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green extrac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1초

지역특산물 브랜드 개발 사례 연구 - 무주군 복분자 음료 생산 농가를 중심으로 - (Brand Development for Rural Specialty Products - A Case Study of Bokbunja Drink in MuJu -)

  • 전영미;안윤수;안옥선;김미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55-67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rand naming strategy for rural specialty products of Muju. This study was to apply brand development research to the field. The selected investigation subject, a local farming operation producing a specialty product, was chosen from a New Enterprise Support Project of Farm Women ('06). The selected subject was a farming operation producing bokbunja drink in Muju. The data was derived from 137 female consume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brand development strategy was advanced by six steps: Step 1, environment analysis; Step 2, brand case study; Step 3, SWOT analysis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factor analysis); Step 4, direction design for brand naming development (Targeting, Brand focus concept extraction); Step 5, brand logo and symbol production; and Step6, Evaluation. Second, to extract brand naming development direction, key concepts in association with natural connection, area features, representative resources, and natural friendship were investigated. Namely, the health function concept was selected on the basis of a consumer recognition investigation where results appeared most highly favorable. Also, it was decided that the direction of brand naming should emphasize a green image and the location name of Muju. Finally, the brand name was decided to be "Saenggichan" bokbunja liquid and the slogan went with "guchondon-native thorn bokbunja from jar maturing."

  • PDF

A New Record of Epicoccum draconis Isolated from the Soil in Korea

  • Ayim, Benjamin Yaw;Das, Kallol;Cho, Young-Je;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9-45
    • /
    • 2020
  • A fungal isolate US-18-11 was isolated from the soil in Uiseong, Korea. The mycelium growth measured after 7 days of incubation at 22℃ on malt extract agar (MEA) and oatmeal agar (OA) media was 42-43 mm and 41-44 mm in diameter, respectively. The fungal colony formed white to dull green aerial mycelia that were floccose with regular margins and olivaceous black with leaden gray patches on the reverse side. The conidia were hyaline to brown in color, ellipsoidal to ovoid, guttulate, abundant, globose, solitary, or confluent measuring 3.2-7.2×1.1-2.3 ㎛. A BLAST search of the large subunit (LSU),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second largest subunit of DNA-directed RNA polymerase II (RPB2) and β-tubulin (TUB2) gene sequences revealed that the isolate US-18-11 has similarities of 99, 100, 97, and 99% with those of Epicoccum draconis CBS 186.83, respectively. A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based on the concatenated dataset of above-mentioned sequences showed that isolate US-18-11 clustered with Epicoccum draconis CBS 186.83 in the same clade. Based on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logenetic analysis, the isolate US-18-11 was identical to the previously described E. draconis CBS 186.83.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E. draconis in Korea.

고추역병(疫病)에 대한 새로운 침투성(浸透性) 살균제(殺菌劑) Metalaxyl-MZ와 Aliette-F 의 방제효과(防除效果) (Effect of New Systemic Fungicides Metalaxyl-Mz and Aliette-F for Controlling Red Pepper Fruit Rot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 이선욱;정봉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4-188
    • /
    • 1989
  • 고추역병에효과가 있는 새로운 침투성 살균제인 Metalaxyl-Mz와 Aliette-F를 실내 및 온실시험으로 수행(遂行)하였으며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 시험에서 약제에 의한 균사신전억제는 전 공시농도에서 Metalaxyl-Mz가 Aliette-F 보다 높은 억제효과 경향을 보였다. 2. 약제에 의한 유주자낭의 형성은 500mg/l 수준에서는 Aliette-F가 Metalaxyl-Mz보다 약간 억제력이 컸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두 약제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무처리보다는 높은 억제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유자낭의 발아억제력은 Aliette-F가 전 농도에서 Metalaxyl-Mz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3. 약제처리한 고추잎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혼합한 Corn meal agar 배지상에서 균사신전 억제효과는 무처리에 비해 뚜렷하였으나, 400배와 600배의 두 농도간 균사신전 억제효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약제별 농도의 지속효과는 14일 이상 지속되는 경향이었다. 4. 온실에서 Aliette-F와 Metalaxyl-Mz의 예방효과가 치료효과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공시약제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 PDF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농산물 중 Mandipropamid의 잔류분석법 확립 (Determination of mandipropamid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mass spectrometry)

  • 권찬혁;장문익;임무혁;최훈;정다이;이수찬;유진영;이영득;이종옥;홍무기
    • 분석과학
    • /
    • 제21권6호
    • /
    • pp.518-525
    • /
    • 2008
  • 포도, 고추, 배추, 토마토 및 감자 등 5종 농산물에 대하여 mandelamide계 신규 살균제인 mandipropamid의 잔류분석법을 확립하였다. 각 농산물을 세절한 시료에 methanol을 가하고 고속마쇄하여 잔류분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식염수와 증류수로 희석하고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하여 극성분순물을 제거하였으며, Florisil 흡착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추가 정제하였다. Mandipropamid의 HPLC/UV 검출기상 최소검출량은 2 ng (S/N>10, 0.01 AUFS)이었고 시료추출물 중 불순물에 의한 간섭은 관찰되지 않았다. 무처리 포도, 토마토, 고추, 배추 및 감자에 대하여 2수준 3반복으로 회수율을 산출한 결과 각각 $99.8{\pm}1.7$ (n=6), $89.3{\pm}5.3$(n=6), $98.7{\pm}2.2$ (n=6), $99.7{\pm}6.8$ (n=6) 및 $91.1{\pm}3.1$ (n=6)이었으며, 분석법의 정량한계는 0.02~0.04 mg/kg이었다. 아울러 검출된 잔류분은 재확인을 위하여 selected-ion monitoring (SIM)을 이용한 LC/MS법을 추가로 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mandipropamid의 잔류분석법은 검출감도 및 재현성을 고려할 때 공정분석법으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손의 형태학적 정보와 윤곽선 추적 기법을 이용한 손금 추출 및 분석 (The Lines Extraction and Analysis of The Palm using Morphological Information of The Hand and Contour Tracking Method)

  • 김광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43-24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확장되어가는 여가 시간에 간단한 사진 한장만으로 보다 쉽고 편한 손금을 분석하기 위한 손금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손의 형태학적 정보와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영상으로부터 손금을 추출하기 위해서 색상 분포 영상을 Red, Green, Blue에 해당되는 RGB 값을 밝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YCbCr 컬러 모델로 변환한다. YCbCr 컬러 모델에서 Y:65~255, Cb:25~255, Cr:130~255에 해당되는 피부색 임계치를 이용하여 손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손 영역에서 내부 픽셀의 3:1 이상, 전체 영상의 2:1이상인 손의 형태학적 정보와 8 방향 윤곽선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손 영상에서 스트레칭 기법과 소벨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지를 추출한다. 추출된 에지 영상에서 블록 이진화 기법을 이용하여 이진화한 후에 가로와 세로가 각각 10픽셀 이상이고 20픽셀 이하인 손금의 형태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 및 손의 윤곽선을 제외한 손금을 추출한다. 추출된 손금에서 Labeling 기법을 이용하여 개별 손금의 중요선을 추출한다. 핸드폰 카메라에서 획득한 손바닥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손금 추출에 효율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silico annot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ibetan tea and its mechanism on antioxidant and lipid-lowering in mice

  • Ning Wang ;Linman Li ;Puyu Zhang;Muhammad Aamer Mehmood ;Chaohua Lan;Tian Gan ;Zaixin Li ;Zhi Zhang ;Kewei Xu ;Shan Mo ;Gang Xia ;Tao Wu ;Hui Zhu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4호
    • /
    • pp.682-697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ibetan tea is a kind of dark tea, due to the inherent complexity of natural product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beneficial effects of Tibetan tea are not fully understo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ravel the composition of Tibetan tea using knowledge-guided multilayer network (KGMN) techniques and explore its potential antioxidant and hypolipidemic mechanisms in mice. MATERIALS/METHODS: The C57BL/6J mice were continuously gavaged with Tibetan tea extract (T group), green tea extract (G group) and ddH2O (H group) for 15 days. The activity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OC)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ice was detected. Transcriptome sequencing technolog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antioxidant and lipid-lowering effects of Tibetan tea in mice. Furthermore, the expression levels of liver antioxidant and lipid metabolism related genes in various groups were detected by the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metho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 total of 42 flavonoids are provisionally annotated in Tibetan tea using KGMN strategies. Tibetan tea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and increased T-AOC and SOD activities in mice compared with the H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ranscriptome and qPCR, it was confirmed that Tibetan tea could play a key role in antioxidant and lipid lowering by regulating oxidative stress and lipid metabolism related pathways such as insulin resistance, P53 signaling pathway, insulin signaling pathway, fatty acid elongation and fatty acid metabolism. CONCLUSIONS: This study was the first to use computational tools to deeply explore the composition of Tibetan tea and revealed its potential antioxidant and hypolipidemic mechanisms, and it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composition and bioactivity of Tibetan tea.

Antifouling Activity towards Mussel by Small-Molecule Compounds from a Strain of Vibrio alginolyticus Bacterium Associated with Sea Anemone Haliplanella sp.

  • Wang, Xiang;Huang, Yanqiu;Sheng, Yanqing;Su, Pei;Qiu, Yan;Ke, Caihuan;Feng, Danq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460-470
    • /
    • 2017
  • Mussels are major fouling organisms causing serious technical and economic problems. In this study, antifouling activity towards mussel was found in three compounds isolated from a marine bacterium associated with the sea anemone Haliplanella sp. This bacterial strain, called PE2, was identified as Vibrio alginolyticus using morphology, biochemical tests, an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sequences of 16S rRNA and four housekeeping genes (rpoD, gyrB, rctB, and toxR). Three small-molecule compounds (indole, 3-formylindole, and cyclo (Pro-Leu)) were purified from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V. alginolyticus PE2 using column chromatography techniques. They all significantly inhibited byssal thread production of the green mussel Perna viridis, with $EC_{50}$ values of $24.45{\mu}g/ml$ for indole, $50.07{\mu}g/ml$ for 3-formylindole, and $49.24{\mu}g/ml$ for cyclo (Pro-Leu). Previous research on the antifouling activity of metabolites from marine bacteria towards mussels is scarce. Indole, 3-formylindole and cyclo (Pro-Leu) also exhibited antifouling activity against settlement of the barnacle Balanus albicostatus ($EC_{50}$ values of 8.84, 0.43, and $11.35{\mu}g/ml$, respectively) and the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sp. ($EC_{50}$ values of 42.68, 69.68, and $39.05{\mu}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hree compounds are potentially useful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mussel control and/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fouling additives that are effective against several biofoulers.

Xanthomonas campestris pv. vitians에 의한 상추 세균성점무늬병 (Bacterial Leaf Spot and Dry Rot of Lettuce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vitians)

  • 이승돈;이정희;김용기;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66-70
    • /
    • 2007
  • 1997년과 1998년 광주와 광명의 상추 재배 온실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잎에 병반이 불규칙적이고 작은 연녹색이었다가 점점 커져 지름이 2$\sim$5 mm 정도인 수침상의 검은색 병반이 형성되었다. 잎의 아래쪽에서 엽맥을 따라 검은색의 줄무늬 병반이 형성되기도 하고 심해지면 잎이 시들어 말라 죽었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하였을 때 Xanthomonas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 cfu/ml로 현탁한 후 상추의 엽맥에 주사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과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를 이용하여 분리세균 SL0246과 SL1352를 X. campestris pv. vitians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상추의 세균성점무의병으로 명명하였다.

토양 방선균 유래 Herbicidin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Herbicidin from a Strain of Soil Actinomycete Streptomyces scopuliridis)

  • 원옥재;김영태;김재덕;최정섭;고영관;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19-224
    • /
    • 2015
  • 본 연구를 통해 토양 방선균 유래 제초활성물질을 대상으로 제초제로서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잡초에 대한 발아와 경엽처리에 대한 약효시험 결과, 종자 발아는 100 ppm 수준으로 처리하고 경엽에는 2,000 ppm 수준으로 처리해야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작물에 대한 시험 결과, 오이는 발아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벼는 발아와 생육 모두 50% 내외의 저해를 보였다. 그 외의 모든 시험 작물 초종은 처리 농도에 따른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즉 토양방선균으로부터 발굴한 천연제초활성물질은 선택성 제초제로의 개발은 어려워 보이나 비선택성 제초제로의 개발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처리방법에 따른 농도별 시험 결과, 패트리디쉬에서 실험의 경우 모든 잡초종이 농도에 민감히 반응하였으며, $GR_{50}$값은 1-2 ppm 정도를 보였다. 그리고 토양처리 효과에 따른 발아억제 및 생육저해 효과는 쌍떡잎식물에서 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였고, 털비름의 경우 1,000 ppm에서도 85%의 생육저해를 보였다. 경엽처리에 따른 생육저해 조사시 2,000 ppm에서 피는 고사하지 않았으나 나머지 초종은 모두 고사하였고, 특히 털비름은 6.25 ppm의 농도에서도 고사하였다. 경엽처리에 따른 대표적인 반응으로 바랭이는 잎의 꼬임현상을 나타냈고, 어저귀는 잎이 변색되었다. 토양처리는 그 효과가 경미하고 일정기간 경과후에 재생되어 방제효과가 부족하였으며, 경엽처리의 경우 피를 제외한 잡초종등이 2,000 ppm에서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든 결과를 종합 할 때 화본과잡초 보다 광엽잡초에서 민감한 발아억제 및 생육저해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토양 방선균 유래 제초활성 후보물질은 비선택성 경엽처리제로서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유망할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화본과 잡초에 대한 저해 효과가 부족함으로 추후 다른 제제와 혼합함으로써 화본과 잡초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시기별 피해목 탐지를 위한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의 활용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ine Wilt Disease Using Time Series Hyperspectral Aerial Imagery)

  • 김소라;김은숙;남영우;최원일;김철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5-394
    • /
    • 2015
  •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와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유럽 지역의 소나무림에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는 임분 내에서 다발적으로 발현되고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현장조사 방법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피해목 탐지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6월, 9월, 10월에 1 m 공간해상도의 초분광 항공사진을 취득하였다. 9월 영상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와 Vegetation Index green(VIgreen)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피해목을 잎이 있는 고사목과 잎이 없는 고사목으로 구분하였으며, 6월, 9월, 10월 영상의 분광반사값을 비교하여 9월과 10월에 새로 발생한 피해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피해목의 시계열 분포를 토대로 공간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초분광 항공사진 촬영지역 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 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총 2,262본이 추출되었으며, 피해시기에 따라 잎 있는 고사목(작년 피해목)은 604본, 9월과 10월에 새로 발생한 피해목은 각각 300본, 101본으로 분류되었다. 구축된 자료를 이용한 공간 분포형 분석 결과, 작년 피해목과 당년 피해목 모두 집중분포 형태로 나타났으며, 최근거리 분석 결과, 당해년도 고사목의 약 80%는 전년도 고사목 주변 60 m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