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name

검색결과 1,515건 처리시간 0.029초

Korean-Chinese Person Name Translation for Cross 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 Wang, Yu-Chun;Lee, Yi-Hsun;Lin, Chu-Cheng;Tsai, Richard Tzong-Han;Hsu, Wen-Lian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489-497
    • /
    • 2007
  • Named entity trans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information retrieval and machine translation. In this paper, we focus on translating person names, the most common type of name entity in Korean-Chinese cross 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KCIR). Unlike other languages, Chinese uses characters (ideographs), which makes person name translation difficult because one syllable may map to several Chinese characters. We propose an effective hybrid person name translation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KCIR. First, we use Wikipedia as a translation tool based on the inter-language links between the Korean edition and the Chinese or English editions. Second, we adopt the Naver people search engine to find the query name's Chinese or English translation. Third, we extract Korean-English transliteration pairs from Google snippets, and then search for the English-Chinese transliteration in the database of Taiwan's Central News Agency or in Google. The performance of KCIR using our method is over five times better than that of a dictionary-based system. The mean average precision is 0.3490 and the average recall is 0.7534. The method can deal with Chinese, Japanese, Korean, as well as non-CJK person name translation from Korean to Chinese. Hence, it substantial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KCIR.

  • PDF

한국인 저자 전거에 관한 국가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uthority Records for Korean Writers Among Countries)

  • 김송이;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79-403
    • /
    • 2015
  • 저자 전거 관리는 저자 정보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저자명의 이형을 모아 접근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용자에게 유용하다. 본 연구는 한국문학번역원의 한국문학 작가명 데이터베이스(문인DB)와 한국과 미국, 일본의 국립도서관이 구축한 한국인 저자 전거레코드의 구축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인 저자 전거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문인DB는 번역출간도서의 정보가 상당수 기입되지 않았고 미의회도서관과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의 전거레코드는 저자명 누락, 잘못된 저자명 기입, 출생년과 사망년의 미표기 등 항목 누락과 오기가 발견되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은 영문 이형 및 한자 이형이 기입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인DB 정보의 수정 및 갱신, 국립중앙도서관의 전거레코드 공개, 한국문학번역원과 국립중앙도서관 등 주요 기관을 중심으로 한 국제전거 파일(VIAF)의 참가를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영남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경우- (A Study on Village Names of Youngnam Provinces : the Cases of Changnyeong-Gun, Bonghwa-Gun and Namhae-Gun)

  • 박태화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4
    • /
    • 1999
  • 본 연구는 영남지방의 지리적 성격이 상이한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촌락명을 분석하였다. 지명의 명명은 인간의 환경지각의 결과이고, 또 지명에는 그 당시의 문화가 각인되어 있다고 본다. 그래서 지명이 포함하고 있는 주요 지리적 개념, 지명의 어구조, 개념구성의 결합관계 등을 구명하여 지역차를 고찰한 것이다. 첫째 지리학의 개념별로 보면 산지지역인 봉화군은 자연에서, 평야지역인 창녕군과 도서지역인 남해군은 인문에서 인식한 촌락명이 상대적으로 많아 지역차를 보인다. 둘째 지명 어구조의 전 후어에서 전어는 주로 작명으로 사용된 고유명인데, 촌락의 문화경관, 위치, 변천을 설명하고 있다. 후어는 지명을 분류하는 유형 명으로 촌락의 자연환경, 촌락 공동체 표현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셋째 개념 구성은 봉화군은 자연 그대로, 창녕군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 과정, 남해군은 상호작용의 결과가 인식, 명명되어 역시 상이한 지역성을 보이고 있다.

  • PDF

신참이물동명 Caligus latus Kim, 1995의 대치명 Caligus parvilatus의 제안(갑각 강,요각 아강,물이 과) 및 수컷의 기재 (Caligus parvilatus n. nov., a Replaced Name of Caligus latus Kim, 1995 (Crustacea, Copepoda, Caligidae), with Description of Male)

  • Il-Hoi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2호
    • /
    • pp.117-120
    • /
    • 1998
  • Caligys latus Kim, 1995는 C. latus Byrnes, 1987의 신참이물동명으로서, 전자의 학명을 폐기하고 새로운 학명인 C. parvilatus를 부여하였다. 아울러 이 종의 수컷을 처음 기재하였다.

  • PDF

균류의 새로운 명명 규약과 일균일명 체계로의 전환 (Introductions of the New Code of Fungal Nomenclature and Recent Trends in Transition into One Fungus/One Name System)

  • 홍승범;권순우;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3-77
    • /
    • 2012
  • 곰팡이의 명명을 규정하는 규약이 '국제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ICBN)'에서 '국제 조류, 균류, 식물 명명 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ICN)'으로 바뀌게 되었다(2011.7). ICBN에서 ICN으로 바뀌게 되면서 많은 변화가 있지만 가장 큰 변화는 곰팡이의 이중명명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는다(2013. 1)는 것이다. 새로운 이름을 가질 곰팡이는 이 규칙에 따라 명명하면 되지만 문제는 2013년 1월 1일 이전에 완전세대와 불완전 세대에 근거하여 두 개의 이름을 이미 가지고 있는 10,000-12,000개의 곰팡이의 경우이다. 우선 ICN에는 이에 대한 혼란을 막기 위해서 2013년 1월 1일 전에 이전의 명명규약에 의하여 보고된 학명은 유효성과 합법성을 유지한 채 우선권의 원칙에 따라 서로 경쟁한다는 조항을 추가하였다. 하지만 결국은 세대에 관계없이 하나의 곰팡이 이름을 사용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세계 균학계는 곰팡이 분야별 작업반 또는 위원회를 결성하는 등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일균일명 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배경, 경과,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이 외에도 전자출판이 유효출판으로 인정(2012.1)되게 되었고, 영어신종기술도 정당출판으로 인정되게 되었으며(2012. 1), 또한 신종의 학명과 필수정보를 공인정보저장소에 등록하는 것이 의무화 된다(2013. 1). 곰팡이의 새로운 명명규약과 일균일명 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국제 균학계의 움직임을 국내에 한글로 쉽게 소개하였다.

Correction of the holotype citations of three vascular plants at the herbari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

  • Jang, Hyun-Do;Oh, Hyun-Kyung;Hyun, Chang-Woo;Nam, Gi-Heu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218-220
    • /
    • 2020
  • A holotype is an element to which the name of a taxon is permanently attached and is key material that facilitates taxonomic research. However, type citation or designation errors due to typographical errors or inadvertent mistakes often exist. When reviewing recently published literature for the type specimens of vascular plants in the herbari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we observed that three species, Isoetes laosiensis, Isoetes coreana, and Huperzia jejuensis, had errors, and the actual holotype information and the type descriptions of the protologues did not match. The name Isoetes laosiensis had a collecting number error, while Isoetes coreana and Huperzia jejuensis had collector errors. According to Article 9.2 of th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Shenzhen code), if a holotype designation in the protologue of the name of a taxon is found to contain errors such as collector, collecting number, and illustration errors, the errors are to be corrected. We, therefore, corrected the errors in holotypes of three species, with no alterations made to the intents of the original authors.

갯기름나물 약재명(식방풍(植防風))의 연원에 대한 고찰 (Review on the origin of herbal name, Sik-bang-pung, for the roo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 김정훈;김한영;도의정;이금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9-84
    • /
    • 2023
  • Objectives : Sik-bang-pung (植防風, Peucedani Japonici Radix), the roo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Apiaceae), has often been used as a substitute for Bang-pung (防風, Saposhnikoviae Radix) in the past, but recently it is treated as a counterfeit of Bang-pung or a kind of 'Jeonho (Peucedani Radix)'. Hence,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herbal name to provide appropriate usage of Sik-bang-pung. Methods : The classic and contemporary literatures regarding to the herbal medicines and botanical nomenclature were searched to find the herbal and botanical origins of Bang-pung and Sik-bang-pung, respectively. Result : The botanical descriptions of Bang-pung (防風) were consistent throughout the classic literatures and its botanical species was determined as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Apiaceae) in the compendium. In the literatures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Byeong-pung-na-mul' was recorded as the medicinal plant of Bang-pung, but its botanical species could not be confirmed. In Japanese literatures, Bang-gyu (防葵) was confirmed as Mok-dan-bang-pung (牡丹防風); botan-bōfū in Japanese), which was determined as the herbal name of the root of 'Gaet-girum-namul (P. japonicum)'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The roots of Gaet-girum-namul was medicinally named as Mok-dan-bang-pung (牡丹防風), Sik-bang-pung (植防風), or San-bang-pung (山防風) in the past decades in Korea. Among them, Sik-bang-pung might be chosen as the herbal name, but its nominal origin could not be found. Conclusions : The herbal name, Sik-bang-pung, was presumably affected by Japanese botanical nomenclature. Although its medicinal application is still controversial, Sik-bang-pung should be considered an independent herbal medicine.

국내 내셔널 남성복 브랜드명의 언어적 특성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Domestic National Men's Wear Brand Names)

  • 나수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103
    • /
    • 2014
  • In this study, 70 national brands among men's wear brands were selected to examin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domestic national men's wear brand names. Linguistic factors which were used in national men's wear brand name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Formative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name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long words with over four syllables are preferred than short words and single words in the form of noun are frequently used for domestic national men's wear brand names in terms of linguistic formality. English is most widely used in brand names, and European languages such as French, Spanish, and Italian are also used frequen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untry of origin. Next, the analysis result on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domestic national men's wear brand names showed that descriptive brand names are used to convey brand information directly and easily, or freestanding brand names which are absolutely irrelevant and newly coined words are chosen to create a characteristic image. In other words, brand names represent detailed business and product category of men's wear by forming a brand image of men's wear (ex. Man, Homme, Zio), and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properties and benefits related to the product such as dignity, masterpiece, and luxurious lifestyle to consumers by presenting the concept of the brand.

  • PDF

길찾기 과정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선형 객체 매칭 방법 (Line Matching Method for Linking Wayfinding Process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방윤식;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5-123
    • /
    • 2016
  • 지난 2012년부터 도로명주소가 본격 시행 및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 부분에서는 기존의 지번주소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인들의 공간 인식체계와 도로명주소의 공간 구조화 방식의 간극으로 인한 문제이다. 따라서 도로명주소 기반의 공간 인식 체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생활 속에서 활용되는 각종 공간정보들이 도로명에 의하여 주소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 인식 과정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는 길찾기 과정에서의 도로명주소 체계의 연계를 목적으로,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데이터의 기하학적 매칭 방법론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에 대하여, 개별 도로 객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이웃을 생성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이웃 집합 간의 기하학적 유사도 비교를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의 각 객체에 매칭되는 도로구간을 탐색하였다. 매칭 성능은 F0.5 값을 기준으로 0.936의 결과를 얻었으며, 유사도 값을 기준으로 10% 수동 검사를 수행한 결과 이 값을 0.978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매칭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 도로명 정보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한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및 공간 인식체계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치지도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매칭 및 속성 융합 방안 - 도로중심선 레이어를 중심으로 - (Matching and Attribute Conflating Method for Linking the Digital Map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Focused on the Road Centerline Layer -)

  • 방윤식;가칠오;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9-388
    • /
    • 2012
  •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도로명주소 체계가 시행 및 활용되고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국가기본도인 수치지도는 현재 도로명주소 체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관계로 도로명주소 체계하에서의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에 도로명주소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확장형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먼저 도로명주소 지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레이어와의 중첩 분석을 통하여 두 레이어의 객체간 매칭 관계를 도출였으며, 두 레이어의 속성항목 분석을 통하여 도로명주소 지도에서 수치지도로 추가할 속성항목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도로명주소 지도의 도로명주소 관련 속성정보들을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데이터로 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속성 확장된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레이어는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른 도로명 정보를 속성으로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수치지도 활용시에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른 위치참조가 가능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