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extracts of green tea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2초

HPLC On-line $ABTS^{+}$ Antioxidant screening 시스템을 이용한 한국산 녹차로부터 Catechin compounds의 황산화 활성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of Catechin compounds in Korean green tea using HPLC On-line $ABTS^{+}$ Antioxidant screening system)

  • 이광진
    • KSBB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96-100
    • /
    • 2008
  • 한국산 녹차로부터 HPLC On-line $ABTS^{+}$ screening기법을 사용하여 catechin compounds의 특성중의 하나인 항산화활성을 빠르게 분석하였으며 녹차로부터 catechin compound의 추출을 다양한 온도와 시간의 추출방법을 적용하였다. 전 처리한 추출액에 포함된 catechin compounds을 분석하고 최적의 추출조건을 실험적으로 모색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추출온도 $60^{\circ}C$, 추출시간 3분으로 추출한 시료가 항산화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Protective Effects of Natural Phytochemicals on the Lipid Peroxides Induced Apoptosis in the Human Endothelial ECV 304 Cells

  • Kim, Ae-Jung;Kim, Mae-Wha;Kang, Young-Hee;Lee, Myoung-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36-441
    • /
    • 2009
  • The final bio-metabolites of lipid peroxidation (LPO) such as 4-hydroxynonenal (4-HNE) and malondialdehyde (MDA) have been suggested to mediate the oxidative stress-linked pathological incidences. Natural phytochemicals such as polyphenolic compounds in green tea have been known in preventing the LPO induced cellular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We investigated that green tea ethanol extracts (GTE) inhibit LPO-induced apoptosis in ECV 304 cells. GTE had time- or dose-dependent anti-apoptotic effects as evidenced by changes in cell morphology, MTT assay, DNA fragmentation, LPO production, and the Western blotting for apoptotic expression. In the 4-HNE-induced apoptosis model, GTE $10-20{\mu}g/mL$ decreased cell death through decreasing LPO production. GTE protected 4-HNE induced apoptosis, as evidence with down regulation of mitochondrial signaling such as cytochrome C and caspase-3 activity. GTE increased bcl2, survival signaling protein, compared to 4-HNE alone within 6 hr incubation. Since polyphenols in GTE are effective antioxidants in endothelial ECV 304 cells, we suggested that natural polyphenols might be anti-atherosclerotic.

탈지 녹차씨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 안정성 및 산막 형성 억제능 평가 (Stability of Anti-Yeast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Extracts on Yeast Film Formation)

  • 양은주;서예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7-334
    • /
    • 2017
  • 탈지 녹차씨 추출물을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보존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물 또는 75%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효모 활성을 평가하였다. 탈지 녹차씨 추출물의 항균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세균과 곰팡이에서는 일부 지시균을 저해했지만, 효모 지시균 5종에 대해서는 모두 생육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효모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추출 용매에 따른 활성은 75%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2배 정도 활성이 우수하였다. 탈지 녹차씨 추출물의 온도, pH, NaCl 처리에 대한 항효모 활성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물과 75% 에탄올 추출물 모두 pH 3~9와 0~20% NaCl 처리에 안정하였으며, 온도에 대한 영향은 $70^{\circ}C$, 24시간 및 $121^{\circ}C$, 15분 처리에 항효모 활성이 2배 정도 감소하였으나 다른 온도 처리에는 모두 안정하였다. 산막효모인 P. membranifaciens가 첨가된 식품 모델에 탈지 녹차씨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한 후 산막 형성이 억제되는지 평가하였다. 물과 75% 에탄올 추출물은 간장에서 각각 $156{\mu}g/mL$, $39{\mu}g/mL$, 장아찌 소스에서 각각 $156{\mu}g/mL$, $78{\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산막 형성을 억제하였다. 김치에서 물 추출물은 $78{\mu}g/mL$ 이상, 75% 에탄올 추출물은 $39{\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산막 형성 억제능이 나타났다. 항효모 활성 안정성이 우수하며 실제 식품에서 산막효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탈지 녹차씨 추출물은 효모의 부패를 저해할 수 있는 천연 보존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천연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신선절단 감자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otatoes with Natural Antibrowning Treatment during Storage)

  • 황태영;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3-187
    • /
    • 2006
  • 감초와 녹차추출액에 신선절단한 감자를 침지하고 각각 LDPE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함에 따라 L value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ascorbic acid를 함께 처리한 경우 하락 폭을 줄여 줄수 있었다. 저장 중 포장내의 이산화탄소 함량은 증가하였고 산소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장 7일경까지는 녹차와 ascorbic과의 병용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큰 변화 가 없었으나 저장 14일경에는 모든 구에서 급격한 증가 현상을 보였다. Chlorogenic acid의 경우에도 총페놀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띠었다. PRO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고 있었으며 갈변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던 저장 7일경의 감초 및 녹차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후 14일경 갈변의 심화와 함께 효소의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천연물인 감초추출물과 ascorbic acid를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냉장저장 시 일정기간 동안 천연물을 이용한 갈변저해 및 품질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 확인 및 이를 방어하는 피부 외용제 소재의 탐색 (Identification of Ozone-induced Skin Damage and Screening of Antioxidant for Ozone)

  • 최신욱;김창수;정재형;김남경;한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51
    • /
    • 2004
  • Ozone(O$_3$), one of best-known toxic air pollutant, act as a strong oxidant. It is possible that skins exposed to the air can be easily damaged by such oxidative air pollutant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anti-oxidative effects of natural product. on $O_2$ㆍ and ㆍOH were investigated by EPR. Ozone caused protein damage and lipid oxidation, in HaCaT and B16F10 leading ultimately to programmed cell death. It also reduced the level of antioxidant molecules including ascorbic acid and tocopherol in stratum comeum. However, antioxidants originated from natural products could protect skin from these products could protect skin from these oxidative damages. We concluded that eight natural extracts including Rosa davurica, Ligularia sibrica, Green tea acted as strong antioxidants against ozone.

녹차 추출물의 첨가가 저장 중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 및 아질산염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duced Nitrite Content of Emulsion Type Sausage during Storage)

  • 양한술;정진연;이정일;윤이란;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54-463
    • /
    • 2006
  • 본 연구는 녹차 추출물이 저장중 소시지의 품질 특성 및 아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육색의 경우, 아질산염 및 녹차 추출물 첨가구(T2, T3, T4)는 대조구 및 아질산염 첨가구에 비해 낮은 명도 값을 보이며, 녹차 추출물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낮은 명도 값을 나타내었다(p<0.05).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는 총유출량(TEF, %)과 가열 감량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모든 아질 산염 및 녹차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나며, 녹차 추출물 첨가에 비해 오직 아질산염만을 첨가한 T1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TEF 값을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앞의 유화 안전성 결과와는 달리 가열 감량의 경우, 아질산염 첨가구에 비해 0.2%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T2에서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다(p<0.05). 조직감 측정 결과 녹차 추출물을 첨가시 경도, 응집성 및 검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여주며(p<0.05), 특히 TBARS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아질산염이 첨가된 처리구 1에서 낮은 TBARS 값을 보이며(p<0.05), 녹차 추출물이 첨가된 처리구 2, 3 및 4의 경우, 저장 4주차에 $0.76{\sim}0.89$로 저장 1주차에 대조구 및 처리구 1의 1.90 및 1.45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녹차 추출물의 첨가시 대장균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녹차 추출물의 첨가시 아질산염 함량을 감소를 가져오며, 녹차 추출물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함량은 유의적인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녹차 추출물은 유화형 소시지의 아질산염 소거제로서의 가능성과 항균제 및 항산화제로서 육제품 내 첨가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녹차씨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활성 (Whitening Effect of Green Tea Seed Shell Ethanol Extracts)

  • 송하연;성낙윤;정필문;강민수;박원종;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70-1475
    • /
    • 2015
  • 본 연구는 산업 부산물의 이용성 향상을 위하여 폐자원인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녹차씨 껍질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을 한 결과 건조중량 대비 1.24%의 추출물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tyrosinase 억제능을 관찰한 결과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미백 효과가 세포 내에서도 일어나는지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melanoma 세포인 B16BL6에 ${\alpha}$-MSH를 처리하여 melanin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melanogenesis 과정을 유도한 후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의 형성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한다면 산업 부산물인 녹차씨 껍질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사료된다.

솔잎 및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시지 개발 (Developments of Functional Sausage using Plant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Green Tea)

  • 김수민;조영석;성삼경;이일구;이신호;김대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0-29
    • /
    • 2002
  • 소시지의 pH값의 변화는 대조구 비하여 솔잎과 녹차 및 솔잎+녹차 복합 첨가구가 다소 낮을 값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화도의 변화는 대조구에 비하여 솔잎, 녹차 그리고 솔잎+녹차 복합 첨가구가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 잔존 아질산염 함량과 휘발성 염기태질소(VBN)함량은 온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식물체 추출물 첨가구가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의 변화는 3$0^{\circ}C$ 저장의 경우 1$0^{\circ}C$ 저장에 비하여 증가의 폭이 높게 나타났으며, 3$0^{\circ}C$ 저장시 대조구는 저장 1일째부터 총균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추출물 첨가구는 저장 3일까지 2.7$\times$$10^1$ CFU/g을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하여 추출물 첨가구가 저장 3일까지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시지의 명도는 온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하여 추출물 첨가구가 다소 높은 명도를 나타내었다. 적색도는 명도와는 달리 대조구에 비하여 추출물 첨가구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솔잎7녹차 복합추출물 첨가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색은 낮은 값을 나타낸 반면, 조직감은 높게 나타났으며, 솔잎 추출물 첨가구의 경우 온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하여 풍미, 조직감, 맛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솔잎과 녹차추출물의 기능적 특성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솔잎추출물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소시지의 저장성도 우수하였다.

Identification of Suitable Natural Inhibitor against Influenza A (H1N1) Neuraminidase Protein by Molecular Docking

  • Sahoo, Maheswata;Jena, Lingaraja;Rath, Surya Narayan;Kumar, Satish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4권3호
    • /
    • pp.96-103
    • /
    • 2016
  • The influenza A (H1N1) virus, also known as swine flu is a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since 2009. There is a need to explore novel anti-viral drugs for overcoming the epidemics. Traditionally, different plant extracts of garlic, ginger, kalmegh, ajwain, green tea, turmeric, menthe, tulsi, etc. have been used as hopeful sourc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influenza. The H1N1 virus contains an important glycoprotein, known as neuraminidase (NA) that is mainly responsible for initiation of viral infection and is essential for the life cycle of H1N1. It is responsible for sialic acid cleavage from glycans of the infected cell. We employed amino acid sequence of H1N1 NA to predict the tertiary structure using Phyre2 server and validated using ProCheck, ProSA, ProQ, and ERRAT server. Further, the modelled structure was docked with thirteen natural compounds of plant origin using AutoDock4.2. Most of the natural compounds showed effectiv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1N1 NA in binding condition. This study also highlights interaction of these natural inhibitors with amino residues of NA protein. Furthermore, among 13 natural compounds, theaflavin, found in green tea, was observed to inhibit H1N1 NA proteins strongly supported by lowest docking energy. Hence, it may be of interest to consider theaflavin for further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