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dug developmen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7초

철도와 주변지역을 연계한 도시계획과 역세권개발의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e station area development relating with station and urban planning)

  • 한광덕;선상훈;김현옥;이호재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31
    • /
    • 2010
  • Station-area development need transportation system and efficiency of public transit operation. but it had a great difficulty in developing by lack of profitability station-area because the excessive public contributions, and increase of land usage, a lot of tallege. Recently station-area development accelerated by the new law has been overridden and more efficient transport system configuration stations, possible of urban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ccessful promotion of the urban Planning by Unit-Station-area development, the optimal method of financing, changeable of zoning to the development of high density.

  • PDF

특1급 호텔 조리사의 푸드 스타일링 수행현황에 따른 메뉴개발 인식 및 활용속성 (Recognition and Utility Properties of Menu Development Derived from the Performance of Food Styling for Cooks in a Super Deluxe Hotel)

  • 천덕상;김병희;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71-778
    • /
    • 2011
  • This study surveyed the performance of food styling and recognition and utility properties of menu development for cooks in a super deluxe hotel.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400 males and females aged 20 and over. A total of 37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93.8%),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version 14.0)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chi}^2$-test. The most important item in food styling was 'harmony of food shape' (40.2%), and second ranked was 'harmony of food color' (23.4%). The most difficult item in food styling wa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38.3%) followed by 'lack of creativity' (27.7%). In recognition of menu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menu development and promotion was 3.82, and personal satisfaction after menu development was 3.29. Important items in menu development were 'taste' (41.8%) and 'use of new ingredient' (28.5%). When using newly developed menu, the ratio of selling new menu was '30~50%' at 42.7%, and the average selling period of new menu was '3~6 months' at 40.5%. For the effect of new menu on sales, 94.1% were aware of this effect, and to actively promote menu development, 'providing incentive' (35.7%), 'training in/out of country' (20.8%), 'self motivation' (17.3%), 'financial support' (14.7%), and 'motive' (11.5%) were all necessary requirements. In order to improve cooking performance, continued education on food styling and menu development along with the company's full support are required. Further, thorough training of employees is needed along with a high quality incentive policy needs to be done. In addition, to make the new menu profitable, an active marketing strategy must be employed, which will require further study.

1상 임상실험에서 수정된 CRM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n the modified continual reassessment method in phase I clinical trial)

  • 강승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15권2호
    • /
    • pp.323-336
    • /
    • 2002
  • 최근에 1상 임상실험 에서 사용되는 continual reassessment method (CRM)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 명의 환자를 하나의 환자 군으로 삼아 동일한 용량을 투여하는 수정된 CRM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였다. 지금까지 CRM에 대한연구는 대부분 시뮬레이션에 의존하여 왔지만, 본 논문에서는 모든 가능한 경우를 고려하는 방법(complete enumeration)을 사용하였다. 이 새로운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대체할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이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용량독성곡선이 logistic함수, hyperbolic tangent 함수, power 함수일 때, 수정된 CRM에서 결정한 최대허용용량에서의 독성 확률이 목표 독성 확률로 잘 수렴함을 보였다. 하지만, 실험 전에 용량들을 적절히 선택하지 못하면, 최대허용용량에서의 독성 확률이 목표 독성 확률과 상당한 차이를 낼 수도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목시실린, 클라불란 산 및 시판 아목시실린-클라불란 산 복합제제의 안전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tability of Amoxicillin, Clavulanic Acid and its Commercial Combination Products)

  • 한상덕;김종국
    • 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92-398
    • /
    • 2005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tability of amoxicillin (AMX) and clavulanic acid (CLA) in aqueous solution, and compared the stability of AMX and CLA in commercial combination products. In aqueous solutions, the degradation of AMX ($t_{90}=8.88\;day\;at\;10^{circ}C$) and CLA ($t_{90}=3.53\;day\;at\;10^{circ}C$) occurred rapidly. From the pH-rate profile, AMX and CLA were the most stable at the range of pH 5.5 and 6.0. After reconstitution of commercial dry syrups, the contents of AMX and CLA in suspensions were gradually decreased for 7 days. However, AMX and CLA in dispersible tablet were not changed at all. The contents of CLA in the dispersible tablet ($87.92\%$) and dry syrups (2.16 and $3.91\%$) were remained in the accel­erated stability test ($75\%\;RH,\;at\;40^{circ}C$) after 10 hours. And the colors of the dry syrups were rapidly changed from white to yellow.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dispersible tablet could overcome the stability problems of dry syrups.

Prospects of omics-driven synthetic biology for sustainable agriculture

  • Soyoung Park;Sung-Dug Oh;Vimalraj Mani;Jin A Kim;Kihun Ha;Soo-Kwon Park;Kijong L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749-760
    • /
    • 2022
  • Omics-driven synthetic biology is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field that creates new artificial life by employing genetic components, biological devices, and engineering technique based on genetic knowledge and technological expertise. It is also utilized to make valuable biomaterials with limited production via current organisms faster, more efficient, and in huge quantities. As the bioeconomic age begins, and the global synthetic biology market becomes more competitive,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nd associated sectors has grown considerably. By overcoming the constraints of present biotechnologies through the merging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huge ripple effects are envisaged in the pharmaceutical, chemical, and energy industries. In agriculture, synthetic biology is being used to solve current agricultural problems and develop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s by increasing crop productivity, implementing low-carbon agriculture, and developing plant-based, high-value-added bio-materials such as vaccines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livestock diseases. As international regulatory debates on synthetic biology are now underway, discussions should also take place in our country for the growth of bioindustries and the dissemination of research findings. Furthermore, the system must be improved to facilitate practical application and to enhance the risk evalu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system.

3D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렌즈모듈 자동화조립시스템 개발 (Developing Automatic Lens Module Assembly System Using 3D Simulation)

  • 문덕희;이준석;백승근;장병림;김영규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5-74
    • /
    • 2007
  • 가상생산기술은 신제품의 개발, 새로운 장비 개발 및 새로운 제조시스템 개발에 유용한 도구이며, 특히 3D 시뮬레이션 기술은 가상생산의 핵심기술이다. 3D 시뮬레이션 기술은 기계적 시뮬레이션 기술과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 카메라에 장착되는 렌즈모듈 조립을 생산하는 국내 회사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 회사에서는 렌즈모듈 조립공정을 현재 수작업으로 하고 있는데 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3D 시뮬레이션 기술을 도입하기로 하였다. 3D 시뮬레이션 기술은 시스템 개념설계단계에서부터 적용이 되었는데, 단위 장비 개발을 위해서는 $CATIA^{(R)}$$IGRIP^{(R)}$이 활용되었으며,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도구인 $QUEST^{(R)}$가 활용되었다. 논문의 목적은 새로운 자동화 설비의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개발결과 takt time 이 기존의 수작업에 비해 4분의 1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이에 따른 작업자 인원도 대폭 감소되었다.

  • PDF

탄화수소계 올리고머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고무계면 접착제 개발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Rubber Interphase Adhesive by use of Oligomer of Hydrocarbon)

  • 장병만;장정석;박성수;최덕제;김수경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142-150
    • /
    • 2001
  • 그 동안 고무산업 현장에서는 유기용제계 고무 접착제를 사용하여 왔으며 이로인해 품질의 불균일성과 화재위험성 및 인체유해성이 상존하여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휘발성, 고인화점인 탄화수소계 원료를 사용하여 새로운 용액을 개발하였으며 이 용액은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매우 적으며 증발이 되지 않으므로 화재위험 및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새로운 용액은 기존 제품에 사용되어 온 고무계 binder대신 고무면으로 비휘발성 용제가 침투, 팽윤 현상을 일으켜 고무면 끼리 접착을 유도하는 새로운 개념의 제품이며 접착력 유지 시간이 기존 제품에 비해 현저히 개선되었다. 또한 내구력 면에서도 기존품과 비교할 때 유사한 양상을 보이므로 팽윤 현상으로 인한 물성저하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종 첨가제와도 반응성이 없는 안정한 제품이었다. 기존품의 경우 가교 후 절단면에서 가스로 인한 균열이 발생한 반면 새로운 제품의 경우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 PDF

알콕시 실란계 석재 강화제의 화강암 점착 특성 연구 (Study of Adhesion Phenomena of Alkoxysilane-type Consolidants on Fresh Granites)

  • 김은경;손승환;원종옥;김정진;김사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23권
    • /
    • pp.1-10
    • /
    • 2008
  • 풍화된 석재 조직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점도가 낮은 tetraethoxysilane (TEOS)과 같은 알콕시실란(alkoxysilane)계 강화제는 석재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솔-젤 반응을 통해 석재를 구성하고 있는 실리카와 같은 특성을 가진 망목상 구조인 젤을 형성하여 석재를 강화해 준다. 그러나 석재 내부에서 형성된 젤이 TEOS와 같이 딱딱하고 부서지기 쉬운 젤인 경우 건조 중에 균열이 일어나면서, 약한 석재 조직에서 2차 박리를 유도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용매가 남아있는 젤을 건조시킬 때 발생하는 모세관 힘에 의해 생기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리카 나노 입자나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s (POSS)를 첨가해 망목상 구조에 의해 형성된 세공의 크기를 크게 하여 모세관 힘을 작게 하거나, 유연한 세그먼트를 갖고 있는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GPTMS)를 도입하여, 젤 구조에 유연성을 도입하여 균열을 감소시킨 강화제가 개발되었다. 석재 강화제는 실제 석재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표면에 잘 분산하여 솔-젤 반응 통해 입자들을 서로 연결해 주어야 하는 강화제들은 석재 성분들과 상호작용이 있어야 높은 강화효과를 기대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과 강화제와의 상호작용을 거시적 ISO 2409 cross cutting test 방법을 이용한 점착력으로부터 유추하였다. 상업화된 TEOS계 석재 강화제와, 젤이 건조되는 동안 일어난 균열을 막기 위해 개발된 나노입자와 유기계 세그먼트가 첨가된 강화제를 화강암에 처리한 후 점착력을 비교 연구하였다.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카나 POSS와 같은 나노입자가 첨가되면 석재와의 점착력이 감소하고, 유기계 세그먼트를 갖는 GPTMS를 첨가할수록 석재와의 점착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PDF

알콕시 실란계 석조문화재 강화제의 가수 분해도에 따른 특성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lkoxysilane-based Stone Consolidants with Different Hydrolysis)

  • 박성진;원종옥;도진영;김정진;김사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1-209
    • /
    • 2011
  • 야외에 놓여 있는 석조 문화재는 시간관 환경에 의한 풍화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문화재 석재 자체의 특성을 강화시켜 풍화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강화제가 필요하다. 풍화된 석조문화재 보존은 tetraethoxysilane (TEOS)와 같은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솔-젤 반응을 이용하여 강화시키고 있다. 솔-젤 반응 후 얻어진 젤의 치밀한 망상구조와 건조 시 모세관 힘의 발생으로 균열이 형성되어 2차 훼손 가능성이 높은 상업용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대체할 유연한 알킬사슬을 가진 TEOS/(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GPTMS)계 강화제에 알킬 기능기를 가진 ethyltriethoxysilane (ETEOS)를 첨가하여 강화제의 표면 소수특성을 향상시킨 강화제를 개발하였다. ETEOS의 양과 가수분해와 축합반응으로 이루어지는 솔-젤 반응 속도를 가수분해의 양을 조절하여 제어하였다. 솔-젤 반응 특성을 무게 변화, FT-IR 등으로 확인하였고, 외부에 노출되어 풍화된 경주 남산근처의 화강암에 처리하여 물 함침량, 표면접촉각, 강화 효과 등을 측정하여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도권 하수방제 방식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ying on the Sewage System in Seoul)

  • 남궁악
    • 물과 미래
    • /
    • 제15권2호
    • /
    • pp.11-22
    • /
    • 1982
  • 본 연구고찰은 서울시와 일부 주변지역의 하수 배제방식을 채택함에 있어서 지리적 조건과 시행지의 형성실태 그리고 하수처리 문제와 관련하여 합리적인 하수배제방식을 구명하는데 있다. (1) 절충식하수배제방식 하수관거의 보급에 있어서는 장래하수처리문제와 관련 분류식이 바람직하나 기성시가지의 경우 분류식 관거의 전환에 따른 투자규모가 크고 교통소통에 주는 영향 등을 감안 합류식으로 유지하되 시가지 재개발 또는 지하철 건설등 근본적으로 지상구조물을 개조할 때에 한하여 분류식 관거를 보급토록하고, 신개발 지역에 대해서는 지금부터 분류식관거를 보급토록 하여 목표년도에 가서는 완전분류식이 되도록 제안하였다. (2) 하수배제는 주로 자연류하로 유도 배수구역의 편성에 있어서는 배수간선의 역할을 하는 38개 하천과 지세를 감안 자연류하가 극대화되도록 배수구역을 구분하였고 그것이 불가능한 구의, 자양, 한남, 반포, 암사등 지역에 대해서는 기설 유수지 배수펌프장 시설을 활용하여 배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3) 하천의 양안 또는 한쪽 하안에 찻집관거를 설치하여 하수를 집수하고 처리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각하천에서 용출하는 지하수량, 계곡수량, 강우시 일류수량등을 분리 배수케하여 한강수질개선에 기여케 하는 최적방버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