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se and Process of Place-Name Change by Social Influence : A Case Study of Jin-An Region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의 원인과 과정 -전북 진안군 지명을 사례로-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is study look into the place-name change by social influence around Jin-An region. The place-names were made through joining natural environment with social condition. The place-names were born as a river name firstly, and it was selected as the artificial administration district name in this region(Ju-Chon, Jeong-Chon, An-Chon). Generally the place-name is reflected by a terrain feature of narrow area but this region's place name was made by wide river drainage area as a system. It is different point to others place-name and the social factor played more important role than natural environment in this process. The displacement process of mountain name which is from Ju-Jul to Un-Jang was through social situation change without the natural conditions change. It was used to the Ju-Jul firstly and coexistent the Ju-Jul with Un-Jang and only use the Un-Jang recently. Formal change period was 1910s in the map, Mt. Un-Jang(雲長山) had the advantage at the pronunciation and written than Mt. Ju-Jul. Mt. Gu-Bong(九峰山) was played important role for new mountain name and Song Ik-Pil(宋翼弼) was appeared for rationalization of Mt. Un-Jang.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의 사례로 전라북도 진안군 지역의 유교식 지명과 주줄산의 지명 대체 과정을 살펴봤다. 진안군의 주천면, 정천면, 안천면의 지명(면명)은 유교사회의 이상향에 부합하는 자연 조건과 유교 사회라는 사회적 조건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어, 기존의 지명을 대체한 사례이다. 이 지역의 지명은 유교 사회라는 사회적 상황과 이와 부합하는 자연 조건의 결합에 의한 의도적이고 상징적인 지명 형성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자연지명인 하천명으로 도입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면명으로 채택되었다. 그리고 좁은 지역의 지형적 특징을 반영하는 일반적인 유연성 지명과는 달리, 유역 전체를 상징적 체계로 일관성 있게 지명을 부여했기 때문에 자연 조건보다는 사회적 영향이 더 큰 역할을 했다. 주줄산에서 운장산으로의 지명(산명) 대체는 자연 조건의 변화 없이 순수한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이다. 주줄산으로만 사용되었던 산명이, 운장산과 병립하여 사용되고, 운장산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과정을 거쳤으며, 교체 시기는 1910년대이다. 주줄산보다는 운장산이 발음이나 한자의 난이도에서 장점이 있으며, 같은 산체인 구봉산이 근원이 되어 운장산이라는 산명이 등장했고,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특정 인물(송익필)의 관련설은 운장산이라는 산명 교체를 합리화하는 과정에서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