았으며(p<0.0335), 비타민 $B_1$은 정상 체중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영양 질적 지수를 보여주었다(p<0.0452)

고추잎 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Capsicum annuum Leaves)

  • 김지혜;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0-546
    • /
    • 2003
  • 고추잎을 기능성식품의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즉, 전자공여효과,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효과, 항균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을 조사한 결과 물 분획층에서 16.9%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낸 반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 0.6%로 가장 낮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효과는 전반적으로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ethyl acetate 분획물 0∼600 $\mu\textrm{g}$을 첨가하였을 때는 환원력의 증가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900 $\mu\textrm{g}$이상 첨가구에서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환원력이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잎 분획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측정한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fraction에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어 500 $\mu\textrm{g}$을 첨가하였을 때 90%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효과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잎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ethyl acetate 및 butanol 분획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각 균주에 대한 clear zone의 직경을 확인한 결과 gram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에서 20 mm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Staphylococcus aureus 18 mm, Streptecoccus mutans 17 mm순으로 주로 gram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 이호재;배영일;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05
  •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용매별 radical 소거활성은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0%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유지에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과산화물가, TBA가 및 산가를 측정한 결과 95%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은 산패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물추출물 500 $\mu$g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50%에탄을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acillus subtilis균과 Bacillus cereus균과 같은 그램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1, 10 및 100 $\mu$g/mL 농도로 각각 첨가한 후 A549(폐암세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70% 에탄을 추출물 100 $\mu$g/mL를 첨가하였을 때 62.63%의 가장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95% 에탄올 추출물, 물추출물 및 50% 에탄을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마늘 추출물이 Nitrosamine 생성반응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Garlic Extracts on the Nitrosation)

  • 임경재;박동기;이문수;이중근;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10-115
    • /
    • 2000
  • 마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과 항산화 효과 및 nitrosamine 생성 억제 작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마늘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pH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pH가 높을수록 소거작용이 떨어졌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시 pH 1.2에서 89.6%의 뛰어난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이들 마늘 추출물은 전자공여작용에도 높은 호과를 나타내었는데,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 보다 높았으며, linoleic acid의 항산화 효과도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Nitrosation 반응에서는 에탄올 추출물 첨가시 pH 1.2 및 3.0에서 80% 이상, 그리고 pH 6에서는 29.9%의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반응 pH에 따라 억제효과의 차이가 컸다.

  • PDF

솔잎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과 대두유 산화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Pine Needle Extract and Its Antioxidant Effect on Soybean Oil)

  • 정갑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139-1146
    • /
    • 2008
  •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the pine needle extract was obtained with methanol and its functionality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the antioxidant experiment on soybean oil was carried out by the active oxygen method. The extraction yield of pine needle with 99% methanol was about 19%,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pine needle-methanol extract was 11.32 mg/g on dry basis and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was 94.3%.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extract was pH dependent with the values of 77.44% at pH 1.2, 48.45% at pH 3.0 and 11.04% at pH 6.0, respectively. The peroxide value was 92.6 meq/kg at 5% dosage, 138.4 meq/kg at 2% dosage of the extract on 8 oxidation days. The period of the peroxide value to be 100 mg/kg was 4.9, 6.3 and 8.5 days at control, 2% and 5% dosage of extract,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the extract was 27.9% and 72.3% increase at 2% and 5% dosage,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showed few differences within 4 oxidation days, but with the dosage of the extract it fairly decreased with considerable antioxidant effect to control above 4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