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blastoma cell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초

Protective Effects of Dodam Water Extract (Dodam) Against Rotenone-Induced Neurotoxicity in Neuro-2A Cells

  • Youn, Myung-Ja;Park, Seong-Yeol;Park, Cha-Nny;Kim, Jin-Kyung;Kim, Yun-Ha;Kim, Eun-Sook;Moon, Byung-Soon;So, Hong-Seob;Park, Raek-Il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38-445
    • /
    • 2008
  • Dodam formula (Dodam) has been used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in Oriental medicine. Dodam is capable of protecting diverse kinds of cells from damage caused by a variety of toxic stimuli.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underlying protective mechanism of Dodam on rotenone-induced cytotoxicity in rat neuroblastoma Neuro-2A cells. Treatment with Neuro-2A cells with rotenone caused the loss of cell viability, and condensation and fragmentation of nuclei,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elevation of ROS level, and lipid peroxidation, the increase in Bax/Bcl-2 ratio. Rotenone 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characterized by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loss and cytochrome-c release. These phenotypes induced by rotenone were reversed by pretreatment with Dodam. Our results suggested that major features of rotenone-induced neurotoxicity are partially mediated by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and that Dodam markedly protects Neuro-2A cells from oxidative injury. These data indicated that Dodam might provide a useful therapeutic strategy in treatment of the neurodegenerative diseases caused by oxidative injuries.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Doenjang Prepared with Rhizopus, Pichia, and Bacillus

  • Kang, Su Jin;Seo, Ji Yeon;Cho, Kye Man;Lee, Chang Kwon;Kim, Jeong Hwan;Kim, Jong-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21-226
    • /
    • 2016
  • A new type of doenjang was manufactured by mixing soaked soybean, koji (Rhizopus oryzae), cheonggukja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1-4 and B. amyloliquefaciens EMD17), and Pichia farinosa SY80 as a yeast, salt, and water, followed by fermentation with koji that was made by fermenting whole wheat with R. oryzae. The mixed culture doenjang was designed to have a more palatable flavor and strong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the conventional product. The extract of mixed culture doenjang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e commercial doenjang as evaluated by th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although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mmercial product in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urther, the mixed culture doenjang re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and protected cells from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more efficiently in human hippocampal HT22 neuroblastoma cells than the commercial doenjang. In conclusion, a newly-developed mixed culture doenjang had a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vitro and cultured cell model systems, exhibited a potential to prevent oxidative stress-associated disorders although animal and clinical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its in vivo efficacy.

베타아밀로이드 유도성 SH-SY5Y 세포독성에서 단천환(丹川丸)의 보호효과 (Danchunhwan Protects the Cytotoxicity of Beta-amyloid in SH-SY5Y Neuroblastoma Cells)

  • 유봉선;김진경;남상규;박찬희;소홍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516-1523
    • /
    • 2006
  • The water extract of Danchunhwan(DCH)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treatment of dementia damage in oriental medicin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 by which the water extract of DCH rescues cells from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lzheimer's disea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mechanisms of DCH on ${\beta}$-amyloid or $H_2O_2$-induced cytotoxicity in SH-SY5Y neuronblastoma cells. ${\beta}$-amyloid and $H_2O_2$ markedly decreased the viability of SH-SY5Y cells, which was characterized with apparent apoptotic features such as membrane blebbing as well as fragmentation of genomic DNA and nuclei. However, the water extract of DCH significantly reduced both ${\beta}$-amyloid or $H_2O_2$-induced cell death and apoptotic characteristics through reduction of intracellular peroxide generation. Also, the water extract of DCH prevented prevented the mitochondrial dysfunction including the disruption of mitochondria membrane permeability transition (MPT) and the perturbation in Bcl-2 family protein expressions in $H_2O_2$-treated SH-SY5Y cells.

Protective effects of N,4,5-trimethylthiazol-2-amine hydrochloride on hypoxia-induced β-amyloid production in SH-SY5Y cells

  • Han, A Reum;Yang, Ji Woong;Na, Jung-Min;Choi, Soo Young;Cho, Sung-Woo
    • BMB Reports
    • /
    • 제52권7호
    • /
    • pp.439-444
    • /
    • 2019
  • Although hypoxic/ischemic injury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incidence of Alzheimer's disease (AD), the molecular mechanism that deter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xia-induced ${\beta}$-amyloid ($A{\beta}$)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AD is not yet known. We have now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N,4,5-trimethylthiazol-2-amine hydrochloride (KHG26702), a novel thiazole derivative, on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reoxygenation (OGD-R)-induced $A{\beta}$ production in SH-SY5Y human neuroblastoma cells. Pretreatment of these cells with KHG26702 significantly attenuated OGD-R-induc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elevation of levels of malondialdehyde, prostaglandin $E_2$, interleukin 6 and glutathione, as well as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KHG26702 also reduced OGD-R-induced expression of the apoptotic protein caspase-3, the apoptosis regulator Bcl-2, and the autophagy protein becn-1. Finally, KHG26702 reduced OGD-R-induced $A{\beta}$ production and cleavage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by inhibiting secretase activity and suppressing the autophagic pathway. Although supporting data from in vivo studies are required, our results indicate that KHG26702 may prevent neuronal cell damage from OGD-R-induced toxicity.

소아 고관절 질환 (Pediatric Hip Disorders)

  • 이승현;최영훈;천정은;이슬비;조연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531-548
    • /
    • 2024
  •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은 영아기 비구 형성이상으로 인해 고관절 불안정성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정확한 초음파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발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아동기 대퇴골두의 일시적인 혈류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무혈성, 분절화, 재골화, 잔여기 단계를 거치게 된다. 대퇴골두 골단분리증은 청소년기에 체중 부하와 같은 스트레스로 인해 대퇴골두가 골단선을 따라 내측으로 전위되는 질환이다.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과 화농성 관절염은 감별을 위해 관절액 흡인술이 필요할 수 있다. 골수염은 연부 조직 부종과 골 용해를 동반할 수 있다. 하지만, 다발성 병변의 경우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전이성 신경모세포종 등을 감별해야 한다. 본 종설에서는 이런 질환에 대한 영상 검사 방법 및 대표적인 소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Corticosterone에 의해 유도된 인간의 신경모세포종 SH-SY5Y 세포 증식 억제를 완화시키는 맥문동 열수 추출물의 효과에 관한 연구 (Attenuation of the Corticosterone-induced Antiproliferative Effect o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Using Hot-water Extract from Liriope muscari)

  • 이종규;김상보;서용배;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7-523
    • /
    • 2018
  • 만성적 스트레스가 있는 상황에서, 과잉 생산된 cortisol은 glucocorticoid receptor (GR)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해마(hippocampus)에 있는 신경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다. Cortisol을 생성하지 못하는 동물들의 경우, corticosterone이 스트레스 호르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인간의 경우, corticosterone은 aldosterone의 전구물질 이거나 cortisol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는 하나의 glucocorticoid로만 여겨져 왔다. 최근 인간을 대상으로 cortisol과 dexamethasone과 같은 합성 glucocorticoid의 기능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corticosterone의 정확한 기능에 대하여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corticosterone을 여러 농도로 SH-SY5Y 세포에 처리한 후 24시간과 48시간 때 viability를 조사한 결과, 높은 농도($500{\mu}M$$1,000{\mu}M$)에서 SH-SY5Y 세포의 성장 억제가 관찰된 반면, 낮은 농도($100{\mu}M$)에선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맥문동, 오미자, 복신 열수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실시한 결과, 세 시료 모두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은 세포 독성을 보였다. 한편, $500{\mu}g/ml$의 맥문동은 corticosterone에 의해 유도된 세포 성장 억제를 완화시켜 세포 성장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맥문동 $500{\mu}g/ml$에 오미자와 복신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여러 혼합물의 시너지 효과를 알아본 결과, 대부분 혼합물이 약간의 효과를 보이긴 했으나, 음성 대조군 수준만큼 회복되지는 않았다.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및 신경세포(神經細胞) 보호효과(保護效果)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Gamisoyo-san)

  • 이성한;이진무;조정훈;이창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3
    • /
    • 2010
  • Purpose: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Gamisoyo-san(GMSY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GMSYS by assessing the DPPH free radical and the ABTS radical cation inhibition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s(TPC). To evaluate the effects of GMSYS in the human neuroblastoma cells, we measured the cell viabilities in SH-SY5Y cells treated with GMSYS. Then we observed the protective effects of GMSYS against 6-OHDA induced neurotoxicity in SH-SY5Y cells. To confirm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MSYS in the primary culture of mesencephalic dopaminergic cells, we counted the TH-immunopositive cells and measured the NO and TNF-$\alpha$ after the treatment of GMSYS and 6-OHDA. Results: The DPPH free radical and the ABTS radical cation inhibition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the IC50 were $133.60{\mu}g/m{\ell}$ and $106.20{\mu}g/m{\ell}$, respectively. The TPC was 0.78%.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GMSYS and the control in the cell viability of SH-SY5Y cells.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MSYS were shown in the co-treatment group at the low concentrations of $25{\mu}g/m{\ell}$ and the post-treatment group at all concentrations. After the treatment of GMSYS and 6-OHDA in the primary culture of dopaminergic cells, the TH-immunopositive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0.2{\mu}g/m{\ell}$ of GMSYS than the 6-OHDA group. The NO and TNF-$\alph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0.2{\mu}g/m{\ell}$ of GMSYS than the 6-OHDA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GMSYS has the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especially in the mesencephalic dopaminergic cells. We suggest that GMSYS c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depression related with the degeneration of dopamine neuron.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against Oxidative Neuronal Cell Death of Kimchi Containing a Mixture of Wild Vegetables with Nitrite Scavenging Activity)

  • 강경훈;박시영;권기한;임희경;김성현;김정균;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58-14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NaNO_2$ 모델계와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한 9종류 산채들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MWV)의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pH 4.2에서보다 pH 1.2에서 높았고, 다래순 추출물과 참취 추출물(AS)은 pH 1.2에서 90% 이상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나타내었다. AS, 더덕, 잔대, 도라지 및 민들레 추출물들(CL, AT, PG, TO)은 pH 4.2에서 다른 추출물보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 높았다. CL, AT, PG 및 TO는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해 높은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더하여 항산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뇌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MWV의 영향을 사람의 뇌 신경모세포종 SK-N-SH 세포 내에서 연구하였다. MWV 추출물은 SK-N-SH 세포에서 $H_2O_2$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과 ROS 생성을 약화시켰다. MWV 추출물은 일반김치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작용을 보여주었다. MWV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H_2O_2$)에 대항하여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고초균에 의한 생강 발효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ginger extracts by Bacillus subtilis in SH-SY5Y cells)

  • 양희선;김미진;김민아;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18-63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을 효소처리하여 수용화율을 높인 후 고초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생강발효물 (FGEs)을 제조하고, 이를 SH-SY5Y에 6-OHDA와 함께 처리하여 세포 보호 효과 및 ACh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6-OHDA로 자극된 신경세포에서 FGE를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고 LDH 농도가 감소하였다. 6-OHDA로 유발된 세포자멸사를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핵의 형태학적인 변화 및 caspase-3 활성을 확인하였다. FGE를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핵의 손상 및 apoptotic body의 감소와 caspase-3 억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GE는 AChE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시료 간의 활성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생강에 효소 처리 후 고초균으로 발효한 추출물군 (E/BKG와 E/BCG)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이 효소 처리하지 않은 발효생강군 (BKG와 BCG) 보다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에 사용된 고초균 2종 간의 활성은 유사하였으며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효소처리하여 수용화율을 높여 고초균으로 발효한 FGE는 신경세포 보호 및 ACh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향후 신경질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고부가가치 식품소재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의 새로운 부탄올 추출물인 LP-M이 Akt/ERK NGF receptor signaling pathway를 통해 뇌조직에서 신경세포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LP-M, a Novel Butanol-Extracts Isolated from Liriope platyphylla, could Induce the Neuronal Cell Survival and Neuritic Outgrowth in Hippocampus of Mice through Akt/ERK Activation on NGF Signal Pathway)

  • 남소희;최선일;구준서;김지은;이연경;황인식;이혜련;이영주;이홍구;최영환;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34-1243
    • /
    • 2011
  •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동양의학에서 오래 동안 항염증제, 당뇨 혹은 비만 치료제, 그리고 신경세포활성화 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맥문동으로부터 NGF의 발현을 촉진하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고 이들의 작용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맥문동으로부터 13가지의 새로운 추출물을 확보하고 이들의 기능을 세포주와 마우스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세포독성이 낮고 NGF의 분비량이 많은 LP-E, LP-M, LP-M50, LP2E17PJ 등 4가지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들 중에서 LP2E17PJ를 제외한 3가지 추출물에 의해 분비된 NGF는 PC12세포의 neuritic outgrowth를 촉진하였다. 더불어 추출방법과 추출량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LP-M을 C57BL/6 마우스에 2주간 투여하여 뇌조직에서 NGF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LP-M은 오직 피질에서만 두 종류의 receptor 중에서 low affinity receptor를 통한 억제신호를 전달하였으며, 해마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그러나 high affinity receptor를 통한 신호전달은 해마에서만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였고 피질에서는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맥문동 추출물인 LP-M은 마우스 대뇌의 해마에서 high affinity receptor를 통한 신호전달을 통해 neuritic outgrowth를 촉진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