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Korean speaker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초

Coarticulation and vowel reduction in the neutral tone of Beijing Mandarin

  • Lin Maocan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207-207
    • /
    • 1996
  • The neutral ton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tinguishing features in Beijing Mandarin, but there are two completely different views on its linguistic function: a special tone(Xu, 1980) versus weak stress(Chao, 1968). In this paper, the acoustic manifestation of the neutral tone will be explored to show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weak stress. 122 disyllabic words in which the second syllable carries the neutral tone, including 22 stress pairs, were uttered by a native male speaker of Beijing dialect and analysed by Kay Digital Sonagraph 5500-1. The results of the acoustic analysis are presented as follows: 1) The first two formants of the medial and the syllabic vowel moves towards that of central vowel with a greater magnitude in the syllable with the neutral tone than in the syllable with any of the four normal tones. Also the vowel ending, and nasal coda /n/ and / / in the syllable with the neutral tone tends to be deleted. 2) In the syllables with the neutral tone, there are strong carryover coarticulations between the medial and syllabic vowel and the preceding unvoiced consonant. In general, the vowel is affected to move towards the position of the central vowel with more greater magnitude by coronal consonant than by labial or velar consonant. 3) In the syllable with the neutral tone, when and only when it precedes a syllable with tone-4, the high vowel following [f], [ts'], [s], [ts'], [s], [tc'] or [c] tends to be voiceless. 4) It can be seen from the acoustical results of 22 stress pairs that the duration of the syllable with the neutral tone is on the average reduced to 55% of that of the syllable with the four normal tones, and the duration of the final in the syllable with neutral tone is on the average reduced to 45% of that of the final in the syllable with the four normal tones(Lin & Yan 1980). 5) The FO contour of the neutral tone is highly dependent on the preceding normal tone(Lin & Yan 1993). For a number of languag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vowel space is reduced as the level of stress placed upon the vowel is reduced(Nord 1986). Therefore we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syllable with neutral tone is related to weak stress(Lin & Yan 1990). The neutral tone is not a special tone because the preceding normal tone.

  • PDF

The Aquisition and Description of Voiceless Stops of Spanish and English

  • Marie Fellbaum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274-274
    • /
    • 1996
  • This presents the preliminary results from work in progress of a paired study of the acquisition of voiceless stops by Spanish speakers learning English, and American English speakers learning Spanish. For this study the hypothesis was that the American speakers would have no difficulty suppressing the aspiration in Spanish unaspirated stops; the Spanish speakers would have difficulty acquiring the aspiration necessary for English voiceless stops, according to Eckman's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The null hypothesis was proved. All subjects were given the same set of disyllabic real words of English and Spanish in carrier phrases. The tokens analyzed in this report are limited to word-initial voiceless stops, followed by a low back vowel in stressed syllables. Tokens were randomized and then arranged in a list with the words appearing three separate times. Aspiration was measured from the burst to the onset of voicing(VOT). Both the first language (Ll) tokens and second language (L2) tokens were compared for each speaker and between the two groups of language speakers. Results indicate that the Spanish speakers, as a group, were able to reach the accepted target language VOT of English, but English speakers were not able to reach the accepted range for Spanish, in spit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f p<.OOl by speakers in both groups of learners. A closer analysis of the speech samples revealed wide variability within the speech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Not only is variability in English due to the wide range of VOT (120 msecs. for English labials, for example) but individual speakers showed different patterns. These results are revealing for the demands requied in experimental designs and the number of speakers and tokens requied for an adequate description of different languages. In addition, a simple report of means will not distinguish the speakers and the respective language learning situation; measurements must also include the RANGE of acceptability of VOT for phonetic segments. This has immediate consequences for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involving aspirated stops. In addition, the labelling of spoken language in speech technology is shown to be inadequate without a fuller mathematical description.

  • PDF

모바일 기반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3D전래동화 콘텐츠 연구 (3D Graphic Nursery Contents Developed by Mobile AR Technology)

  • 박영숙;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25-213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증강현실기술 기반을 활용한 3D전래동화 콘텐츠에 관한 연구이다.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콘텐츠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공간을 연결하는 SW기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전래동화를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자막언어선택으로 외국어학습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 AR게임(놀이)으로 재구성하였다. 전래동화는 3D 콘텐츠 제작을 위해 6~8개의 scene으로 분량을 구성하고, 각색하여 번역하였다. 더빙은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 성우를 통해 표준발음을 사용하여 더빙하였고, 효과음은 장면에 어울리도록 별도 제작하여 편집하였다.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3D 모델구성, 인터렉션 구성, 사운드 이펙트를 구성하고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작성한 후, Unity 3D 게임엔진을 실행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스크립터로 기술한다. 재미있고 유익한 전래동화를 ICT기술을 접목한 융복한 콘텐츠로 경험하면서, 첨단기술기반 교육을 수용하며, 생활주변에서 소프트웨어를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객관화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Use of Objectification Strategy in Academic Writing)

  • 김한샘;배미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49권
    • /
    • pp.95-126
    • /
    • 2017
  • 이 논문은 학습자의 학술적 텍스트와 모어 화자의 학술 텍스트를 비교해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의 객관화 전략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객관화 전략은 학문적 탐구의 결과를 보편성과 타당성을 갖추어 과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적용하는 담화 기제로서의 객관성을 갖추기 위해 필자가 사용하는 전략이다. 이 연구에서는 객관화 전략의 언어적 표지를 관련된 의도성, 정확성, 완화 등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객관화 표지가 관련 기제들을 나타내는 표지와 일부 겹치기는 하지만 개념은 변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객관화 표지는 크게 연구 결과의 상태성을 강조하는 것과 연구 주체를 연구 결과와 분리하는 것, 연구 내용을 일반화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속 표현과 명사화 구문은 상태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비인칭 표현, 피동 표현, 자기인용 등은 주장하는 바와 필자의 거리를 유지하게 하며, 1인칭 대명사와 접미사 등을 통한 복수화는 연구 내용을 일반화 하는 데에 기여한다. 모어 화자 말뭉치와 비교하여 학습자 말뭉치를 분석한 결과 연구 결과의 상태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모어 화자에 비해 '-고 있다'는 더 많이 사용하는 반면, '-(으) ㄴ/는 것이다' 등의 문법적 연어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체의 분리를 위한 비인칭 표현의 사용이 학습자 말뭉치에서는 '본 연구'와 '본고'에만 집중된 반면 모어 화자는 '본고, 본 연구, 본 논문, 본장 등'과 '이 연구, 이 논문, 이 장 등'이 고른 분포로 나타났다. 복수화를 통한 연구 내용의 일반화는 모어 화자 말뭉치에서 활발하게 구현되었다. 이 연구는 객관성 구현의 관점에서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담화 표현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