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Nitrite Scavenging Effect by Flavonoids and Its Structure-Effect Relationship

  • Choi, Jae-Sue;Park, Si-Hyang;Choi, Jin-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26-33
    • /
    • 1989
  • Nineteen flavonoids, five phenolics, two coumarins, maltol and L-ascorbic acid were tested as scavenger of nitrite which is believed to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N-nitroso compounds. Many were found to be potent scavenger and the five most potent ones were (+)-catechin, (-)-epicatechin, phloroglucinol, caffeic acid and L-ascorbic acid.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was higher at pH 1.2 than pH 3.0 and increased when the incubation time was longer. The possible relationship of structures to scavenging effect of the flavonoids tested was discussed.

  • PDF

결명자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인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s of Cassia tora L.)

  • 박영범;이태기;김외경;도정룡;여생규;박영호;김선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4-128
    • /
    • 1995
  • 결명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암성 니트로사민의 직접적인 생성인자인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그 소거인자의 분리 및 동정을 시도하였다. 결명자의 메탄올 추출물을 chloroform, ethyl ether, ethyl acetate, 물분획 순으로 순차용매 분리한 결과 ethyl acetate획분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Ethyl acetate획분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하여 얻은 compound A와 B획분 중에서 compound A는 pH 1.2에서 44.5%/200 ${\mu}g$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compound B는 극히 낮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HPLC를 이용하여 compound A획분으로 부터 compound A-1획분을 분리하고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compound A-1은 ascorbic acid에 비해 월등한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UV, IR 및 $^1H-NMR$의 결과로부터 그 구조는 $nor-rubrofusarin-6-{\beta}-mono-D-glucoside$으로 추정하였다.

  • PDF

시험관 및 생체조건하에서 니트로소프로린 생성에 미치는 수종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영향 (Influence of Some Flavonoids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 Lee, Ji-Hyeon;Park, Jae-Su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6-272
    • /
    • 1993
  • 우리들의 식이중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이 니트로소화합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체내에서 일어나는 니트로소화 과정을 아질산염, 프로린과 시료를 동시에 투여하여 생성된 니트로소프로린 함량을 시험관 및 생체조건하에서 HPLC로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잘 알려진 ascorbic acid, KSCN과 더불어 catechin, chlorogenic acid, morin, luteolin, luteolin-7-O-glucoside, naringenin 등은 아질산염 소거에는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니트로소프로린 생성에 대해서는 ascorbic acid와 chlorogen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들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오히려 그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및 nitrite 소거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 안선미;홍용기;권기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76-583
    • /
    • 2011
  • 유용생리활성의 해조류를 이용한 식품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35종 해조류(갈조류 17종, 홍조류 11종 및 녹조류 7종)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in-vitro 항산화 및 nitrite 소거활성을 평가하였다. 해조류 추출물($500\;{\mu}g/ml$) 중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모자반, 알송이모자반, 야마자모자반 및 잘피의 9종에서 60% 이상의 DSA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SA활성은 DSA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상관계수 0.855). 환원력 평가 결과에서는 감태, 곰피 및 대황의 3종만이 0.88 ($Abs_{700}$) 이상의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품에서의 발암인자인 nitrosoamine생성억제와 관련된 NSA평가의 경우, 전체 35종의 해조류 중 19종에서 60% 이상의 NSA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모자반, 야마다모자반, 알송이모자반, 패, 넓패에서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1차 선별된 9종 해조류의 DSA, ASA, NSA의 $IC_{50}$를 조사한 결과, 기존의 항산화능이 알려진 곰피, 대황, 감태 이외에도 야마다모자반 및 넓패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과 nitrite 소거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야마다 모자반 및 넓패를 이용하여 항혈전, 항산화, NSA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 강윤한;박용곤;이기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1996
  • 천연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각종 폐놀성 화합물은 니트로화 반응의 저해제로 관여하거나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종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화합들의 농도를 $0.1mM{\sim}6mM$용액을 조제한 후, 이 액 일정량을 이용해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을 비교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율에서 phenolic acid류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일부는 pH 1.2, 3.0에서 flavonoids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에서 phenolic acid류 가운데 hydroxybenzoic acids는 gallic acid> gentisic acid> syringic acid> protocatechuic acid> salicylic acid> vanillic acid> benBoic acid>p-hydroxy benzo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cinnarnic acids가운데 전자공여능의 크기는 hydrocaffe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p-coumaric acid>trans-cinnam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flavonoids 가운데에서는 (+)catechin> rutin> quercetin>naringin=hesperidin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nnic acid를 포함한 기타 phenol성 화합물에 없어서도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 PDF

감자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rite Scab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otato Extracts)

  • 강윤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78-483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unctional properties of 70% acetone extract in different parts of two potato varieties. 'Superior' and 'Atlantic' potato were processed by following method. Potatoes are washed, peeled, sliced and steamed before hot air drying for flesh and peel powder. Hunter's L and b values of flesh powder from blanched 'Superior' potato were higher than flesh powder from fresh 'Superior' potato. Discoloration of 'Superior' potato was inhibited by steam blanching.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chlorogenic acid in the 70% acetone extract of 'Superior' potato were higher than those of 'Atlantic' potato paticularly in the blanched flesh and peel. But flavonoid was not detected in flesh extract. The phenolic concentration was not decreased by the heat treatment. The nitrite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greatest at the tuber peel including the skin and cortex tissue 1mm beneath the skin. From the above results browning reaction and polyphenol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potato slices were dependent on cutivars. Peels contained more polyphenols than those from the flesh. The results indicate that potato peel extract of steam blanched plus hot air dried potato tuber showed the effectiveness as a natural nitrite scavenger and antioxidant.

  • PDF

담죽엽의 항산화 효과와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i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Effects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Via Reducing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in RAW 264.7 Cell)

  • 황성연;이성원;권강범;최원종;김재효;안성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76-982
    • /
    • 2010
  • We studied to know the anti-inflammation effect on water extracts of Lophatheri Herba which was growing in every places in our country. We objected free radical scanvenger effect and nitrite eliminate effect of the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nd the cell viabillity, the effects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on NO production,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Free radical scavenger effects were $27.91{\pm}0.12%$, $38.96{\pm}0.10%$, $46.22{\pm}0.15%$ depend on 0.5, 1.0, 2.0 mg/ml each dose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Nitrite eliminate effects were $9.86{\pm}0.3%$, $80.61{\pm}0.23%$, $97.62{\pm}0.56%$ in 0.1, 1.0, 2.0 mg/ml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on pH 1.2. NO production and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were reduced in RAW 264.7 cell by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s the above results,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have anti-inflammation effects via NO production decrease, iNOS synthesis decrease mechanism. So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will be used as the protection or treatment in chronic inflammation desease like a asthma, stomatitis etc.

모르핀 정맥 투여시 척수 진통 작용 기전에 기여하는 Nitric Oxide (IV Morphine Produced Spinal Antinociception Partly by Nitric Oxide)

  • 송호경;박수석;김정태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1호
    • /
    • pp.1-6
    • /
    • 1998
  • Background: The role of nitric oxide(NO) in analgesia from opioids is controversial. On the one hand, IV morphine analgesia is enhanced by IV injection of NO synthase inhibitors. On the other hand, IV morphine results in increased release of NO in the spinal cord. There have been no behavioral studies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IV morphine and intrathecal injection of drugs which affect NO synthesis. Method: Rats were prepared with chronic lumbar intrathecal catheters and were tested withdrawal latency on the hot plate after 3~5 days of surgery. Antinociception was determinined in response to a heat stimulus to the hind paw before and after IV injection of morphine, 2.5 mg/kg. Twenty minutes after morphine injection, rats received intrathecal injection of saline or the NO synthase inhibitors, L-NMMA or TRIM, the NO scavenger, PTIO, or the NO synthase substrate, L-Arginine. Intrathecal injections, separated by 15 min, were made in each rats and measurements were obtained every 5 min. Result: Mophine produced a 60~70% maximal antinociceptive response to a heat stimulus in all animals for 60 min in control experiments. Intrathecal injection of idazoxane decreased antinociception of IV morphine. The NO synthase inhibitors and the NO scavenger produced dose-dependent decreases in antinociceptive effect of morphine, whereas saline as a control group and L-Arginine as the NO substrate had no effect on antinociception of morphine.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e evidences that systemic morphine increase the nitrite in cerebrospinal fluid and dorsal hor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synthesis of NO in the spinal cord may be important to the analgesic effect of IV morphine and increased NO in spinal cord has different action from the supraspinal NO.

  • PDF

장기저장을 위해 제조한 동결건조 산채 블록의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Preparing Freeze Dried Wild Vegetable Block for the Long-term Storage)

  • 유진균;정미자;김대중;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49-1655
    • /
    • 2009
  • 곰취(Ligularia fischeri, GC), 고추잎(Capsicum annuum L., GCY), 취나물(Aster scaber, CNM), 머위대(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MYD) 및 고구마순(Ipomoea batatas L. (Lam), GGM)과 같은 산채들의 물 추출물의 항산화능력을 평가하고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과 비교하였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 측정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작용,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같은 방법에 의해 알아보았다. 산채 물 추출물은 그들의 동결건조 물 추출물보다 총 페놀함량이 더 높았다.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추출물들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471.66{\pm}3.52\;{\mu}g/mg,\;141.33{\pm}2.51\;{\mu}g/mg,\;177.33{\pm}2.88\;{\mu}g/mg,\;238.66{\pm}9.50\;\mu}g/mg\;그리고\;122.67{\pm}3.51\;{\mu}g/mg$이었다. 1000 ppm GC, GCY, CNM 그리고 GGM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보다 더 높았고, 1000 ppm CNM, GC, GCY, MYD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각각 90.9%, 89.9%, 76.6%, 71.1% 그리고 57.4%였다. 10000 ppm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 추출물들은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각각 38.8%, 33.4%, 35.9%, 34.3% 그리고 33.8%까지 증가시켰고, GCY, CNM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은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GC와 MYD의 물 추출물이이들 동결건조 블록들의 물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보다 약간 더 영향력이 있었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은 실험된 모든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작용 및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현저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그것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동결건조블록이 산채와 비교하여 산채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against Oxidative Neuronal Cell Death of Kimchi Containing a Mixture of Wild Vegetables with Nitrite Scavenging Activity)

  • 강경훈;박시영;권기한;임희경;김성현;김정균;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58-14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NaNO_2$ 모델계와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한 9종류 산채들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MWV)의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pH 4.2에서보다 pH 1.2에서 높았고, 다래순 추출물과 참취 추출물(AS)은 pH 1.2에서 90% 이상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나타내었다. AS, 더덕, 잔대, 도라지 및 민들레 추출물들(CL, AT, PG, TO)은 pH 4.2에서 다른 추출물보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 높았다. CL, AT, PG 및 TO는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해 높은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더하여 항산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뇌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MWV의 영향을 사람의 뇌 신경모세포종 SK-N-SH 세포 내에서 연구하였다. MWV 추출물은 SK-N-SH 세포에서 $H_2O_2$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과 ROS 생성을 약화시켰다. MWV 추출물은 일반김치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작용을 보여주었다. MWV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H_2O_2$)에 대항하여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