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upliu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Artemia와 진주담치 유생에 대한 효모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yeast on nauplius of Artemia and Mytilus edulis)

  • 김해영;김중균;허성범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84-85
    • /
    • 2003
  • 조개류의 먹이생물인 미세조류를 대체할 수 있는 효모를 개발하기 위하여 빵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utilis, Klyveromyces fragilis 3종류의 효모를 대상으로 그 먹이효율을 실험하였다. 이들 3종류의 효모를 세포벽을 75, 50, 25% 제거한 것과 세포벽을 제거하지 않은 효모로 구분하여 Artemia를 대상으로 먹이효율을 조사한 후 가장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C. utilis를 조개류의 대표적 먹이생물인 Isoch교sis galbana 와 함께 진주담치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Artemia 실험결과 빵효모보다 C. utilis, K. fragilis가 높은 생존율과 성장을 보였으며 세포벽을 제거한 것이 제거하지 않은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Artemia의 생존율은 75%와 50% 세포벽을 제거한 것이 2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성장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세포벽을 많이 제거할수록 성장과 생존율은 높은 경향이었다. 이와같이 Artemia의 경우는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가 더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것은 Artemia는 효모의 세포벽을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진주담치 유생의 먹이로 C. utilis를 공급한 경우 성장에 있어서 세포벽을 제거한 효모를 50% 대체한 실험구의 먹이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세포벽을 벗기지 않은 효모의 경우 I. galbana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진주담치 유생에 있어서도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를 공급한 것은 대조구인 I. galbana와 생존율에 있어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25% 세포벽을 제거한 것을 공급한 실험구는 유의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각장 성장의 경우 75% 세포벽을 제거한 것은 대조구인 I. galbana와 유의성이 없었다.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와 I. galbana를 1:1로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의 경우 생존율에 있어서는 세포벽을 50%, 75% 제거한 C. utilis를 50% 첨가한 실험구는 대조구인 I. galbana 100%를 공급한 것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장의 경우는 I. galbana 에 세모벽을 75% 제거한 C. utilis를 1:1로 혼합한 실험구에서 각장 179.3 $\mu\textrm{m}$, 각고 150.3 $\mu\textrm{m}$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인 I. galbana 100%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 PDF

Growth of Copepod $Acartia$ $hongi$ Nauplii in Kyeonggi Bay, Korea

  • Youn, Seok-Hyun;Choi, Joong-Ki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79-387
    • /
    • 2011
  • Copepod nauplii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linker between the microbial food web and classical food chain in marine ecosystem and is an essential food source for early stage of many larval fishes.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growth of copepod naupliar stages has been rarely carried out in despite of these ecological significance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food availability and temperature are major factors to influence copepod growth. However, due to the complicated environment parameters in coastal ecosystem,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of copepods and influencing factors are still unclear under the natural condition. Growth rates of the copepod $Acartia$ $hongi$ nauplii were measured in Kyeonggi Bay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1. $Acartia$ $hongi$ is numerically abundant and widespread predominant species in the coastal regions of the Yellow Sea and occurs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with a maximum peak in late spring. The naupliar growth rates of $Acartia$ $hongi$ by the artificial cohort method varied from 0.03 to 0.18 $day^{-1}$, with a mean of 0.09 $day^{-1}$. The overall naupliar growth rate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variation in water temperature. However,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the growth rates of adult $Acartia$ $hongi$ were primarily influenced by the variation in chlorophyll-$a$. Therefore, these differences demonstrated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f growth did not correspond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ssimilarity of growth between nauplius and adult female resulted from the size-dependant difference in food availability and the growth of older developmental stages containing adults are more food-dependent than juveniles.

한강 수계 주요 댐호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와 천이 (Structure and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Several Artificial Lakes in the Han River System)

  • 유경아;박혜경;공동수;황순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50-859
    • /
    • 2010
  • Structure and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y studied by hydraulic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argeting the five lakes in the Han river system from March to December 2008. Results separated by river-type lake and lake-type lake depending on the type of hydraulic, Paldang lake and Cheongpyeong lake were river-type lake, while Chungju lake, Hoengseong lake and Doam lake was lake-type lake. The Paldang lake was a eutrophic lake, zooplankton community density and species number were the most among the five lakes. Relative dominance of the rotifer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small cladocera Bosmina longirostris. The Cheongpyeong lake was a mesotrophic-eutrophic lake,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zooplankton community changes were similar the Paldang lake. Relative dominance of the cladocer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small cladocera Bosmina longirostris. The Chungju lake was a oligotrophic-mesotrophic lake, zooplankton community density was the least among the five lakes. Relative dominance of the copepod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large cladocera Daphnia galeata. The Hoengseong lake was a oligotrophic-mesotrophic lake, relative dominance of the rotifer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small cladocera Bosmina longirostris. The Doam lake was a mesotrophic-eutrophic lake, zooplankton community density showed dramatic difference at the investigation time. Relative dominance of the rotifer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the copepoda Nauplius.

Tigriopus japonicus Mori에 대한 수종 미생물의 이료효과 (Efficiency of Various Microbial Foods for Tigriopus japonicus Mori)

  • 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7-122
    • /
    • 1991
  • Nauplius에서 Adult까지 각 생장단계의 Tigriopus japonicus에 수종의 이료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일 이료로서 Acinetobacter sp. AG-3균주 건조효모, Chlorella sp. 및 Tide pool에서 분리한 단세포조류(Chlorococcum sp.)균주를 투여하여, 4일후에 T. japonicus의 체중 및 체장증가를 측정한 결과, Nauplius에 대해서는 Yeast, (Bacteria+ Chlococcum sp.), Chlorococcum sp., (Bacterla+chlorella sp.), Bacteria, Chlorella sp.의 순으로 효과가 저하되었고 Copepodite는 (Bacteria+Chlorococcum sp.)가 가장 좋았고, Yeast, Chlorococcum sp., (Bacteria+ Chlorella sp.) , Bacteria, Chlorella sp.의 순으로 이료 효과가 저하되었으며, Adult에서는 Copepodite와 같이 (Bacteria+ Chlorococcum sp.), Chlorococcum sp., Yeast, (Bacteria+ Chlorella sp.), Bacteria, Chlorella sp.의 순으로 먹이 효과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T. japonicus 개체에 24시간 동안 섭취된 미생물량(C)과 체중증가량(P)를 각각 탄소양으로 환산하여 섭취 이료의 전환효율$(P/C, \%)$을 구한 결과 각 이료 미생물의 전환효율은 T. japonicus의 각 생장단계에 있어서 $21.6-68.7\%$범위의 차이를 보였다. 이료 세균 및 단세포조류와 혼합 이료는 T. japonicus증식에 충분한 이료 가치가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Temporal Dynamics and Patterning of Meiofauna Community by Self-Organiz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Lee, Won-Cheol;Kang, Sung-Ho;Montagna Paul A.;Kwak Inn-Si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237-247
    • /
    • 2003
  • The temporal dynamics of the meiofauna community in Marian Cove, King George Island were observed from January 22 to October 29 1996. Generally, 14 taxa of metazoan meiofauna were found. Nematodes were dominant comprising 90.12% of the community, harpacticoid 6.55%, and Kinorhynchs 1.54%. Meiofauna abundance increased monthly from January to May 1996, while varying in abundance after August 1996. Overall mean abundance of metazoan meiofauna was $2634ind./10cm^2$ during the study periods, which is about as high as that found in temperate regions. Nematodes were most abundant representing $2399ind./10cm^2$. Mean abundance of harpacticoids, including copepodite and nauplius was $131ind./10cm^2$ by kinorhynchs $(26ind./10cm^2)$. The overall abundance of other identified organisms was $31ind./10cm^2$ Other organisms consisted of a total of 11 taxa including Ostracoda $(6ind./10cm^2)$, Polycheata $(7ind./10cm^2)$, Oligochaeta $(8ind./10cm^2)$, and Bivalvia $(6ind./10cm^2)$. Additionally, protozoan Foraminifera occurred at the study area with a mean abundance of $263ind./10cm^2$. Foraminiferans were second in dominance to nematodes. The dominant taxa such as nematodes, harpacticoids, kinorhynchs and the other tua were trained and extensively scattered in the map through the Kohonen network. The temporal pattern of the community composition was most affected by the abundance dynamics of kinorhynchs and harpacticoids. The neural network model also allowed for simulation of data that was missing during two months of inclement weather. The lowest meiofauna abundance was found in August 1996 during winter. The seasonal changes were likely caused by temperature and salinity changes as a result of meltwater runoff, and the physical impact by passing icebergs.

북동 태평양 심해저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의 군집조성 (The faunal composition of meiobenthic community in the deep-sea sediment, northeastern Pacific Ocean)

  • 김동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1호
    • /
    • pp.42-47
    • /
    • 1997
  • 북동 태평양 심해저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의 군집조성 및 분포양상을 보기 위하여, 다중 주상 시료 채취기(Multiple corer) 및 상자형 시료 채취기(Box corer)를 사용하여 10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집하였다. 전 정점에서 18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각 군집의 비율을 보면 Sarcomastigophora가 가장 우점하여 35.8%, 그 다음 Nematoda가 30.8%, Crustacea의 Naup1ius larvae가 그 다음으로 11.9%의 조성비율을 보였다. 또, benthic Harpacticoida, Ciliophora가 주요 생물군으로 이 5개의 주요 동물군이 전 정점의 중형저서동물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총 개체 수는 정점 4(수섬 4960 m)에서 가장 높은 196 inds./10 $cm^2$을 보였고 정점 1(수심 4969 m)에서 가장 낮은 85 inds./10 $cm^2$을 보였다. 각 정점의 평균 개체 수는 $1.34{\times}10^5\;inds./m^2$ 이였다. 수평분포는 수심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직분포는 표층 0~1 cm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퇴적물내의 심도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1999년 강진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 및 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in Gangjin Bay in 1999)

  • 허회권;김도현;안승환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46-54
    • /
    • 2002
  • 1999년 2월부터 11월까지 강진만의 16개 조사정점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격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9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출현량은 2,028indiv. $m^{-3}$이었다. 월별 출현량은 2월에 최대 5,496 indiv. $m^{-3}$에서 11월에 최소 78 indiv. $m^{-3}$ 사이에서 변동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는 총 19종이 동정되었는데 월평균 출현량은 42-4,159 indiv. $m^{-3}$의 범위였고 Acartia omorii, Centrophages abdominalis, Paracalanus indicus 및 A. steueri가 우점하였다. 지각류는 4월에 최고값 765 indiv. $m^{-3}$로 출현하였다. 계절별로 2월에는 요각류 A. omorii와 Oithona davisae, 4월에 요각류 A. omorii, Eurytemora pacifica와 지각류 Evadne nordmanni, Podon polyphemoides, 6월에 요각류 Tortanus dextrilobatus와 십각류의 유생, 8월에 요각류 P. indicus와 지각류 E. tergestina와 Penilia avirostris, 10월에 요각류 A. erythraea, P. indicus, 그리고 11월에 요각류 P. indicus 및 모악동물 Sagitta crassa가 우점하였다.

네트 망목 크기가 Acartia steueri (Copepoda: Calanoida)의 생체량 추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sh Size of Net on Biomass Estimation of Acartia steueri (Copepoda: Calanoida))

  • 강형구;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45-450
    • /
    • 2002
  • A series of 29 sampling with a 330 ${\mu}$m and a 64 ${\mu}$m mesh size of nets was conducted at a fixed station in Ilkwang Bay, southeast cost of Korea, from Oct, 2, 1991 to Oct. 10, 199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sh size of nets on biomass estimation of copepod Acartia steueri. The catch of copepodite and nauplius stages of A. steueli taken by two nets with different mesh size was different, showing that all developmental stages of A. steueri were retained on the 64 ${\mu}$m mesh net, but only $\geq$stage 4 copepodite were caught by the 330 ${\mu}$m mesh net. Abundance and biomass in each developmental stage estimated with the 64 ${\mu}$m mesh n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330 ${\mu}$m mesh net, except for adult female and stage 5 copepodite in female. The body length as well as the body width is likely to affect the catch of the nets. The mean biomass of A. steueli estimated with the traditional 330 ${\mu}$m net was 2.8 times lower than the value obtained with the 64 ${\mu}$m mesh net. However, the seasonal patterns of the biomass were comparab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urate sampling strategr of the entire copepods assemblage including nauplii and copepodites are essential when estimating the abundance and biomass of copepod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opepods in marine ecosystem.

넙치자어에 대한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의 먹이효과 (Food Value of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fo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 이균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82-687
    • /
    • 2018
  • 본 연구는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에 대한 요각류 Paracyclopina nana의 먹이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두섭식 단계 (rotifer 섭식 단계와 Artemia 섭식 단계)로 나누어 각각 12일 및 16일 동안 수행되었다. Rotifer 섭식 단계 실험에서, 넙치 자어의 생존과 성장은 부화 12일째 rotifer만 공급했을 때 보다 P. nana (nauplii) 단독으로 공급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Arteima 섭식단계 실험에서, 부화 30일째 넙치자어의 성장은 P. nana (C4-adult) 단독 공급실험구와 혼합공급(P. nana+Artemia)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넙치 자어의 생존은 모든 실험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nana nauplius와 성체(C4-adult)의 n-3 HUFA 함량은 각각 4.0%와 5.4%였다. 결과적으로, 기수산 요각류 P. nana는 해수어 종묘생산을 위한 초기생먹이로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태안반도 인근해역 우점 요각류의 계절별 분포와 섭식 (Seasonal Distribution of Major Copepods and Their Feeding in the Coastal Area off Taean Peninsula)

  • 송혜영;이두별;박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4호
    • /
    • pp.149-157
    • /
    • 2010
  • 태안반도 인근 해역의 우점 요각류 세 종의 계절별 분포를 알아보고 계절별 섭식률을 측정하여 이들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미치는 섭식압을 파악하였다. 우점 요각류인 Acartia hongi, Calanus sinicus, Paracalanus parvus s. 1.는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개체수의 약 50%를 차지하였고 전체 요각류의 약 70%를 차지하였다. A. hongi는 겨울철, 봄철에 우점하였고, C. sinicus는 봄철에 가장 우점하였으며, P. parvus s. 1.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우점하였다. 이들 세 요각류의 섭식률은 봄철에 가장 높았고, 섭식률이 높은 시기에 요각류 알(egg)과 유생(nauplius)의 생물량이 다른 계절에 비해 약 10배 이상 많았다. 또한, 섭식률이 높은 시기에 유생 단계의 생물량도 높게 나타나 이들의 섭식률은 재생산을 위해 증가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 우점 요각류 세 종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미치는 섭식압은 약 5% (0.7~40.5% 범위) 정도였으며, 봄철에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