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name

검색결과 1,515건 처리시간 0.029초

불어권 언론 매체의 동해 표기 명칭 고찰 (A Study on the Name of East Sea in the Francophone Media Source)

  • 임은진;이상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45-760
    • /
    • 2016
  • 지명은 특정 물리적 공간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권력 관계를 표상하고 있다. 특히 동해는 우리나라 영역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명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는 일본해와 경쟁관계에 있는 지명이다.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동해 지명 확산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점차 그 권력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랑스를 제외한 주요 불어권 국가의 방송사 신문사의 실제 기사와 방송 내용 분석을 통해 동해 관련 표기 명칭의 현 상황을 도출하고, 프랑스에서 생산된 표기 명칭이 불어권 각 국가로 확산되는 과정과 영향력을 지명의 권력 관계 측면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불어권 국가 중 북아프리카의 알제리, 서유럽의 벨기에, 룩셈부르크, 캐나다 퀘벡을 주요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북아프리카 알제리와 룩셈부르크 언론 매체는 동해 표기에 비호의적인 경향을 보인 반면, 벨기에와 퀘벡은 비교적 호의적이었다. 대체로 불어권 국가들은 프랑스의 AFP 통신으로부터 보도 자료를 제공 받고 있었는데, 동일한 기사라 하더라도 각 국가나 언론사에 따라 일본해 단독 표기를 고수하려는 매체가 있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동해를 병기 표기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이를 통해 지명 확산과 전파의 사회적 정치적 이해 관계와 지명에서 나타난 권력관계, 대중적 지정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PDF

국가도메인 네임 등록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국제 비교 (International Benchmarking on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Country Domain Name)

  • 김소라;전효정;김태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2호
    • /
    • pp.2434-2442
    • /
    • 2015
  •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도래하면서 각 개체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도메인 네임, IP주소, OID 등의 인터넷주소자원이 식별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주소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인터넷주소자원 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 인터넷주소자원이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지 가늠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가 도메인 네임에 대하여 OECD 가입국 중 18개 국가를 대상으로 국가도메인 네임 등록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우리나라에 출현하는 두족류 이름 (Korean Name of Cephalopods in Korea)

  • 김영혜;전영열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1-175
    • /
    • 2010
  • 두족류의 우리말 사용에 따른 혼란을 해결하고, 한국산 두족류 총 목록 작성의 예비연구로써 이미 국내에 보고된 분류군의 우리말 이름을 수집 조사하였다. 우리말 이름을 가진 두족류의 어원과 조사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제시하고, 우리말 통일 작업이나 제정에 필요한 원칙을 제언하였다. 제언을 토대로 갑오징어목 2고 14종, 오징어목 7과 17종, 문어목 3과 7종에 대한 우리말 이름을 재정립하였다.

한국 공공도서관명 변화 분석 연구 - 2015-2020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the Name of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From 2015 to 2020)

  • 박성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91-312
    • /
    • 2022
  • 본 연구는 도서관명의 변화 분석을 통해 도서관계의 주요한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등록된 도서관명을 이용하여 변화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년 동안의 도서관명 변화 과정 속에서 총 211건의 변화를 발견하였고 이들을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도서관계에서의 운영주체 논란과 청소년서비스에 대한 관심 증가, 도서관 주제 특성화, 공모전을 통한 도서관명 결정 등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위치찾기 선진화를 위한 국가지점번호 도입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Point Number for Advanced Location-Finding)

  • 양성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1-157
    • /
    • 2013
  • 1997년부터 도로명을 기준으로 주소를 나타내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지번 방식의 주소에서 도로의 왼쪽에 위치한 건물에 홀수번호를 오른쪽에 위치한 건물에는 짝수번호를 부여하는 도로명 기준의 주소로 변화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도로명주소에 의한 위치표시는 가능하나, 전 답 산악 지역에 대한 위치표시체계는 미흡하여 범죄와 응급 구조에 신속히 대처할 수 없다. 이러한 비거주지역에서의 위치찾기 어려움의 도로명주소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가지점번호가 도입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국가지점번호 도입을 돕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점번호를 위한 영토 중심의 기준점과 격자 범위, 그리고 부여체계로 두 글자의 한글과 x, y 좌표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지점번호 고시대상지역, 지점번호판 설치위치와 민간 및 공공분야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UML 클래스 도해의 처리도구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정보 구축 (Information of Metadata Structure for an Authorization Tool of UML Class Diagram)

  • 김재훈;김윤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1-65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UML 클래스 도해의 저작도구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정보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UML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 클래스를 모델링 할 때, 표현되는 클래스(Class)와 관계(Relationship)를 정의 하였다. 클래스는 어떠한 사물의 개념적인 것을 나타내며, name, attribute, operation 세 가지로 정의하였다. 관계는 클래스와 클래스 사이의 관계를 뜻하며, 관계의 이름, From클래스, To클래스, 관계의 유형을 정의한다. 그리고 UML 클래스 도해의 처리도구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Revision of the Scientific Name for "Min-be-do-ra-chi" Identified Previously as Zoarchias glaber in Korea

  • Kwun, Hyuck Joon;Kim, Jin-K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401-404
    • /
    • 2015
  • The Korean stichaeid fish "Min-be-do-ra-chi", reported previously as Zoarchias glaber, is reviewed taxonomically and described on the basis of a single specimen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Min-be-do-ra-chi" was identified as Z. major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shaped markings on the dorsal and anal fins, 31 dorsal fin spines, 78 dorsal fin soft rays, 87 anal fin soft rays, and 109 vertebrae. In contrast, Z. glaber has triangular markings on the dorsal and anal fins, 92-96 anal fin soft rays, and 112-122 vertebrae.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cientific name of this species reported previously as Z. glaber should be changed to Z. major.

First Korean Record of Porcellanopagurus japonicus (Decapoda: Paguroidea), a Hermit Crab Living in Bivalve Shells

  • Jung, Jibom;Lee, Sang-Hu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4호
    • /
    • pp.391-395
    • /
    • 2020
  • This study reports the pagurid hermit crab Porcellanopagurus japonicus in Korean waters for the first time. This species has a right cheliped larger than the left one, reduced and globular abdomen, and symmetrical uropods. Porcellanopagurus japonicus is similar to P. nihonkaiensis, a previously reported congeneric species in Korea, but also has distinguished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s. There are currently issues with the Korean scientific name for P. japonicus, we suggest a reasonable Korean scientific name of this organism with its etymology. In addition, this species inhabits bivalve shells, which is not a typical habitat for hermit crabs, and the unique habitats of this and several other Korean hermit crabs are reviewed.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의 원인과 과정 -전북 진안군 지명을 사례로- (Cause and Process of Place-Name Change by Social Influence : A Case Study of Jin-An Region)

  • 조성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26-54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의 사례로 전라북도 진안군 지역의 유교식 지명과 주줄산의 지명 대체 과정을 살펴봤다. 진안군의 주천면, 정천면, 안천면의 지명(면명)은 유교사회의 이상향에 부합하는 자연 조건과 유교 사회라는 사회적 조건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어, 기존의 지명을 대체한 사례이다. 이 지역의 지명은 유교 사회라는 사회적 상황과 이와 부합하는 자연 조건의 결합에 의한 의도적이고 상징적인 지명 형성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자연지명인 하천명으로 도입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면명으로 채택되었다. 그리고 좁은 지역의 지형적 특징을 반영하는 일반적인 유연성 지명과는 달리, 유역 전체를 상징적 체계로 일관성 있게 지명을 부여했기 때문에 자연 조건보다는 사회적 영향이 더 큰 역할을 했다. 주줄산에서 운장산으로의 지명(산명) 대체는 자연 조건의 변화 없이 순수한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이다. 주줄산으로만 사용되었던 산명이, 운장산과 병립하여 사용되고, 운장산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과정을 거쳤으며, 교체 시기는 1910년대이다. 주줄산보다는 운장산이 발음이나 한자의 난이도에서 장점이 있으며, 같은 산체인 구봉산이 근원이 되어 운장산이라는 산명이 등장했고,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특정 인물(송익필)의 관련설은 운장산이라는 산명 교체를 합리화하는 과정에서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