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mycin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國內) 초지토양(草地土壤)에 분포(分布)한 Rhizobium meliloti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과 항균제반응(抗菌劑反應) 특성(特性) (Symbiotic effectiveness and intrinsic antibiotic resistance of Rhizobium meliloti populated in Korean pasture soils)

  • 강위금;하호성;정연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79-185
    • /
    • 1992
  •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의 5개(個) 산지(山地) 목초지(牧草地)에 분포한 알팔파근류균(根瘤菌) R. meliloti의 밀도(密度)와 실소고정력(室素固定力), 그리고 항생제(抗生劑) 반응(反應) 특성(特性)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結果), 초지토양(草地土壤)에 분포한 R. meliloti 밀도(密度)는 $1.7{\times}10^2\;cells/g$.토양(土壤)(여주시(麗州市) 충효동(忠孝洞)) 내지 $1.0{\times}10^5\;cells/g$.토양(土壤)(경주군(慶州郡) 감포면(甘浦面)) 수준(水準) 이었으며, 토양 pH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그리고, 초지토양(草地土壤)의 알팔파 접종효과(接種效果)로 본 토착(土着) R. meliloti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전반적으로 표준균주(標準菌株)인 TAL 접종제(接種劑) 보다 저조(低調)하였으나, 달성군(達城郡) 옥포면(玉浦面) 초지(草地)에서 분리(分離)된 YCKa 539, YCKa 542 2균주(菌株)는 비슷하거나 우수(優秀)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을 보였다. 초지토양별로 보면 경주군(慶州郡) 견곡면(見谷面)의 것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달성군(達城郡) 옥포(玉浦)>경주시(慶州市) 충효(忠孝)>달성군(達城郡) 화국(花國)>경주군(慶州郡) 감포(甘浦) 균주(菌株) 순(順)이었다. 분리균주(分離菌株)들은 항생제(抗生劑) Ery($100\;{\mu}g/ml$), Nal($160\;{\mu}g/ml$), Str($10\;{\mu}g/ml$)에 대해 각각(各各) 67%, 77%, 80%정도의 내성경향(耐性傾向)을 보이면서 전체적으로는 14개(個)의 항생제(抗生劑) 내성류형(耐性類型)으로 분류(分類)되었는데, 이들 류형(類型)과 균주(菌株)의 질소고정력간(窒素固定力間)에는 뚜렷한 관계경상(關係傾商)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분리균주(分離菌株) 중(中)에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이 가장 우수(優秀)하였던 YCKa 542균주(菌株)는 Ery Nal, Neo, Str 내성인 X번형(番型)에 속하였다.

  • PDF

계육에서 분리한 Listeria species 와 Staphylococcus aureus의 항생제 내성패턴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Listeria species and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oultry carcasses in Korea)

  • 허진;김준만;권남훈;박건택;임지연;정우경;홍순근;박용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7-22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Listeri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A total of 17 (14.8%) L. monocytogenes, 13 (11.3%) L. innocua, 7 (7%) L. welshimeri, and 83 (72.2%) S. aureus were isolated from commercial poultry carcasse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1 and 2003.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of all Listeria strains isolated was performed by the disk agar diffusion method. Antibiotic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Amikacin (An), Ampicillin (Am), Cephalothin (Cf), Chloramphenicol (C), Ciprofloxacin (Cip), Erythromycin (E), Gentamicin (Gm), Imipenem (Ipm), Kanamycin (K), Minocycline (Mi), Neomycin (N), Norfloxacin (Nor), Ofloxacin (Ofx), Penicillin (P), Streptomycin (S), Tetracycline (Te), Tobramycin (Nn), Trimethoprim (Tmp), Trimethoprim/Sulfamethoxazloe (Sxt), and Vancomycin (Va).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S. aureus isolates was performed by the disk agar diffusion method. For the latter program, antibiotics used to the study were as follows; Cf, C, Cip, Clindamycin (Cc), E, Gm, Ipm, Nafcillin (Nf), Oxacillin (Ox), P, Te, Sxt, and Va. Of the 17 L. monocytogenes isolates, 94.1% were resistant to Te, 88.2% to Mi, 11.8% to Nor, 11.8% to S, 5.9% to Cip, and 5.9% to C. Of 13 L. innocua, 53.8% were resistant to Te, 23.1% to Mi, 23.1% to S, 7.7% to Cip, and 7.7% to Nor. Of 7 L. welshimeri, 57.1% were resistant to Te, and 14.3% to Am. Of 83 S. aureus, 100% were resistant to Te, 86.7% to Gm, 34.9% to P, 15.7% to Cip, 12% to Cc, 9.6% to E.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L. monocytogenes isolates were observed in Te Mi Cip (5.9%), Te Mi Nor (5.9%), Te Mi (76.5%), and Te Nor (5.9%).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was also found in L. innocua isolates. Resistant to Te Mi S Cip Nor was 7.7%, Te Mi S (7.7%), Te Mi (7.7%), and was 7.7% to Te S.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for S. aureus isolats were demonstrated to Te Gm P Cip Cc E (6.0%), Te Gm Cip Cc E (3.6%), Te Gm P Cc (1.2%), Te Gm P (15.6%), Te Gm Cip (2.4%), Te P Cip (2.4%), Te Gm Cc (1.2%), Te Gm (56.6%), Te P (9.6%), and to Te Cip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high incidence of Lsteria spp. and S. aureus on poultry carcasses. The contaminated poultry carcasses may be a potential vehicle for foodborne infections due to multiple antimicrobial resistant organisms.

식이유황 MSM(Methyl Sulfonyl Methane) 급여가 돼지의 성장 및 질소와 칼슘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SM (Methyl Sulfonyl Methan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of Ca and N in Pigs)

  • 조진호;민병준;권오석;손경승;진영걸;김해진;김인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61-365
    • /
    • 2005
  • 본 연구는 식용유황으로 사용되고 있는 MSM(methyl sulfonyl methane)을 돼지 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성장 능력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 험 1에서 는 3원 교잡종(Landrace × Yorkshire × Duroc) 육성돈 6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48.15±0.15㎏이었고 35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식이로서 처리한 대조구(Cotrol: 대조구), 대조구 식이 내 MSM 0.01%(T1: 대조구+0.01% MSM), 0.02%(T2: 대조구+0.02% MSM)로 3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5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과 일당식이섭취량은 T1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식이효율과 영양소 소화율 역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시험 2에서는 3원 교잡종 육성돈 10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체중은 38.85±0.15㎏이었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식이 대조구(CON), 대조구 식이에 황산네오마이신 0.05%, OTC(oxytetracycline) 0.05% 첨가구(T1), 대조구 식이에 MSM 0.01% 첨가구(T2) 및 대조구 식이에 황산네오마이신 0.05%, OTC 0.05%와 MSM 0.01% 첨가구(T3)로 4개 처리로 하였다. 일당증체량은 MSM 0.01% 첨가한 T2구와 항생제와 MSM 0.01% 첨가한 T3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일당식이섭취 량에서 는 T2 처리구와 T3 처리구에서 증가함을 보였다(p<0.05). 식이효율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실험 1과 2에서 알 수 있듯이 돼지에 있어 사료내 MSM의 첨가는 성장율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항생제와의 혼합 첨가는 성장율과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C-MS/MS를 이용한 육류 중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9종의 동시분석 및 적용성 검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minoglycoside Antibiotics in Meat using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 조윤제;최선주;김명애;김미경;윤수진;장문익;이상목;김희정;정지윤;이규식;이상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3-130
    • /
    • 2014
  • LC-MS/MS를 이용하여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동물용의 약품 9종에 대하여 동시분석법을 확립하고 잔류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재 식품공전에 수록된 시험법을 기본으로 분석법을 개선하였으며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기준에 따라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정량한계 등을 검증하였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혼합표준용액을 잔류허용기준의 0.125배, 0.25, 0.5, 1, 2, 4배 농도에 따라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0.98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소고기의 회수율은 60.5~114%, 돼지고기의 회수율은 60.1~112%, 닭고기 회수율은 63.8~131%을 나타내었다. 또한 LOD는 0.001~0.009 mg/kg, LOQ는 0.006~0.03 mg/kg이었다. 국내유통 중인 축산물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193건을 수거하여 개선된 분석법의 적용성 검증과 축산물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잔류조사를 수행한 결과 시험법의 적용성이 충분히 검증되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의 항생제가 검출되지 않아 유통 축산물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립된 분석법은 식육에 잔류할 수 있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 동물용의약품 안전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대구(大邱).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문제되는 젖소의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Chronic Mastitis of Dairy Cattle in Taegu-Kyungpook Provinces)

  • 김봉환;박후열;장인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115-121
    • /
    • 1984
  • 1984년(年) 10월(月)부터 1985년(年) 8월말(月末)사이에 대학부속가축병원(大學附屬家畜病院)에 검진의뢰(檢診依賴)된 대구(大邱)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한 83례(例)의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의 원인균(原因菌)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고 이 분리균(分離菌)의 각종(各種) 항생제(抗生劑)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disc diffusion technique로 조사(調査)하였다. 대구(大邱)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문제되는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은 포도구균성 유방염(乳房炎)이 전체의 48.2%(83례중(例中) 40례(例))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대장균군(大腸菌群) 유방염(乳房炎)으로 18.1%(83례중(例中) 15례(例))를 차지하였다. 효모양진균에 의한 유방염(乳房炎)도 10.8%(83례중(例中) 9례(例))나 되었다. Corynebacterium spp.에 의한 유방염(乳房炎)은 8.4%였으나 연쇄구균성 유방염(乳房炎)은 3.6%에 지나지 않았다. Bacillus spp.와 pseudomonad에 의한 것은 각각 3.6%와 8.4%이었으며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의 원인균(原因菌)을 밝힐 수 있었던 것은 4.8%(83 례중(例中) 4례(例))이였다.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에 관여한 포도구균과 대장균(大腸菌)은 공시(供試)한 항상제(抗生劑)에 대하여 내성(耐性)을 나타내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포도구균은 penicillin, methicillin, linocomycin, novobiocin, ampicillin, tetracycline에는 각각 87.2%, 78.7%, 68.1%, 61.7%, 57.4%가 내성(耐性)인 반면에 gentamicin, cephaloth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등에는 각각 78.7%, 76.6%, 74.5%, 63.7%가 감수성(感受性)이었다. 대장균(大腸菌)은 streptomycin과 cephalothin에는 72.2%, tetracycline에 66.7%, ampicillin에 61.1%가 내성(耐性)인 반면에 colistin, gentamicin, chloramphenicol, neomycin에는 각각 83.3%, 77.8%, 66.7%, 55.6%가 감수성(感受性)이었다. Corynebacterium spp.는 ampicill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icin, oleandomycin, tetracycline에는 감수성(感受性)이었으나 novobiocin과 penicillin 등에는 내성(耐性)이었다. 한편 pseudomonas aeruginosa는 공시(供試)한 모든 항생제(抗生劑)에 내성(耐性)이었다.

  • PDF

외래유전자를 주입한 소 수정란에서 형질전환가능 수정란의 선발 (Preselection of Bovine Blastocysts Expressing Exogeneous Gene Following Microinjection)

  • 공일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7-176
    • /
    • 1997
  • 본 연구는 수정란을 수란우에 이식하기 이전에 형질전환가능 수정란을 선발할 수 있다면 형질전환동물의 생산에 크게 도움이 되므로 3.2 kb $\beta$-actin promoter (lacZ/n대) DNA를 미세주입하여 배반포기배에서의 발현을 확인하여 이들을 선발할 수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엿다. 채란된 난포란은 10%FBS, 5$\mu\textrm{g}$/ml LH, 0.5$\mu\textrm{g}$/ml FSH, 100 unit/ml penicillin 및 100 $\mu\textrm{g}$/ml streptomycin이 함유된 TCM199에 22~24 시간동안 체외성숙을 유도후 5$\mu\textrm{g}$/ml heparin으로 수정능획득을 유도한 1$\times$106 sperm/ml의 정자로 체외수정을 시켰다. 체외수정후 18~20시간째에 vortexing에 의해 과립막세포를 제거하고 원심분리시켜 자/웅전핵이 확인되는 수정란의 핵에 3~4 ng/${\mu}\ell$ lacZ/neo DNA를 미세주입하였다. 모든 수정란의 배양은 3 mg/ml BSA, 20${\mu}\ell$/ml NEM AMINO acids 및 40${\mu}\ell$/ml BME amino acids가 함유되어 있는 CR1aa 배양액에 neo/DNA로 transfected 된 BRL 단층에서 실시하였다. G418에 대한 적정농도를 찾기 위하여 정상적인 수정란에 0, 50, 100 및 200 $\mu\textrm{g}$/ml G418를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8일째에 30.3%(44/145), 8.7%(13/150), 0.7%(1/151) 및 0% (0/134)의 수정란이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다. 그래서 본 실험에서는 일정하게 100$\mu\textrm{g}$/ml G418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총 1,127개의 수정란을 미세주입후 G418 없는 배양액에서 710개 (63.0%)가 분할하였다. 미세주입후 48시간째에 2-세포기이상 분할된 수정란을 대조구 및 100$\mu\textrm{g}$/ml G418처리구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740개의 정상수정란도 같은 반복수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세주입한 수정란은 8일 후 11.6%(26/255) 및 5.2% (14/267)가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에서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으며 정상수정란은 27.2% (151/740)가 배반포기 배까지 발달하였다. 미세주입후 대조구에서는 23.1$\pm$2.6/70.7$\pm$4.7 (32.7%)의 할구가 $\beta$-Gal 활력을 보였고, 반면에 100$\mu\textrm{g}$/ml G418 처리구에서는 40.3$\pm$4.1/48.8$\pm$7.5 (82.6%)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비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colony에서는 영양배엽과 내배엽을 제외한 epiblast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beta$-actin promoter/lacZ gene이 integration되지 않는 것인지 또는 다만 염색 확인이 되지 않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는 없다. 이상의 결과는 미세주입후 G418에서 배양한 배반포기배에서는 대부분의 할구에서 주입된 gene을 발현하고 있었으나 ICM colony에서는 특히 epiblast에서는 발현되지 않거나 침묵하고 있었다. 비록 G418 처리구에서 훨씬 더 높은 비율로 주입된 gene이 발현되고 있으나 총세포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이후 형질전환동물의 생산과 ES like-cell의 설립에는 감소될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나 형질전환 수정란의 선발 및 형질전환동물의 생산능력에 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