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river sand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5초

경북 내성천 하도 단면의 시계열적 변화 (The Temporal Changes of Channel Section in Naeseongcheon River, Kyeongbuk Province)

  • 이광률;김대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3-63
    • /
    • 2011
  • 본 연구는 낙동강의 지류 하천인 내성천을 대상으로, 장기간(1984~2001년)과 단기간(2009~2011년)의 하도 단면의 변화 특성과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지난 약 20년 동안 내성천 하류부의 대부분 지점에서는 최대 2m까지 하상 고도의 저하가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30년간 활발하게 이루어진 하상 골재 채취 작업과 하천 준설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최근 2년 동안에는 NM1 지점에서 하도 내 사주의 규모가 크게 축소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그 원인은 NM1 지점의 바로 상류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영주댐 공사로 인해 퇴적물 운반이 차단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하도의 자연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NM2와 NL2 지점에서는 지난 2년간 미약하게나마 하상의 고도 상승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내성천에서는 인위적인 하도 간섭이 퇴적물 공급 감소에 따른 하상의 고도 저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하구의 연안사주 지형변화 (A landform change of barrier islands around the Nakdong River Estuary)

  • 반용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452-455
    • /
    • 2009
  •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전면에 연안사주지형의 발달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고지도와 항공사진 등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의 연안사주지형의 성장과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낙동강 하구에는 여러 개의 연안사주들이 분포하고 있어 철새들의 서식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연안사주들은 1861년 명호도를 시작으로 1904년 신호도, 진우도, 대마등, 1916년 을숙도, 장자도, 1955년 백합등, 1975년 새등(신자도)이 지형도상에 처음 등재되었다. 1986년에는 철새등(도요등)이 해수면상에 출현하였다. 2008년에는 철새등에서 다대포 해수욕장을 향하여 새로운 등이 성장하고 있어 다대포 해수욕장은 석호로 변하고 있고, 소형 어선들의 통항이 불가능하게 되고 있다. 낙동강 하구의 연안사주 군이 분포한 해역은 퇴적환경의 변화로 다대포-가덕도 사이의 바다가 육지로 바뀌게 될 것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4대강 살리기, 대운하사업, 가덕도 근해에 신공항을 건설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 이 방면에 대한 해안지형환경에 관한 세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섬진강 수계 요천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Siluriformes: Amblycipitidae)의 자연산란장 특징 (Characteristics of Spawning Sit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Liobagrus somjinensis (Siluriformes: Amblycipitidae) in the Yocheon (stream), Seomjingang (river), Korea)

  • 김형수;김수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0-305
    • /
    • 2015
  • 2015년 5~6월에 전라북도 남원시 식정동 섬진강 수계 요천에서 한국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의 자연산란장 11개 지점에 대한 특징을 조사하였다. 자연산란장은 하상기질에 따라 256 mm 이상의 큰돌 (boulder)이 놓여진 상부와 자갈 (pebble)과 모래 (sand)로 이루어진 하부로 구분되었다. 큰돌 아래의 자연산란장은 작은 구멍 안에 난괴 (egg mass)를 형성한 알 덩어리와 섬진자가사리 1개체 (수컷)가 위치하였고 어떠한 저서성 무척추동물이나 유기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였다. 알은 구형의 노란색으로 투명한 막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알 크기는 $3.31{\pm}0.15mm$ (n=30)로 나타났다. 큰돌 아래 자연산란장에서 확인된 각 알 덩어리는 유사한 발생단계였고 각각은 상실기에서 안구 형성기까지 나타났다. 11개의 자연산란장에서 확인된 알수는 평균 $121{\pm}35.5$ (84~176)개였고 암컷의 난소에서 확인된 포란수는 $143{\pm}31.3$ (110~232)개였다.

하천합류부에서 갈대매트를 이용한 하천식생대 조성에 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Effect to Build up a Vegetation Strip at Stream Confluence by Using Reed Mat)

  • 정경진;김미경;안원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2-73
    • /
    • 2003
  • The study was to apply a mat style reed planting method at confluence to improve plants growth conditions by relaxing disturbed topographical base due to water flow and was intended to review the effect to build up a vegetation strip by monitoring process after the construction. First off, We've attempted to construct reed mats on selected sites as confluences of Tan and Gaehwa stream and then examin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soil and vegetation community. As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 soil texture was proven to be a mix of sand and loamy sand and be 6.3 ~ 7.0 soil pH. In addition, it contained 1.0 ~ 4.6% of organic matter, 0.04 ~ 0.22% of T-N and 27.8 ~ 41.2% of water content. For its vegetation structure, the Tan stream confluence was first actually a point bar without plants prior to the construction but 8 kinds of hygrophytes including Persicaria hydropiper and 9 kinds of terrestrial plants such as Potentilla supina, Artemisia annua, and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On the other hand, the Gaehwa stream confluence contained 6 kinds of hygrophytes such as Bidens frondosa and other 11 kinds of terrestrial plants prior to the construction while it produced 7 kinds of hygrophytes including Ranunculus ternatus as well as Phragmites australis and 9 kinds of terrestrial plants such as Potentilla supina after the construction. For the Phragmites australis, almost of them was weathered away in early days just after planting because of development period passed, but on May, six months later from planting, it was investigated that its length was approximated as 65 ~ 85cm with 75% coverage and that the number of it was 437 ~ 633/$m^2$. The study was shown that reed mats can improv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isturbed topographical base, enabling natural growth of various riparian vegetation including the introduced plant, reed. In the meantime, it was supposedly judged that to recover or build up a vegetarian strip, supplementary materials should be prepared to help produce and grow plants because it is not probable to expect river drift by water flow at confluence and that corrosion, burying or inundation owing to changes of water lever should be considered.

콘크리트 재생 순환골재의 파쇄 효과에 따른 다짐 및 열저항 특성 연구 (Effect of Particle Breakage on Compaction and Thermal Resistivity of Concrete-based Recycled Aggregates)

  • 강성철;김경훈;위지혜;안태봉;이대수;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0호
    • /
    • pp.17-28
    • /
    • 2015
  • 최근 친환경 건설에 대한 엄격한 규제와 가용한 천연골재 자원의 고갈에 따른 대안으로 전력구 되메움재로서 순환골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되메움재인 강모래와 콘크리트 재생 순환골재를 대상으로 다짐에너지가 가해질 때, 발생하는 골재의 입자파쇄를 실내다짐시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적용된 다짐에너지 수준에서 일반 강모래는 입자파쇄가 미미하여 다짐 전후 골재의 다짐특성과 열저항의 변화가 매우 적었다. 반면에 일반 강모래에 비하여 순환골재는 재생과정에서 이미 입자에 큰 응력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추가 다짐에너지에 의한 입자파쇄가 발생했다. 다짐에 의한 순환골재 입자파쇄는 세립분 양을 증가시켜 전반적으로 되메움재의 열저항을 감소시키고 입도곡선의 모양을 변화시켰다. 특히, 순환골재의 입자파쇄는 다짐에너지의 댐핑이 상대적으로 적은 저함수비 구간에서 더 뚜렷하게 발생하였다.

경안천에서 하천변 식생의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treamside Vegetation in Kyonganchon)

  • Cho, Do-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55-62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plants on streamside of Kyonganchon, which is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nt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Fifteen study sites were selected along the Kyonganchon, and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termined. The most frequently ocurring species in the study sites were Persicaria thunbergii, Persicaria hydropiper, Echinochloa crus-galli and Bidens frondosa, and among them the two Persicaria species were dominants of the community. Many species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along the stream:Chenopodium album, Equisetum arvense and Setaria viridies occurred in the upstream region, while Rumex crispus, Leonurus sibiricus and Rorippa islandica occurred in the middle and downstream regions. Analysis of soil properties showed that organic matter and clay content were higher in the upstream region while sand content was higher in the downstream region. The results of DCA ordination showed that axis on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c matter and clay conten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nd content, indicating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 of vegetation along the Kyonganchon was determined by elevational gradient from upstream to downstream region or gradient of stream width and water level, and by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soil texture related to these gradients.

  • PDF

대청도 옥죽동 사구의 형성과 최근의 변화 (Formation and Recent Changes of the Okjukdong Dunefield, Daecheong Island)

  • 최광희;공학양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1-101
    • /
    • 2017
  • The Okjukdong dune in Daecheong Island attracts national attention because of its unique landscape that is not covered by vegetation.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knowledge on the timing of the dune formation, associated wind regime, and conservational strategies. In this study, we used OSL dating and grain size analyses to reveal the history of the dune developmen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wind regime in the dunefield which is surrounded by artificial coastal forest. The fine sand at Okjukdong underlain by a colluvial gravel layer indicates that the dune has been developed since at least 5 ka. Aeolian sands were found to be deposited around 700 years ago. The dunefield appears to have been severely eroded 30~60 years ago. The dune landscape has been destroyed after constructing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dunefield. The sand seems to be moving south and north with the season.

만경강에 서식하는 참종개 Iksookimia koreensis와 점줄종개 Cobitis lutheri의 서식환경과 섭식생태 (Habitat Environment and Feeding Habitat of Iksookimia koreensis and Cobitis lutheri (Pisces: Cobitidae)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 고명훈;박종영;김수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3-261
    • /
    • 2009
  • 만경강에 서식하는 참종개와 점줄종개의 서식환경과 섭식생태를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조사하였다. 참종개와 점줄종개는 중 상류지역에 혼서하고 있었으나 미소서식지에서 참종개는 유속이 비교적 빠르고 수심 30~60 cm의 돌이 쌓인 곳에서, 점줄종개는 유속이 느리고 수심이 30~100 cm의 모래지역에서 서식하여 차이를 보였다. 두 종은 모두 주행성 어류로 3월부터 10월까지 활동기로, 11월부터 2월까지는 월동기로 나타났으며, 월동기간동안 참종개는 자갈과 돌이 쌓인 곳에, 점줄종개는 모래가 쌓인 곳에 파고 들어가 은신하였다. 참종개는 깔다구류와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였으며, 점줄종개는 깔다구류와 요각류, 물벼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섭식률은 두 종 모두 4월과 9월에 높게 나타났으나 겨울동안은 섭식하지 않았다.

대구광역시 칠곡 팔계평야의 지형발달과 경관변화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Palgye Alluvial Plain and Landscape Change of the Chilgok area, Northeastern Part of Daegu Metropolitan City)

  • 황상일;윤순옥;강창혁;임원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40
    • /
    • 2010
  •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에 위치하는 팔계평야는 팔공산 가장자리를 둘러싼 환상산맥의 한 봉우리인 가산에서 발원하는 팔계천에 의해 형성된 범람원이다. 조사지역의 지형면은 자연제방과 배후습지 그리고 합류선상지로 구분되며, 자연제방과 선상지면은 청동기시대부터 인간생활의 주요한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팔계천 범람원 퇴적층은 하부에서부터 기반암, 하부역층, 하부사층, 하부실트층, 상부사력층, 표층인 상부실트층으로 세분된다. 하부역층은 최종빙기에 퇴적되었으며 나머지 층준은 홀로세 범람퇴적물이다. 선상지도 최종빙기에 형성되었다. 2000년대 이전의 토지경관은 지형면의 특징을 반영하였으나 이후에는 도시화로 인하여 거의 아파트단지가 조성되면서 지형경관은 크게 바뀌었다.

하천 협소부에서 하상 이동성과 형태와의 상관성에 관한 하도수리학적 평가 (Hydraulic Assessment about Correlation of Fluvial Movement and River Bed Form on the Narrow Pass of Channel)

  • 최호균;김원일;이삼희;안원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2호
    • /
    • pp.141-148
    • /
    • 2009
  • 하천은 지역마다 독특한 하도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노년기에 지형도 적지 않다. 이를 가로 지르는 우리나라 하천에서 특이한 하도형태의 모습을 보이는 구간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모습이 충적하도와 침식하도가 연속해 발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하천 협소부이다. 하천 협소부란 하천지형학에서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용어이며, 하도수리학에서는 지배유량에 종속되는 일정하폭의 범위를 크게 벗어난 하천병목구간을 뜻한다. 이러한 협소부 주변지역은 전형적인 수해상습 지역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협소부 구간에서 하도특성을 반영한 조사 및 연구 사례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선산지역에 위치한 하천 협소부에서 하도형태에 대하여 조사하고 하도수리학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하천인 조사구간의 저수로 하상에서 아주 미세한 유사분급 현상은 확인할 수 있었지만, 하도변화의 작용력에 의한 유사분급 현상이라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이는 완만한 하상경사, 균일성에 가까운 하상재료의 분포 및 공급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연적인 현상보다는 골재채취 등의 인위적 교란에 따른 유사분급이 확연하다고 추정되었다. 그리고 협소부의 배수구역에서 과거 활발했던 단단면 이동상 하도가 유심부의 이동과 더불어 최근 급격하게 복단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저수로의 하폭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궁극적으로 이상홍수 발생시 복단면 가중 혹은 홍수단면적 축소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저수로에서 호안 또는 제방 아래 부분의 국소세굴이 야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