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cosmetic ingredient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7초

각질형세포와 피지선세포 공배양을 통한 지루성 피부염 억제 소재 연구 (The Study about Relief Effect of Essential Oil on Seborrheic Dermatitis with Co-culture System)

  • 김아름;김수나;이현기;전병배;박원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1-319
    • /
    • 2012
  • 보통 지루성 피부염은 과다 생성된 피지와 함께 피지를 영양분으로 상재하는 M. globosa 이스트에 의해서 얼굴, 몸 및 두피에 자주 발생하는 피부질환이다. 본 연구는 천연정유성분(Natural essential oils)으로부터 지루성 피부염과 관련된 항염증 활성과 M. globosa 이스트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지루성 피부염 진정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지루성 피부염 환경을 모사한 공배양 세포 평가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평가모델을 통해서 육계(Cinnamomum zeylanicum, Cinnamon bark)의 껍질 및 박하(Mentha arvensis, Cornmint)의 잎에서 추출한 천연정유 성분이 다양한 지루성 피부염 자극원에 따른 Interleukin-$1{\alpha}$ (IL-$1{\alpha}$),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사이토카인의 발현량 증가와 피지생성 증가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루성 피부염 유발균으로 알려진 M. globosa 이스트에 대한 증식 저해 평가를 통해 두 정유성분에서 유의한 M. globosa 증식 억제 능(MIC ${\leq}0.0625%$)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육계껍질 및 박하 잎 정유성분이 지루성 피부염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감소시켰다. 특히 육계 껍질 오일은 지루성 피부염 주요 원인인 Malassezia furfur 및 M. globosa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지루성 두피 염증의 예방과 효과적인 관리 제품의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Isoquercitrin 함유 연꽃잎 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능 연구 (Effect of Isoquercitrin-containing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on Skin Wrinkle Improvement)

  • 문은정;전준명;이가희;백민영;이대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을 통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던 중, 연꽃잎추출물(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LE)이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NLE를 분석한 결과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isoquercitrin도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LE와 isoquercitrin은 자유 라디컬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isoquercitrin은 인간 피부유래 세포주인 HaCaT 및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은 isoquercitrin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정제한 NLE를 1.7% 함유한 크림(isoquercitrin 51 ppm 함유)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0 ~ 65세의 한국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엔 NLE 함유 크림을,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엔 대조제품을 매일 2회씩, 8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NLE 함유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피부자극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제품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게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NLE 및 isoquercitrin이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isoquercitrin 함유 NLE는 안전한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파우더와 오일의 배합 비율이 탈크 프리 프레스드 파우더 제형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lending Ratio of Powder and Oil on the Stability of Talc-Free Pressed Powder Formulation)

  • 오지원;김현지;곽병문;조한태;이미기;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1-40
    • /
    • 2021
  • 프레스드 파우더의 주요 안정성 요인으로 경도와 낙하 안정도가 있다. 일반적으로 탈크가 포함된 프레스드 파우더의 경우 경도와 낙하 안정도를 고르게 충족시키며 사용감도 우수하지만 최근 탈크의 석면 이슈로 인해 대체를 원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 따라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사용감도 떨어지지 않는 탈크 프리 프레스드 파우더 제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탈크 프리 프레스드 파우더를 만들기 위한 최적의 원료 배합 비율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파우더에 주로 사용되는 원료들의 특성을 확인하고 비율을 변화시켜 실험하여 명도와 경도를 측정하고 낙하 시험을 실시하였다. 천연 마이카 함량이 합성 마이카보다 많거나, 코팅된 실리카 대신 논 코팅 실리카를 사용할 경우 탈크가 포함된 내용물보다 경도와 낙하 안정도는 낮지만 명도는 유사하였다. 반대로 합성 마이카 함량이 천연 마이카 함량과 동일하거나 높을 경우, 코팅된 실리카 함량이 논코팅 실리카 함량과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에 탈크가 포함된 내용물의 경도, 낙하 안정도와는 유사하였으나 명도는 낮게 측정되었다. 탈크가 포함된 내용물보다 경도는 높지만 낙하 안정성은 떨어지는 현상도 발견하여 경도와 낙하 안정성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 구멍갈파래 가수분해물에 의한 노화된 섬유아세포 증식 및 콜라겐 합성증진 효과 (The Effect of Hydrolyzed Jeju Ulva pertusa on the Proliferation and Type I Collagen Synthesis in Replicative Senescent Fibroblasts)

  • 고현주;김경범;이동환;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7-186
    • /
    • 2013
  • 피부 섬유아세포는 인간 피부의 주요 콜라겐 생산 세포이다. 노화가 진행되면,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생산이 감소되고,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에 의해 시작되는 콜라겐 조각화가 증가된다. 즉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항상성의 불균형으로 인해 피부 collagenous, 세포외기질(ECM)의 구조와 기능이 변형되어, 피부노화가 촉진되는 것이다. Cysteine rich protein 61 (CCN1)는 CCN family의 일부이며, 인간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항상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노화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CCN1 과 발현은 실질적으로 유형 I procollagen 생성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MMP-1의 발현을 증가시켜 섬유의 콜라겐 저하를 일으킨다. 그리고 노화된 섬유아세포는 노화 전 섬유아세포에 비해 증식률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 만들어 사용한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는 유형 I procollagen의 생성량이 감소하였고, MMP-1의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CCN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고, 증식률이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노화 전 섬유아세포에서 새로운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MP-1의 발현을 감소시켜 광노화를 개선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활성을 나타내는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사용하여,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에 의한 CN1 단백질의 발현 억제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은 배양된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유형 I procollagen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MMP-1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 항상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CN1 발현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노화세포의 증식률을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복제 노화 섬유아세포가 in vitro 자연 노화모델로 화장품 원료 활성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광노화 뿐 아니라 자연노화를 개선하는 피부미용제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가능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과 구성약재의 암세포 독성, 항균 및 항산화 효과 (Cytotoxicity,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Prescription Cheongyeolsodokum and Its Constituent Herbs)

  • 이진태;이창언;손준호;이진영;박태순;이인철;송미애;천순주;지선영;안봉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51
    • /
    • 200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physiological activities, cytotoxicit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Cheongyeolsodokum and its constituent herbs. Methods : Physiological activities, cytotoxicit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examined through the Cheongyeolsodokum and its constituent herbs. Results :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Cheongyeolsodokum were over 60% and 80% at 100 ppm, respectively. The EDA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 from the Cheongyeolsodokum ingredients were gradually increased as well.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Cheongyeolsodokum and its constituent herbs inhibited xanthine oxidase activity, they showed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The Cheongyeolsodokum and its constituent herbs inhibited cancer cell growth in a dose-dependant manner. Also, the clear zon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 epidermidis were clear shown at 2.5 and 5 mg/disc. Its constituent herbs showed the clear zone against various bacteria such as Candida albicans, S. aureus, S. epidermidis, and S. mutans were shown at 0.5 and 1mg/disc. Conclusions : We observed physiological activities, cytotoxicit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Cheongyeolsodokum and its constituent herb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of Cheongyeolsodokum and its constituent herbs can be used as a natural ingredient in food or cosmetic industry.

  • PDF

미더덕껍질과 천연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The Preparation of Mask-pack Sheet Blended with Styela clava tunics and Natural Polymer)

  • 윤우빈;이예찬;김다솜;김지은;성지은;이현아;손홍주;황대연;정영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54
    • /
    • 2017
  • Ultraviolet radiation have much influenced with a deep wrinkles, roughness, laxity of skin damage and pigmentation through oxidative stress and oxidative photo-dam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hydrogel facial mask sheets made from agar, Styela clava tunics and Broussonetia papyrifera tunics. The skin of S. clava is covered with a hard cellulose containing glycoprotein, glycosaminoglycan and chondroitin sulfate. B. papyrifera is better known as Paper mulberry. It contains kazinol which serves as a tyrosinase inhibitor and skin whitening agent. The tensile strength of facial mask sheet was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water absorption and moisture permeability of facial mask sheet were measured by dryer. Additionally, the DPPH assay and MTT assay were conduct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acial mask sheet. The whitening effect of the facial mask sheet was measured by tyrosinase inhibitor assay. These tests showed that the three ingredients are suitable cosmetic materials. The results reveal that they produce a high quality hydrogel facial mask sheet when the membrane contains 1%(W/V) of agar, 0.1%(W/V) of B. papyrifera tunics and 0.05%(W/V) of S. clava tunics.

식물성 유지를 이용한 구연산코팅 공정의 개발 (Development of Coating Process of Citric Acid Using Vegetable Oil)

  • 김복희;김동만;이상화;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37-141
    • /
    • 2010
  • 신맛이 요구되는 식품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구연산의 산미 기능과 첨가물로써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물성 유지를 이용하여 코팅 수율이 95%이상이며 코팅물질함량은 총 조성물 중 20~33% 내외인 코팅구연산 제조공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코팅구연산 (coated citric acid)은 식품에 투입되었을 때 최종제품에서 본 식품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구연산 본래의 신맛을 감소시키며, 제품이 입에서 녹을 시점에서 자극적이지 않은 신맛을 서서히 방출 시키는 특징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코팅 구연산은 식품산업 및 향장품 등 다양한 관련 산업분야적용이 가능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수입대체 및 해외수출 등 관련 산업 분야로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짚신나물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 김태혁;김정미;백종미;김태우;김대중;박정해;최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7-184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melanin synthesis. The whitening effects of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s were examined by in vitro mushroom tyrosinase assay and B16BL6 melanoma cells. We assessed inhibitor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on expression of melanogenic enzyme proteins including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in B16BL6 cells. Inhibitor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onto free radical gener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 Our results indicated that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effectively inhibited free radical generation. In DPPH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had a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y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and in B16BL6 melanoma cells. Also, Agrimonia pilosa Ledeb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in B16BL6 melanoma cells. These results show that Agrimonia pilosa Ledeb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on the melanogenesis.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whitening activity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We suggest that Agrimonia pilosa Ledeb may be useful as new natural active ingredients for antioxidant and whitening cosmetics.

해조류 청각(Codium fragile)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weed Sea Staghorn(Codium fragile) Ethanol Extract for Antioxidant)

  • 이주희;김보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67-472
    • /
    • 2019
  • 해조류는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섬유소가 풍부하며 녹조류에 속하는 청각(Codium fragile)은 청각과이며, 우리나라,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해안에 분포해 있고 우리나라와 각국에서 식재료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을 주정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활성, FRAP과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6.25, 12.50, 25, 50, $100{\mu}g/mL$ 농도에서 0.83, 22.83, 38.27, 40.93, 45.60%의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 23.13, 33.63, 33.93, 44.07, 59.07%의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FRAP과 ABTS도 앞에서 했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천연 소재인 청각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nti-melanogenic effects of Hordeum vulgare L. barely sprout extract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 Choi, Jeong-Hwa;Jung, Jong-Gi;Kim, Jung-Eun;Bang, Mi-A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168-175
    • /
    • 2019
  • Purpose: Barely sprout is a well-known oriental herbal medicine with a wide range of health benefits. Recent studies have provided scientific evidence of its therapeutic effects with expanded appl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nti-melanogenic effect of barley sprout water extract (BSE) in murine melanocyte B16F10. Methods: Various concentrations (0, 50, 125, and $250{\mu}g/mL$) of BSE and arbutin (150 ppm) were applied to B16F10 stimulated with or without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100 nM) for 72 hours. The whitening potency of BSE was determined altered cellular melanin contents. Activity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were also assayed.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reatment with BSE reduced cellular melanin production by approximately 40% compared to the control. Molecular findings supported that suppressed activity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MITF proteins by BSE were associated with declined cellular melanogenesis. Furthermore, anti-melanogenic effect of BSE ($250{\mu}g/mL$) was similar to that of arbutin, a commonly used whitening agent. Lastly, polyphenols including p-coumaric, ferulic, and vanillic acids were identified in BSE using HPLC analyses. They might be potential active ingredients showing such melanogenesis-reducing effect. Conclusion: BSE was evident to possess favorable anti-melanogenic potency in an in vitro model. As a natural food sourced material, BSE could be an effective depigmentation agent with potential application in pharmaceutical and cosmetic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