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ate-nitrogen

검색결과 1,005건 처리시간 0.03초

Potassium Chloride로부터 Nitrogen Dioxide 반응에 의한 Potassium Nitrate로의 전환 (Conversion of Potassium Chloride to Potassium Nitrate by the Reaction of Nitrogen Dioxide)

  • 임굉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29-136
    • /
    • 1996
  • 염화물을 이산화질소기체로 반응시킬때와 같이 고체 염화칼륨으로부터 고체 질산칼륨으로의 직접적인 전환이 질산칼륨의 생성을 암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열역학적 추정에 있어서 자유에너지 변화는 상온에서 유리하며 발열반응을 보여준다. 그리고 높은 수율과 함께 적은양의 물존재로 인하여 상온에서 반응이 일어나며 반응생성물에서 염화니트로실이 동시에 생성되고 있다.

  • PDF

완두잎의 광호흡에 미치는 무기질소의 영향 (Effect of Inorganic Nitrogen on Photorespiration of Pea Leaves)

  • 이인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4호
    • /
    • pp.253-261
    • /
    • 1984
  • Leaf discs isolated from the pea seedling grown in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5mM ammonia or nitrate exhibited a half level of photorespiration as compared with the nitrogen free control. The manifestation of the ammonia effect appeared somewhat earlier than that of nitrate effect, but this difference subsided as the culture periods was extended. The total amount of ${CO}_2$ fixed by leaves from nitrogen-supplemented seedlings showed approximately 1.5 fold increase over the control with the ammonia effect being manifested earlier than the nitrate effect. The activities of peroxisomal serine: glyoxylate aminotransferase were always higher with ammonia than nitrate, the two types of nitrogen source, however, had similar effect on conversion rate of glyoxylate into glyci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ogenous ammonia does not act directly as an effector of this aminotransferase in vivo. But changes in the level of the pool size of glycine and serine, both of which are the intermediates of photorespiratory process, suggest that exogenous ammonia inhibit the transformation of serine from glycine metabolically.

  • PDF

품종 및 질소시비수준이 수단그라스계 교잡종간의 생육단계별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ety and Nitrogen Fertilizer on Nitrate Content in Sorghum-Sudangrass Hybrids)

  • 윤창;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4
    • /
    • 1999
  • 본 시험은 질소다비에 의한 수단그라스계 교잡종중 Xtragraze II 품종과 비출수 품종인 Civa 1990 품종의 수량 및 질산염 함량을 조사하여 반추가축의 질산염중독 발생 가능성과 적정 질소시비수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단그라스계 교잡종 1번초를 공시하여 1995년 6월부터 9월까지 익산대학 동물사육장 시험포에서 실시하였다. 질소시비수준은 ha당 200kg-N, 400kg-N 및 600kg-N으로 하고, 인산과 칼리비료는 200kg씩 시용하였다. Xtragraze II 품종의 질산태질소 함량은 생육시기의 진전에 따라 감소한 반면에 Civa 1990은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두 품종 모두 200kg-N 수준에서는 전생육기 동안 안전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400kg-N 이상에서는 중독 위험수준을 상회하고 있었으나 Xtragraze II는 출수 후 안전수준까지 감소한 반면, Civa 1990은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중독 위험수준을 상회하여 Xtragraze II 품종에 비해 Civa 1990 품종이 질산염 축적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산염 중독으로 부터 비교적 안전한 질소시비수준은 두 품종 모두 200kg-N 이하로 나타났다. 년간 질소 400kg 이상을 시용할 경우는 질산염이 중독 위험수준이상으로 축적될 수 있으므로 급여시에는 주의를 요한다.

  • PDF

영가철 충진 회분식 복극전해조에 의한 질산성 질소 제거 (Removal of Nitrate Nitrogen for Batch Reactor by ZVI Bipolar Packed Bed Electrolytic Cell)

  • 정주영;박정호;최원호;박주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B호
    • /
    • pp.187-192
    • /
    • 2011
  • 질산성 질소는 대표적인 지하수 오염물질로써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음용수 중의 질산성 질소 농도를 WHO 권고기준인 10 mg/L as N 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처리하고자 하는 물질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영가철 충진 복극전해조를 이용하여 지하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처리하기 위해 다양하게 실험조건을 변화시켜 최적의 효율을 얻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로서 영가철을 환원제로 사용할 때, 질산성 질소는 산성조건에서 좋은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산성조건을 유지시켜주지 않았을 때 암모니아성 질소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수산화기 발생으로 pH가 증가하여 환원반응에 필요한 수소이온이 감소함으로 효율이 점차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복극전해조에서, 영가철과 주문진규사의 충진비는 0.5~1:1에서 제거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이는 각각의 영가철 입자가 미세전극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충진비 2:1 이상에서는 점진적인 침전물의 형성 및 clogging의 가속화로 제거효율이 감소하였다. 인가전압이 상승할수록 제거효율이 높아졌으나 반응기 내 bypass current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소비되는 전력량이 비례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최적 인가전압을 50 V로 결정하였고 그 때 질산성 질소를 94.9% 제거할 수 있었다.

질소 동위원소비를 이용한 관행농업과 유기농업에서의 질산태 질소 오염원 구명 (Investig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Under the Conventional and Organic Agricultural Systems Using Nitrogen Isotope Ratios)

  • 고한종;최홍림;김기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481-490
    • /
    • 2005
  • Nitrate contamination in water system is a critical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by excessive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concentration of livestock. In order to prevent further contam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rigin of nitrate in nitrogen loading sources and manage the very source of contamin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in different agricultural system by using nitrogen isotope ratios. Groundwater and runoff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on a monthly basis from February 2003 to November 2003 and analyzed for nitrogen isotopes. The nitrate concentrations of groundwater in livestock fanning area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ventional and organic fanning area and exceeded the national drinking water standard of 10mg N/ l. The ${\delta}^{15}N$ranges of chemical fertilizer and animal manure were - 3.7${\sim}$+2.3$\textperthousand$ and +12.5${\sim}$26.7$\textperthousand$, respectively. The higher ${\delta}^{15}N$ of animal manure than those of chemical fertilizer reflected isotope fractionation and volatilization of '''N. The different agricultural systems and corresponding average nitrate concentrations and ${\delta}^{15}N$ values were: conventional farming, 5.47mg/e, 8.3$\textperthousand$; organic fanning, 5.88mg/e, 10.1$\textperthousand$; crop-livestock farming, 12.5mg/e, 17.7%0. These data indicated that whether conventional or organic agriculture effected groundwater and runoff water quality. In conclusions, relationship between nitrate concentrations and ${\delta}^{15}N$ value could be use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nitrate derived from chemical fertilizer and from animal manure. Additional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monitor long-term impact on water quality in accordance with agricultural systems.

Transcription Factor OsDOF18 Controls Ammonium Uptake by Inducing Ammonium Transporters in Rice Roots

  • Wu, Yunfei;Yang, Wenzhu;Wei, Jinhuan;Yoon, Hyeryung;An, Gynhe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3호
    • /
    • pp.178-185
    • /
    • 2017
  • Nitrog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ineral elements for plant growth. We studied the functional roles of Oryza sativa DNA BINDING WITH ONE FINGER 18 (OsDOF18) in controlling ammonium uptake. The growth of null mutants of OsDOF18 was retarded in a medium containing ammonium as the sole nitrogen source. In contrast, those mutants grew normally in a medium with nitrate as the sole nitrogen source. The gene expression was induced by ammonium but not by nitrate. Uptake of ammonium was lower in osdof18 mutants than in the wild type, while that of nitrate was not affected by the mutation. This indicated that OsDOF18 is involved in regulating ammonium transport. Among the 10 ammonium transporter genes examined here, expression of OsAMT1;1, OsAMT1;3, OsAMT2;1, and OsAMT4;1 was reduced in osdof18 mutants, demonstrating that the ammonium transporter genes function downstream of OsDOF18. Genes for nitrogen assimilation were also affected in the mutant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OsDOF18 mediates ammonium transport and nitrogen distribution, which then affects nitrogen use efficiency.

제주도 지하수 관정 내 질산성질소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Nitrate Nitrogen Contamination Degree in Groundwater Wells, Jeju Island)

  • 송성호;황보동준;장기영;김진성;서상기;양원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4호
    • /
    • pp.8-19
    • /
    • 2021
  •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standard for nitrate nitrogen contamination degree (WELCUP) was established using six factors that influence the groundwater quality in Jeju Island. To do this, weightings, ranges, and ratings were assigned for each factor and the relative possibility of nitrate nitrogen contamination degree was evaluated using WELCUP index for each well.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WELCUP index using groundwater quality data of 5,112 wells in Jeju Island for 27 years (1993-2019), all 61 wells with the WELCUP index value higher than 100 are distributed in Daejung and Hangyung watershed with relatively large area of farmland in Jeju Island. In particular, as the ratio of private wells is more than 64%, it is necessary that systematic management is needed for private wells in terms of nitrate nitrogen contamination. Consequently, based o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WELCUP evaluation standard,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prioritization of nitrate nitrogen contamination pathways project for groundwater wells in Jeju Island.

Hybrid type 반응조에서의 혐기성 슬러지의 탈질(I): 초산을 기질로 사용한 경우 (Denitrification of Anaerobic Sludge in Hybrid type Anaerobic Reactor(I): Acetate as Substrate)

  • 신항식;김구용;이채영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5-44
    • /
    • 1999
  • In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remove nitrate and carbon in a single-stage reactor using acetate as substrate. Hybrid type upflow sludge baffled filter reactor was adopted using anaerobic sludge. Sludge bed in the bottom of reactor was intended to remove carbon and nitrate by denitrification and methanogenesis. And floating media in the upper part of reactor were intended to remove remaining carbon which was not removed due to the inhibition of nitrogen oxide on methane producing bacteria. The reactor removed over 96% of COD and most of nitrate with volumetric loading rate of $4.0kgCOD/m^3{\cdot}day$, hydraulic retention time of 24hr, 4,000mgCOD/L, and $266mgNO_3-N/L$. Nitrate in anaerobic sludge was converted to nitrogen gas(denitrification) or ammonia (ammonification) according to pH of influent, COD removal efficiency was easily affected by the change of volumetric loading rates and nitrate concentration. And when influent pH was about 4.7, most nitrate changed to ammonia while when influent pH was about 6.8~7.0, most nitrate denitrified independent of $COD/NO_3-N$ ratio. Most granules were gray and a few were black. In gray-colored granule, black inner side was covered with gray substance and SEM illustrated Methanoccoci type microorganisms which were compact spherical shape. Anaerobic filter removed residual COD effectively which was left in sludge bed due to the inhibition of nitrogen oxide.

  • PDF

동계 사초호밀 및 녹비 헤어리베치 재배에 따른 토양 질산태질소 및 옥수수 질소 흡수량 비교 (Comparisons of Soil Nitrate and Corn Nitrogen Uptake According to Winter Forage Rye and Green Manure Hairy Vetch)

  • 서정호;이호진;허일봉;김시주;김충국;조현숙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9-206
    • /
    • 2000
  • 사료용 옥수수에 대한 동계호밀 재배 및 헤어 리베치 녹비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동계호밀, 헤어리베치 녹비, 동계휴한의 세 작부체계에 질소 수준을 100, 200kgN/ha를 각각 두어 토양의 질산 태 질소와 옥수수의 수량 및 질소 흡수량의 차이 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수수 파종직전 호멸을 재배한 구는 토양의 질산태 질소량은 동 계 휴한구보다 다소 감소하였으나 헤어리베치 재 배구는 동계 휴한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베치녹 비구는 옥수수 질소추비기 및 수확기에 토양 질 산태 질소가 증가하여 동계 휴한구나 호밀잔사구 보다 평균 60~70 kgN/ha의 질산태 질소가 많았으며 베치를 녹비로 환원하고 질소비료를 200 k kgN/ha 시용하였을 때 100 kgN/ha 내외의 질산태 질소가 옥수수에 흡수되지 못하고 수확기 에 토양 에 잔류하였다. 옥수수 수량 및 종실의 질소 함량은 세 작부체계 모두 질소비료 100 kgN/ha 이상 에서는 증가하지 않았지만 간엽의 질소 함량과 질소 흡수량이 베치녹비시 현저히 증가하여 동계 휴한 및 동계 호밀구보다 50 - 60 kgN/ha의 질소 를 옥수수가 더 흡수하였다. 따라서 옥수수 수확 시 토양에 잔류하는 질산태 질소량 및 옥수수의 질소흡수량의 증가를 고려할 때 동계에 헤어리베 치를 재배하여 녹비의 환원시 독비에 의한 무기 태 질소 공급효과가 100 kgN/ha 이상일 것으로 추측되며 질소기비의 100 kgN/ha는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희토 및 질소시용이 치커리의 성장과 질산태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re Earth and Nitrogen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Nitrate Content of Chicory)

  • 허삼남;이성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3-48
    • /
    • 2003
  • 질소 시용에 의한 치커리의 질산염 축적과 희토처리가 질산염 강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치커리 잎의 성장과 수량, 엽록소 함량, 질산엽 함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희토처리가 치커리의 생육촉진과 질산태질소 함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치커리 잎이 두꺼워지고 잎 크기도 커졌으며, 같은 수준의 질소 시비구에서 희토처리로 잎이 두꺼워지고 잎의 크기도 커졌다. N+2구에서 희토처리 효과가 가장 뚜렷하였다(p<0.05). 2. 질소처리 수준이 높아질수록 치커리 엽중 총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a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엽록소-b에 대한 엽록소-a의 비율은 증가되었다. 희토처리로 총 엽록소 함량, 엽록소-a 함량 및 엽록소 a/b율이 모두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생체와 건물수량이 질소 시비수준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N+2구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희토 사용으로 생체수량은 6.7∼17.0%, 건물수량은 9.0∼10.8%증가되었다. 질소 시용증가로 건물율이 감소되었으나 희토시용은 건물율을 4.6∼5.8% 증가시켰다. 4. 질소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치커리의 질산 태 질소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희토 엽면살포로 그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N+2 처리구에서는 45.9%나 감소되었다. 5. 희토시용은 식물 생장에 필수적 요인인 엽록소 함량을 증가시켜 식물 생장을 촉진하고, 특히 식물체내 질산태질소 강하효과가 뚜렷하여 안전 농산물생산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