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food preservative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8초

마늘즙의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 김명희;김소영;신원선;이준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2-755
    • /
    • 2003
  • E. coli O157:H7에 대한 마늘즙액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늘즙액의 처리량을 농도별 조건을 달리한 후 생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마늘즙액 농도가 1%에서는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E. coli O157:H7의 생균수가 약간 줄어들었으나 마늘즙 처리량이 3%에서는 약 5 log, 마늘즙 처리량이 5%로 증가했을 때는 약 6 log의 생균수 감소를 보였다. 마늘즙의 식육내 항균작용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저육에서 3%, 6%, 10%의 마늘즙 농도별 차이에 따른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늘즙의 가장 뚜렷한 저해 효과는 저장 9일에 나타나 약 2 log의 생균수 감소가 관찰되었다. 저장 9일 이후에는 E. coli O157:H7의 생균수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마늘즙의 항균 효과가 소실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실험의 결과, 마늘의 조미료로써의 기능과 더불어 천연 방부제로써의 항균효과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목초액의 항균활성 및 농약, 식품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ood Vinegar and Application as Natural Fungicides and Food Preservatives)

  • 이성숙;안병준;조성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41-348
    • /
    • 2010
  • 목초액의 농약 또는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나무 및 참나무류 기계식 목초액을 대상으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의 경우 미정제 목초액은 0.5% 이상의 농도 에서, 정제 목초액은 1.0% 이상의 농도에서 공시 식물병원균 및 목재부후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여 미정제 목초액이 정제 목초액보다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나무류 목초액이 소나무 목초액보다 항 균활성이 높아 탄화 원료인 수종에 따라 항균활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균종별로는 표고 해균인 주홍 꼬리버섯에 대한 항균효과가 다른 공시 균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균의 종류에 따라 목초액에 대한 감수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균에 대한 항세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소나무 및 참나무류 미정제 목초액의 경우 10% 농도에서 모든 공시 균주에 대해 생육저지환을 형성한 반면 정제 목초액 의 경우에는 저지환을 형성하지 않아 항세균활성도 미정제액이 정제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종에 따른 감수성에도 차이가 있어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그람 음성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탄화 원료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목초액은 식물병원균, 목재부후균,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유기합성 농약을 대체하거나 식품의 부패를 막기 위한 식품보존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복분자, 가자육,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n the Shelf-life of Tofu with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Therminalia chebula Retz and Rhus javanica)

  • 오세욱;이영철;홍희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46-749
    • /
    • 2002
  • 정향피, 초두구, 복분자, 산사자, 가자육, 금앵자, 오배자의 7종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10종의 공시균주에 대하여 paper disk method에 의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복분자, 가자육, 오배자 3종이 선발되었으며 이의 에탄올 추출물을 두부에 0.01%, 0.05 및 0.1%(w/w)의 농도로 첨가하여 $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 4일 정도에 부패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균수 그래프의 회귀방정식을 구하여 유통가능 기간을 산출하였을 때 가자육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의 경우 0.01% 첨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108.8% 연장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0.05% 첨가 처리구는 117.3%, 0.1% 첨가 처리구는 132.6%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종의 추출물 중 가자육 추출물이 가장 저장성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분자, 오배자 추출물은 가자육 추출물에 비하여 그 효과가 다소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 var. coloratum)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 증식 억제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 강서진;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19-924
    • /
    • 2012
  • 국내산 겨우살이를 천연소재 및 천연 보존료로서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겨우살이의 methanol 조추출물과 n-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분획물의 식중독 세균 억제 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Ethyl ether와 ethyl acetate 분획물은 공시균주에 대하여 0.9~1.8 mm의 inhibition zone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ethyl ether는 B. cereus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겨우살이의 ethyl ether 분획물은 S. aureus에 대하여 가장 낮은 6.25 mg/mL의 MIC를 나타내었다. 겨우살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겨우살이의 총 페놀함량은 ethyl ether 획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ethyl acetate, n-hexane, butanol 및 methanol 조추출물과 water 획분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ethyl ether 획분의 강한 항균활성과 항산화 활성은 획분중에 풍부한 총페놀화합물과 상관이 있으므로 향후 이 획분중의 활성물질의 분리 연구가 한국산 겨우살이의 기능성 소재화에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복합항균제제를 첨가한 생면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Noodle with Natural Food Preservatives)

  • 현정은;황진하;최연선;한아름;윤재현;배영민;이호;김철;이명구;심명국;임경현;이선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35-444
    • /
    • 2016
  • 본 연구는 생면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복합항균제제 첨가에 따른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무처리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복합항균제제를 첨가한 생면을 $12^{\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며, 총균수, 대장균군 및 효모/곰팡이를 측정한 결과, 저장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특히, F3 및 F3-1을 첨가한 생면의 총균수 등의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어 생면의 저장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3와 F3-1 첨가한 생면은 무처리구보다 pH가 약간 낮게 나타났고, 산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생면의 관능검사에 있어서 저장기간 동안 0.200%의 F3 또는 F3-1을 첨가한 생면은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높은 점수로 관찰되어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주)비에스티에서 개발된 복합항균제제인 0.200% 농도의 F3 또는 F3-1을 생면에 첨가하였을 때 생면의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녹차추출물을 첨가한 초고추장의 품질향상 (Quality Improvement of Chokochujang by the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

  • 김은량;강선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16-525
    • /
    • 2007
  • 자체 제조한 초고추장에 무첨가, 주정 3% 첨가, 녹차추출물 1, 3, 5% 첨가, 주정 1%와 녹차추출물 1% 그리고 주정 1%와 녹차추출물 2% 첨가한 시료를 각각 준비한 후 3주 동안 25, $37^{\circ}C$에 저장하면서 총균수, pH, 산도, 당도, 관능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초고추장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초고추장의 우점균주를 동점하기 위하여 분리된 균주를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분리균주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ER282로 최종 동정되었다. 한편 녹차추출물 자체를 1, 3, 5, 10% 농도에서 항균력을 시험한 결과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항균력이 높은 녹차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첨가한 초고추장 시료의 저장중의 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 $25^{\circ}C$$37^{\circ}C$ 모두 무첨가구에 비하여 균체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하지만 pH 산도 및 당도의 변화는 모든 첨가구에서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관능검사와 전체적인 기호도 평가 결과에서는 대부분의 시료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품질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3% 녹차추출물 첨가 시료는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물추출물이 나박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Nabak Kimchi Preservation)

  • 문성원;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14-821
    • /
    • 2000
  • 나박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보존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오미자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시료의 농도를 0.5, 1.0, 1.5, 2.0%로 사용하여 항산화력 및 전자공여능을 측정하고 나박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호력은 TBA값을 측정하였는데, 오미자 물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는 현저하였다. 전자공여능 또한 오미자 물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고, 1.0% 이상이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나박김치에서 잦산균을 분리한 결과 117균주를 1차 분리하였고, 이 가운데 성장이 우수하고 산 생성력이 강한 4균주를 2차 선별하여 Lactobacillus brevis, Lactococcus faecalis,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Lactobacillus brevis를 제외한 세 균주 모두 오미자 물추출물 첨가에 의한 뚜렷한 성장 억제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나막김치 담금시에 항산화성과 항균활성이 있는 오미자 물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천연 항균복합제재용액을 침지 및 재배용수로 처리한 콩나물의 선도유지 효과 (Preservative Effect of Soybean Sprouts Pre-soaked and Cultivated in the Solu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Mixture)

  • 정준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1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식품의 미생물작용에 의한 변질의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성천연항균제품(botanical antimicrobial agent)에 천연보조제(인삼추출물, 알로에, 매실추출물)를 첨가하여 paper disk법에 의한 항균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인삼추출물을 첨가한 천연복합항균제재(BAAG)에서 생육저해환이 가장 크고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천연 항균복합제재 용액에 콩나물용 콩을 농도별로 각각 침지 처리하여 냉장 및 상온에 저장하면서 대장균수, 총균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외관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수도수로 침지처리한 대조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대장균은 BAAG의 침지처리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처리농도가 증가시킬수록 균증식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고, 총균수도 BAAG 처리구의 콩나물이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외관상의 변화와 상품 가치를 측정한 결과는 수도수처리구인 대조구 콩나물이 저장 3일 후부터 부패취와 함께 표피의 점질성 갈변이 형성되어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진 상태였다. 위와 같은 결과, BAAG용액 속에서 콩나물 콩을 발아시켜 침지 처리함으로써 콩나물의 유통기간을 상당기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EDTA의 항진균 활성 및 EDTA와 Polygodial 간의 병용 효과 (Antifungal Activity of EDTA and Combinatory Synergism of EDTA with Polygodial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상화;이재란;김창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09-1114
    • /
    • 1999
  • 식품에서 산화 방지제로 사용되고 있는 EDTA를 이용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항진균 측정 조건에서 EDTA의 MIC(정균 농도) 및 MFC(살균 농도)값은 각각 200 ${\mu}g/mL$과 6,400 ${\mu}g/mL$로 나타났다. 또한 EDTA의 항진균 활성은 항세균 활성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높은 종균 농도, 산성 배지, 배지에 첨가된 금속 이온($Ca^{++},\;Mg^{++}$)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다. 한편 EDTA를 천연 식품 양념으로부터 분리된 polygodial과 병용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그들의 항진균 활성은 상호 상승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종균 농도, 배지 pH, 금속 이온($Ca^{++},\;Mg^{++}$)의 배지 첨가와 같은 측정 조건에 따른 EDTA의 항진균 활성 감소는 polygodial과 병용에 의해 크게 개선되었다.

  • PDF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 Lev.)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 이수경;이승헌;박은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15-523
    • /
    • 2015
  • In the study reported here,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from Jeju Island was investigated. Of the 14 strains of 12 species of microorganisms tested, the extract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observed against seven Gram-positive bacteria of four species, but not against six Gram-negative bacteria and a yeast strain.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the diameter of the inhibition zone increased with application of the extract with every strain and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was exhibi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 at 5 mg/ml.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MIC) by turbidity was 2.5 mg/ml against Bacillus cereus KACC 12672 and 15 mg/ml when with Enterococcus faecalis KCTC 3206. The minimum bacterial concentration (MBC) values defined as being $${\geq_-}99.9%$$ reduction in viable cells against the tested strains was higher than the MIC values. Time killing curves using the optimum MIC were performed on seven strains incubated for 48 hr. The growth of B. cereus KACC 12672 was detected after 12 hr and no significant growth was found in the others strains after 48 hr (p<0.05).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anol leaf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f extract of D. morbiferus Lev. can be utilized as a natural preservative and an antioxid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