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ali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주요채소용제초제(主要菜蔬用除草劑)의 토양중(土壤中) 잔효와 후작물(後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제(第)4보(報) : 제초제(除草劑) Nitralin과 Napropamide의 잔류량조사(殘留量調査) (Residual Activity and Effect of Soil-applied Herbicides on Succeeding Crops in Vegetable Fields;4. Residual Amount of Herbicides Nitralin and Napropamide)

  • 양환승;문영희;최은석;장문수;이진하;장영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3-118
    • /
    • 1991
  • 월동작물(越冬作物)에 처리(處理)한 두 제초제(除草劑)의 토양중잔류량(土壤中殘留量)을 화학분석(化學分析)에 의하여 경시적(經時的)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nitralin은 150일 경과후에서 200일 경과후까지는 비교적 고약량(高藥量)이 검출(檢出)되었고, 22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도 토성(土性)에 관계없이 75g a.i./l0a 처리구(處理區)에서 $0.053{\sim}0.141ppm$ 범위(範圍)로, 150g처리구(處理區)에서는 $0.134{\sim}0.308ppm$로 검출(檢出)되었다. 2. napropamide의 75g처리구(處理區)중 15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는 $0.006{\sim}0.072ppm$이 검출(檢出)되었고, 20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는 검출한계이하(檢出限界以下)(ND)였다. 또 150g처리구(處理區)중 15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는 N. D-0.04ppm이 검출(檢出)되었으며 22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는 토성(土性)에 관계없이 검출한계이하(檢出限界以下)로 나타났다. 3. 두 제초제(除草劑) 모두 화학적(化學的)일 잔류량조사결과(殘留量調査結果)는 한천배지실험(寒天培地實驗) 및 포장(圃場)에서의 생물검정실험(生物檢定實驗)의 결과(結果)와 합치(合致)된 결과(結果)임이 확인(確認)되었다.

  • PDF

주요채소용제초제(主要菜蔬用除草劑)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잔효(殘效)과 후작물(後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 제(第)3보(報) 무균한천배지(無菌寒天培地)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의 농도수준(濃度水準)에 따른 검정식물(檢定植物)의 생육저해(生育沮害) (Residual Activity and Effect of Soil Applied Herbicides on Succeeding Crops in Vegetable Field 3. Growth Inhibition of Test Plant According to Concentration Level of Herbicides in Sterile Agar Medium)

  • 양환승;문영희;최은석;장민수;이진하;장영남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1
    • /
    • 1991
  • 토양중(土壤中)에서 생육억제(生育抑制)에 필요한 유효농도(有效濃度)를 식물별(植物別)(화본과 I.R, 십자화과무)로 알아보기 위하여 무균한천배지(無菌寒天培地)에 제초제(除草劑) 4종(種)을 농도수준별(濃度水準別)로 처리(處理)하여 생육억제(生育抑制)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통(共通)된 석향(傾向)으로 4종(種)모두 초장(草長)보다는 근장억제(根長抑制)가 보다 컸으며 무 보다 I.R에 대한 억제(抑制)가 월등(越等)하게 컸다. 2. I.R의 근장(根長)과 초장(草長)을 50% 이상억제(以上抑制)시키는 농도(濃度)는 nitralin 0.036ppm과 0.132ppm이고 napropamide는 0.027ppm과 0.071ppm이었다. 또 pendimethalin은 0.063ppm과 0.097ppm이고 ethalfluralin은 0.042ppm과 0.092ppm이었다. 그러나 무의 근장(根長)과 초장(草長)을 50% 억제(抑制)시키는 농도(濃度)는 nitralin은 1.028ppm과 10ppm 이상, napropamide는 0.515ppm과 10ppm 이상이었다. pendimethalin은 1.925ppm과 4.885ppm, ethalfluralin은 2.669ppm과 10ppm 이상이었다.

  • PDF

산채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 및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Occurrence and Control of Weeds in Edible Wild Greens Field)

  • 이인용;박재읍;박태선;유갑희;유범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68
    • /
    • 1998
  • 산채류(山菜類)중 달래, 머위, 참취밭에 발생하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하여 napropamide 21.8% 유제(乳劑) nitralin 50% 수화제(水和劑) 그리고 pendimethalin 31.7% 유제(乳劑)를 약량별(藥量別)로 처리(處理)하였을 때 잡초방제(雜草防除) 효과(效果)와 산채류(山菜類)에 나타나는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하였다. 1.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는 피, 바랭이, 여뀌, 명아주, 털진득찰, 깨풀, 속속이풀, 닭의장풀 등 9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였으며, 그중 피, 바랭이, 여뀌, 명아주, 털진득찰 등이 우점(優占)하였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의 다양화(多樣化) 정도(程度)를 나타내는 Simpson 지수(指數)는 0.26~0.30로 낮아 잡초발생(雜草發生) 초종(草種)이 다양(多樣)하였다. 3. 공시약제(供試藥劑)의 잡초방제(雜草防除) 효과(效果)는 napropamide유제(乳劑)(21.8%) 872g(ai/ha) 처리구(處理區)는 81.4%~85.6%이고, nitralin수화제(水和劑)(50%) 1,000g(ai/ha) 처리구(處理區)는 79.4%~82.8%, pendimethalin유제(乳劑)(31.7%) 634g(ai/ha) 처리구(處理區)에서는 86.8%~92.2%로서 작물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4. 공시약제(供試藥劑)에 대한 약제(藥劑)의 반응(反應)은 napropamide유제(乳劑)에서는 발아(發芽) 혹은 출아지연(出芽遲延)으로 인하여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는 1~3정도(程度)의 약해(藥害)가 나타났으며, nitralin수화제(水和劑)에서도 그 약해 증상과 정도가 napropamide유제(乳劑)와 유사(類似)하였으며 pendimethalin유제(乳劑)처리구의 달래와 머위는 생육지연(生育遭遲延)에 의한 1~2의 약해가 발현(發現)된 반면에 참취는 잎의 기형발현(畸形發現)으로 인한 2~3의 약해가 유발(誘發)되었다.

  • PDF

호려과작물(葫藘科作物)에 대한 선택성제초제선발(選擇性除草劑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Selective Herbicides to Cucurbitaceae Crop)

  • 양환승;문영희;김낙응;김진하;최연철;박형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8-216
    • /
    • 1988
  • 폴리에칠렌 피복하(被覆下) 호려과(葫藘科)(박과) 5작물(作物)에 대하여 적용(適用)이 가능(可能)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밭포장(圃場)(식양토(埴壤土))에서 직파(直播) 또는 이식재배시(移植栽培時) 6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공시(供試)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직파재배(直播栽培) (1) Ethalfluralin은 박, 호박, 수박, 오이, 참외에 대하여 초기약해(初期藥害)가 거의 없었으며, 최종생체중(最終生體重)에 있어서도 박, 호박은 1.080 g ai/ha까지, 수박과 오이, 참외는 720g ai/ha까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2) Napropamide는 1,500~3,000 g ai/ha까지 박과(科) 5종(種)에 대하여 초기약해(初期藥害)가 거의 없었고, 최종생체중(最終生體重)에 있어서 박, 호박, 오이는 3,000 g ai/ha까지, 참외, 수박은 1,500 g ai/ha까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3) Trifluralin은 890 g ai/ha, nitralin은 1,500 g ai/ ha에서 박에 한해서 초기약해(初期藥害)도 없었고 최종생체중(最終生體重)에 있어서도 유의차가 없었다. 2. 이식재배(移植栽培) 박을 태목(台木)으로 하고 수박과 참외의 접수(接穗)를 접목(接木)한 묘(苗)를 이식재배시(移植栽培時) 처리(處理)한 제초제(除草劑)중 수박, 참외에 대하여 약해(藥害)가 없고 생육량(生育量)에 있어서 유의차가 없는 제초제(除草劑)는 ethalfluralin(540~1,080 g 단, 수박은 720g ai/ha), napropamide(l,500~3,000 g ai/ha) 및 trifluralin(890 g ai/ha) 및 nitralin(1,500 g ai/ha)이었다. 3. 종합적(綜合的)인 제초효과(除草效果)는 ethalfluralin(720 g ai/ha 이상)과 pendimethalin(1,268 g ai/ha)이 90% 이상(以上)으로 가장 높았고 그 이외(以外)의 약제(藥劑)들은 81~85% 범위의 제초율(除草率)을 나타냈다.

  • PDF

주요(主要) 채소용(菜蔬用) 제초제(除草劑)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잔효(殘效)와 후작물(後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 - 제(第)2보(報) 춘하작물(春夏作物)에 처리(處理)한 제초제(除草劑)의 잔효(殘效)와 후작물(後作物)에의 영향(影響) - (Residual Activity and Effect of Soil Applied Herbicides on Succeeding Crops in Vegetable Field - 2. Residual Activity and Effect of Applied Herbicides on Succeeding Crops in Summer Crops -)

  • 양환승;문영희;최은석;장민수;이진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0-59
    • /
    • 1991
  • 주요(主要) 채소용(菜蔬用) 제초제(除草劑)의 잔효기간(殘效期間)과 후작물(後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코자 한다. 여름작물 6종(감자, 당근, 옥수수, 수박, 여류콩, PE 멀칭참깨)을 포장(圃場)에 파종(播種)하고 각(各) 작물(作物)에 적용(適用)이 가능시 된 제초제(除草劑)를 약량별(藥量別)로 처리(處理)한후 생물검정(生物檢定)에 의하여 경시적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처리(處理)된 제초제(除草劑)의 잔효기간(殘效期間)과 후작물(後作物)에 대 한 약해유무(藥害有無)(carry-over injury)는 공시토양(供試土壤)의 종류(種類)나 재배작물(栽培作物)의 종류(種類)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제초제(除草劑)의 처리시기(處理時期)(봄처리, 가을처리), 처리약량(處理藥量), 토양(土壤)의 채취심도(採取深度), 검정식물(檢定植物)의 종류(種類) 및 파종일자(播種日字)(경과일수(經過日數))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제초제별(除草劑別) 잔효기간(殘效基幹)의 장단(長短)의 구별(區別)도 뚜렷하였다. 그러나 잔효성제초제(殘效性除草劑)라도 후작물(後作物)의 종류(種類)(감수성작물(感受性作物) 피함), 약제처리후작물(藥劑處理後作物)의 파종일자(播種一字) 연장, 경운심도(耕耘深度) 등의 조절(調節)로 후작물약해(後作物藥害)는 최소화 할 수 있었다. 2. 월동작물(越冬作物)에 처리(處理)된 제초제중(除草劑中) 그 작기(作期)가 종료시(終了時)(하작(夏作) 100-120 일(日))까지 잔효(殘效)가 거의 남지 않아 후작물(後作物)에 안전(安全)한 제초제(除草劑)는 alachlor, trifluralin, ethalfluralin, metribuzin, prometryn 등이었다. 3. Pendimethalin, metolachor, linuron, methabenzthiazuron, simazin 등은 추천약량(推薦藥量)까지는 후기종료(後期終了)와 동시(同時)에 안전(安全)하나 배량처리(倍量處理)가 될때에는 그 약제(藥劑)에 감수성작물(感受性作物)의 생육(生育)에는 영향(影響)이 있었다. 4. Napropamide는 300 ga. i./10 a 약량(藥量) 처리시(處理時) 작기종료직후(作期終了直後)(약제처리(藥劑處理) 140 일후(日後))에는 후작물(後作物)중 화본과(禾本科)인 I.R과 보리등에는 영향(影響)이 있었으나, 십자화과(무, 배추)작물(作物)에는 영향(影響)이 없었다. 5. Nitralin은 약제처리(藥劑處理) 140 일후(日後)에도 I.R과 보리에는 150-300 g a. i/10 a 약량(藥量)에서 생육억제(生育抑制)가 있었으나, 십자화과에 대한 영향(影響)은 적었다.

  • PDF

주요(主要) 채소용(菜蔬用) 제초제(除草劑)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잔효(殘效)와 후작물(後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 - 제(第)1보(報) 월동작물(越冬作物)에 처리(處理)한 제초제(除草劑)의 잔효(殘效)와 후작물(後作物)에의 영향(影響) - (Residual Activity and Effect of Soil Applied Herbicides on Succeeding Crops in Vegetable Field - 1. Residual Activity and Effect of Applied Herbicides on Succeeding Crops in Winter Crops -)

  • 양환승;문영희;최은석;장민수;이진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49
    • /
    • 1991
  • 주요(主要) 채소용(菜蔬用) 제초제(除草劑)의 잔효기간(殘效期間)과 후작물(後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코자 월동작물(越冬作物) 5종(種)(가을배추, 무, 시금치, 양파, 마늘)을 포장(圃場)에 파종(播種)하고 각 작물(作物)에 적용(適用)이 가능시된 제초제(除草劑)를 약량별(藥量別)로 처리(處理)한후 생물검정(生物檢定)에 의하여 경시적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처리(處理)된 제초제(除草劑)의 잔효기간(殘效其間)과 후작물(後作物)에 대한 약해유무(藥害有無)(carry-over injury)는 공시토양(供試土壤)의 종류(種類)나 재배작물(栽培作物)의 종류(種類)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제초제(除草劑)의 처리약량(處理藥量), 토양(土壤)의 채취심도(採取深度), 검정식물(檢定植物)의 종류(種類) 및 접종일자(接種日字)(경과일수(經過日數)) 등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였다. 그러나 잔효성제초제(殘效性除草劑)라도 후작물(後作物)의 종류(種類)(감수성작물(感受性作物) 피함),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후작물(後作物)의 접종일자(接種日字) 연장, 경운심도(耕耘深度) 등의 조절로 후작물약해(後作物藥害)는 최소화 할 수 있었다. 2. 월동작물(越冬作物)에 처리된 제초제중(除草劑中) 그 작기(作期)가 종료시 (동작(冬作) 200-240일)까지 잔효(殘效)가 거의 남지 않아 후작물(後作物)에 안전(安全)한 제초제(除草劑)는 alachlor, trifluralin, prometry 등이었다. 3. Pendimethalin, metolachlor, linuron, methabenzthiazuron 등은 추천약량(推薦藥量)까지는 작기종료(作期終了)와 동시에 안전하나 배량처리(倍量處理)가 될때에는 그 약제(藥劑)에 감수성작물(感受性作物)의 생육(生育)에는 영향(影響)이 있었다. 4. Napropamide는 동작(冬作)에 처리(處理)시 150-300ga.i/10a 약량(藥量) 처리시(處理時)에는 작기 종료후(終了後)에도 후작물(後作物) 중 화본과(禾本科)인 IR, 직파벼, 보리등에는 영향(影響)이 있었으나 담수하(湛水下) 이앙(移秧)벼에 대한 영향(影響)은 없었고, 십자화과, 호로과, 가지과작물(作物) 등에도 영향(影響)이 없었다. 5. 대표적으로 잔효(殘效)가 긴 nitralin은 동작(冬作)에서는 275일후(日後)에도 화본과(禾本科)인 IR, 벼, 보리, 담수하(湛水下) 이앙(移秧)벼에는 75ga.i./10a약량(藥量)에서도 생육억제(生育抑制)가 있었고, 그이외 참깨, 들깨, 시금치 등의 생육(生育)에도 약간의 영향(影響)이 있었으나 십자화과, 호로과, 가지과 등에 대한 영향(影響)은 적었다.

  • PDF

밭작물(作物) 및 잡초(雜草)에 대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 약효(藥效) (Phytotoxic Effect of Herbicides on Upland Crops and Weeds)

  • 양환승;전재철;임주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9-78
    • /
    • 1984
  • 주요(主要) 밭작물(作物) 및 잡초별(雜草別) 제초제(除草劑) 반응성(反應性)을 검토(檢討)하여 유효(有效)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選拔)하고, 멀칭재배조건하(栽培條件下) 제초제(除草劑) 난해원인(欒害原因)을 구명(究明)하고자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1. Napropamide, alachlor, trifluralin 및 nitrofen에 내성(耐性)을 보인 작물(作物)은 무, 배추, 콩, 땅콩 및 아욱이었다. 2. Napropamide, diphenamide 및 alachlor는 고추, 가지 및 토마토에 안전(安全)한 약제(藥劑)이었고, trifluralin, nitrofen 및 chlornitrofen은 수박, 당근과 상추 약해(藥害)없이 사용(使用)할 수 있었다. 3. 공시약제(供試藥劑) 모두에 대(對)해서 가장 내성(耐性)이 큰 잡초(雜草)는 냉이었다. 4. 여뀌는 napropamide와 alachlor로 방제(防除)할 수 없었으며, 쇠비름은 diphenamide에 명아주는 alachlor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 초종(草種)이었다. 5. 공시약제중(供試藥劑中) 요소계(尿素系)인 methabenzthiazuron, linuron 및 isoproturon은 공시작물(供試作物)에 큰 약해(藥害)를 나타내었지만, 잡초(雜草)에 대(對)한 방제효과면(防除效果面)에서는 화본과(禾本科)보다는 광엽작초(廣葉雜草)에 더 큰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아욱은 isoproturon에, 당근은 linuron에 대(對)하여 내약성(耐藥性)을 나타내었다. 6. 땅콩포장에 있어서 공시(供試)4종제초제(種除草劑) 모두 멀칭재배조건(栽培條件)이 무(無)멀칭에서 보다 심(甚)한 약해(藥害)룰 나타내었다. 공시(供試) dinitrioaniline계(系) 제초제(除草劑)들의 약해(藥害)는 멀칭후(後) 휘발(揮發)된 약제(藥劑)를 제거(除去)함으로써 감소(減少)되었다. 7. 땅콩포장의 멀칭 재배조건하(栽培條件下)에서 alachlor는 가장 적은 약해(藥害)를 보였고, dinitroaniline계(系) 제초제중(除草劑中)에서는 nitraline, pendimethalin, trifluralin 순(順)으로 약해(藥害)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

제초제(除草劑) 약해발생(藥害發生) 양상(樣相)과 경감대책(輕減對策) (Crop Injury (Growth Inhibition) Induced by Herbicides and Remedy to Reduce It)

  • 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1-270
    • /
    • 1992
  • Many herbicides that are applied at the soil before weed emergence inhibit plant growth soon after weed germination occurs. Plant growth has been known as an irreversible increase in size as a result of the processes of cell divison and cell enlargement. Herbicides can influence primary growth in which most new plant tissues emerges from meristmatic region by affecting either or both of these processes. Herbicides which have sites of action during interphase($G_1$, S, $G_2$) of cell cycle and cause a subsequent reduction in the observed frequency of mitotic figures can be classified as an inhibitor of mitotic entry. Those herbicides that affect the mitotic sequence(mitosis) by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spindle apparatus or by influencing new cell plate formation should be classified as causing disruption of the mitotic sequence. Sulfonylureas, imidazolinones, chloroacetamides and some others inhibit plant growth by inhibiting the entry of cell into mitosis. The carbamate herbicides asulam, carbetamide, chlorpropham and propham etc. reported to disrupt the mitotic sequence, especially affecting on spindle function, and the dinitroaniline herbicides trifluralin, nitralin, pendimethalin, dinitramine and oryzalin etc. reported to disrupt the mitotic sequence, particularly causing disappearence of microtubles from treated cells due to inhibition of polymerization process. An inhibition of cell enlargement can be made by membrane demage, metabolic changes within cells, or changes in processes necessary for cell yielding. Several herbicides such as diallate, triallate, alachlor, metolachlor and EPTC etc. reported to inhibit cell enlargement, while 2, 4-D has been known to disrupt cell enlargement. One potential danger inherent in the use of soil acting herbicides is that build-up of residues could occur from year to year. In practice, the sort of build-up that would be disastrous is unikely to occur for substances applied at the correct soil concentration. Crop injury caused by soil applied herbicides can be minimized by (1) following the guidance of safe use of herbicides, particularly correct dose at correct time in right crop, (2) by use of safeners which protect crops against injury without protecting any weed ; interactions between herbicides and safeners(antagonists) at target sites do occur probably from the following mechanisms (1) competition for binding site, (2) circumvention of the target site, and (3) compensation of target site, and another mechanism of safener action can be explained by enhancement of glutathione and glutathione related enzyme activity as shown in the protection of rice from pretilachlor injury by safener fenclorim, (3) development of herbicide resistant crops ; development of herbicide-resistant weed biotypes can be explained by either gene pool theory or selection theory which are two most accepted explanations, and on this basis it is likely to develop herbicide-resistant crops of commercial use. Carry-over problems do occur following repeated use of the same herbicide in an extended period of monocropping, and by errors in initial application which lead to accidental and irregular overdosing, and by climatic influence on rates of loss. These problems are usually related to the marked sensitivity of the particular crops to the specific herbicide residues, e.g. wheat/pronamide, barley/napropamid, sugarbeet/ chlorsulfuron, quinclorac/tomato. Relatively-short-residual product, succeeding culture of insensitive crop to specific herbicide, and greater reliance on postemergence herbicide treatments should be alternatives for farmer practices to prevent these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