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yeast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32초

홍국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Red Yeast Rice Flour)

  • 박성희;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2-275
    • /
    • 2007
  • 천연 기능성 소재인 홍국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홍국분말을 0, 1, 3, 5, 10%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특성 측정결과 홍국분말의 첨가는 밀가루의 호화개시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홍국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와 최종점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홍국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머핀의 L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머핀의 부피는 모든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경도와 점성은 10% 첨가군에서만 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 색상, 맛, 조직감에서 모두 홍국분말 3%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향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기호도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홍국분말의 첨가가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3% 정도의 첨가는 일반머핀보다 관능적으로 우세하게 평가되었기에 기능성을 가진 머핀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버섯부산물유래 가수분해효소분비 박테리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ydrolytic Enzyme-producing Bacteria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

  • 김영일;정세형;석준상;양시용;허정원;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713-720
    • /
    • 2008
  • 본 연구는 톱밥주원료 버섯부산물의 효과적 사료화를 위한 균주개발을 목적으로 버섯부산물로부터 섬유소분해력이 높은 고온성 균주를 분리 동정하고 균주생산을 위한 배지의 최적화 조건을 도출하고자 실시하였다. Xylanase와 CMCase 활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선발된 고온성 균은 3, 201-7번으로서 동정한 결과 Bacillus spp.에 속하는 균주로 B. subtilis KU3, B. subtilis KU201-7로 각각 명명하였다. 균주생산을 위한 최적 액상배양조건에 있어서 B. subtilis KU3은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3%(w/v)에서, 탄소원으로 maltose 1%(w/v)에서 성장이 가장 좋았다. B. subtilis KU201-7은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0.5%(w/v)에서, 탄소원으로 CMC 0.5%(w/v)에서 성장이 가장 좋았다.

포도주(葡萄酒) 제조방법(製造方法)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ed Wine)

  • 변상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3호
    • /
    • pp.139-144
    • /
    • 1980
  • 포도주(葡萄酒)의 제조방법(製造方法)과 품종(品種)에 따른 제품(製品)의 물리(物理)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또 그들의 기호성(嗜好性)에 대(對)한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하므로서 평가(評價)한 몇가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료포도(原料葡萄)의 성분(成分)에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90.70{\sim}90.82%$로서 품종간(品種間)에는 차별(差別)이 없고 Brix 당도(糖度) 및 당분함량(糖分含量)은 Muscat Bailey A>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다. 적정산도(滴定酸度)는 Muscat Bailey A 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고 PH 는 Campbell Esrly>Muscat Bailey A Alden의 순(順)이였다. 2)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포도주(葡萄酒)의 비중(比重)은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었다. 3) 포도주(葡萄酒)의 주정도(酒精度)는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자연발효구(洗滌自然醱酵區)의 순(順)이였으나 숙성(熟成)이 됨에 따라 차(差)는 적어졌다. 4) 발효액(醱酵液)의 PH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에 비(比)하여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가 약간 낮으나 숙성(熟成)됨에 따라 차(差)가 적어졌다. 5) 총(總) Ester 양(量)은 발효(醱酵)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가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 보다 약간 높았으며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6) 발효성(醱酵性)에 따른 관능검사(官能檢査)의 결과(結果) 발효조건(醱酵條件)에 따라서는 효모첨가구(酵母添加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발효구(洗滌醱酵區)의 순(順)이였고 품종(品種)에 따라서는 Alden>Muscat Bailey A>Campbell Early 순(順)으로 우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천연제빵 발효 Starter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Formula for Natural Bread-making Starter)

  • 이종열;이시경;조남지;박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45-1252
    • /
    • 2003
  • Starter활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밀가루 단백질 함량, 수분첨가비율 및 다양한 영양원을 첨가하면서 starter에 내재된 미생물의 생육과 pH및 적정산도의 변화정도를 관찰하면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는 starter배합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또한 완성된 starter를 빵 제조에 효모 대신 첨가하면서 식빵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을 검토하여 천연 제빵 발효종으로서 starter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밀가루에는 효모보다 젖산균의 수가 100배정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밀가루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pH 및 적정산도의 변화가 적어 미생물의 생장에 더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냈으며 단백질 함량은 강력분 수준(12.0%이상)이 starter 제조에 적합하였다. 수분 첨가함량이 60% 정도인 경우는 110% 이상인 경우보다 균수가 10배 이상 적었으며 수분함량이 200%인 경우는 pH및 적정산도의 변화가 커서 오히려 starter의 활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정 수분함량은 강력분인 경우 110%가 적정하였다. 식염 및 설탕의 첨가는 효모 및 젖산균의 수를 크게 증가시켰으나 올리고당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설탕의 농도가 10%이상 그리고 식염의 농도가 2%이상으로 증가되면 삼투압의 영향으로 균의 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tarter의 시험구 중 강력분을 사용하고 수분함량 110%에 설탕 5% 및 식염 1%을 사용한 starter의 발효 팽창력 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Starter를 첨가하여 만든 빵은 효모를 첨가하여 만든 빵에 비하여 체적을 제외한 모든 품질 특성에서 우수하였으며 특히 관능 특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강력분, 수분 110%, 설탕 5% 및 식염 1%를 배합하여 3일 동안 3$0^{\circ}C$에서 refresh시킨 starter는 실제 제빵시 효모의 효과적인 대체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과일 Rambutan으로부터 아연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Zinc-Enriche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from the Tropical Fruit Rambutan)

  • 차재영;허진선;김정욱;이선우;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7-453
    • /
    • 2008
  • 아연은 사람에 있어서 필수미량 원소 중의 하나이다. 열대과일 Rambutan으로부터 아연 고함유 효모를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의 아연 함량은 306 ppm (30.6 mg%)이었다. 아연 고함유 효모는 전형적인 둥근 모양과 보통 크기로 다출아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분리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ITS1-5.8S rDNA sequences를 실시한 결과 효모 S. cerevisiae 와 99%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Aspergillus oryzae로 코지를 만들어 알코올 발효를 시킨 결과 12% 정도의 알코올 수득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규 분리된 효모는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과 알코올 발효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S. cerevisiae와 거의 일치하여 S. cerevisiae FF-10으로 명명하였다. 향후 실험에서는 S. cerevisiae FF-10 균주가 세포내에 아연을 최대로 축적할 수 있는 배양 실험조건을 확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Aspergillus sp.의 Glucoamylase 생산에 미치는 요인 (Some Factors Affecting Glucoamylase Production from Aspergillus sp.)

  • Park, Inshik;Youngho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19-523
    • /
    • 1989
  • Aspergillus sp.로부터 glucoamylase를 생성키 위한 조건을 검토하였다. 곰팡이는 탄소원으로 soluble starch,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를 사용했을 때 최대 효소생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원 및 질소원의 농도에 따른 효소생성은 soluble starch를 5%, yeast extract를 1% 수준으로 사용했을 때 효소생성은 극대화하였다. 또한 배지의 초기 pH를 6.0, 그리고 배양온도를 28$^{\circ}C$로 유지했을 때 효소생성이 높았다. 고체배지를 사용했을 때에는, 밀기울 배지가 glucoamylase 생성을 위해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 PDF

랫드에서 Aldehyde Dehydrogenase Related Compounds의 알콜 및 알데히드 분해 효능평가 (Anti-Alcohol and Anti-Aldehyde Hangover Effect of Aldehyde Dehydrogenase Related Compounds in Rat)

  • 신혜정;정세영;강소라;권흥택;김배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9-107
    • /
    • 2023
  • Background: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is at the root of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hangovers, liver dysfunction, and alcoholism.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hangover ameliorating effect of fermented rice extract and a combination of yeast-fermented powder and lysate containing aldehyde dehydrogenase (ALDH) (improved new ingredients) in an ethanol-induced rat study. Methods: The concentrations of alcohol, acetaldehyde, and malondialdehye in serum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anti-alcohol and anti-aldehyde hangover effect in two experiments, one with fermented rice extract) and a second with yeast-fermented powder and lysate, using animal studies. Results: Experiment 2 with yeast-fermented powder and lysate containing ALDH showed similar and higher activity, respectively, in reducing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compared with Experiment 1 with fermented rice extract. Experiment 2 also significantly reduced malondialdehyde, a type of lipid peroxide. The ALDH-related compound (ARC) lysate showed better hangover relief effect than ARC powder.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DH-related compounds exhibit a hangover relief effect, and fermented lysate is considered to be a better candidate for hangover relief.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의 세포 독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Cytotoxicity of an Actinomycete Isolated in Korea)

  • 박준구;최병돈;김승철;염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8권3_4호
    • /
    • pp.7-12
    • /
    • 1993
  • An Actinomycete strain isolated from Mt. Dea-Dun had a strong antifungal activity. The culture brith produced by isolated strain showed only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ungi with the exception of yeast and bacteria. It was heat stable, dissolved in ehtylacetate. The concentrated antifungal agent showed cytotoxicity against HEP-2 and HeLa as tumor cell line, and showed weak cytotoxicity against VERO 36 as normal cell lin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with isolated strain. The spore color of isolated strain was gray. It had a short chain and produced brown colored lytic substance in yeast extract-malt agar. The cell wall of isolated strain was composed of meso-DAP, and we suggested it as genus Actinomadura. In the existing of chemical inhibitor, isolated strain grew on the condition of 0.0001% crystal violet, 0.1% phenol, 0.01% sodium azide and 10% sodium chloride. Carbon utilization of isolated strain was shown that glucose, sucrose, manitol and sodium citrate were well utilized.

  • PDF

Expression of Thiol-Dependent Protector Protein from Yeast Enhances the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to Menadione

  • Park, Jeen-Woo;Ahn, Soo-Mi;Kim, Eun-Ju;Lee, Soo-Min
    • BMB Reports
    • /
    • 제29권6호
    • /
    • pp.513-518
    • /
    • 1996
  • A soluble protei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fically provides protection against a thiolcontaining oxidation system but not against an oxidation system without thiol. This 25-kDa protein was thus named thiol-dependent protector protein (TPP). The role of TPP in the cellular defense against oxidative stress was investigated in Escherichia coli containing an expression vector with a yeast genomic DNA fragment that encodes TPP (strain YP) and a mutant in which the catalytically essential amino acid in the active site of TPP (Cys-47) has been replaced with alanine by site-directed mutagenesis (strain YPC47A).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trains in regard to viability, modulation of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nd the oxidative damage of DNA upon exposure to menadi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PP may play a direct role in the cellular defense against oxidative stress by functioning as an antioxidant prote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