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sopharynx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8초

소아 비인강에서 발생한 점액표피양암종 1례 (A case of nasopharyngeal mucoepidermoid carcinoma in a 5 year-old female patient)

  • 윤소연;김미주;김민범;홍현준;송기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9-92
    • /
    • 2018
  •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only represent 0.08% of all childhood tumors. Especially, nasopharyngeal mucoepidermoid carcinoma(MEC) in pediatric age is an extremely rare malignancy. We hereby report a case of nasopharyngeal MEC in 5 year-old female patient. The patient underwent the complete removal of the tumor by endonasal endoscopic approach. Adjuva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not considered. After 3.5 years of follow-up, there are no sign of recurrence and metastasis. Minor salivary gland tumor must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angiofibroma in nasopharynx in pediatric age. To our knowledge, the case we describe is the third case of nasopharyngeal MEC in pediatric age reported in literature.

Comparison of two techniques for transpharyngeal endoscopic auditory tube diverticulotomy in the horse

  • Koch, Drew W.;Easley, Jeremiah T.;Nelson, Brad B.;Delcambre, Jeremy J.;McCready, Erin G.;Hackett, Eileen S.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19권6호
    • /
    • pp.835-839
    • /
    • 2018
  • Auditory tube diverticula, also known as guttural pouches, are naturally occurring dilations of the auditory tube in horses that communicate with the nasopharynx through a small ostium. Infection and select other conditions can result in inflammation and narrowing of the nasopharyngeal ostium, which prevents drainage of fluid or egress of air and can lead to persistent infection or guttural pouch tympany. Auditory tube diverticulotomy allows continuous egress from the auditory tube diverticula and is a feature of disease treatment in horses, in which medical treatment alone is not successful. Transpharyngeal endoscopic auditory tube diverticulotomy was performed using a diode laser either at a single dorsal pharyngeal recess location or bilaterally caudal to the nasopharyngeal ostium in 10 horse head specimens. Both methods resulted in clear communication between the nasopharynx and auditory tube diverticula. Diverticulotomy performed in the dorsal pharyngeal recess required less laser energy and activation time and had a shorter surgical duration than diverticulotomy performed caudal to the nasopharyngeal ostium. Further study related to the clinical application of both techniques is warranted.

정상 교합자의 비인두와 Adenoid 성장에 관한 누년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the Growth Changes on Nasopharynx and Adenoid of the Korean with Normal Occlusion)

  • 지명주;박경덕;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3-387
    • /
    • 1996
  • 본 연구는 비인두와 adenoid의 성장발육 양상을 조사하여 부정교합자의 진단에 있어 비호흡 기능 평가시 유용한 기준을 얻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남자 19명, 여자 14명, 총 33명의 정상 교합자를 대상으로 8.5세부터 18.5세까지 촬영된 10년간의 누년적 측모 두부 X선 규격사진을 연구 자료로 비인두와 adenoid 부위의 거리와 면적 및 상대적 기도 비율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연령(8.5세-18.5세)에서 남녀별 각 계측항목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얻었다. 2. 비인두의 height와 depth는 남자에서 14.5세까지, 여자에서 12.5세까지 성장하였다.(p<0.05). 3. 비기도의 상대적 면적은 8.5세에 최소치를 나타내었고 남자는 10.5세부터 12.5세 사이에, 여자는 12.5세부터 14.5세 사이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4. 비기도의 상대적 면적과 비기도 관련 계측항목 간의 상관분석에서 Ad2-PNS, Ad2-PNS/Ho'-PNS 및 Upper pharynx가 남녀 모두 전 연령구간에서 비기도의 상대적 면적과 상관성이 있었다 (p<0.01).

  • PDF

기능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편도 절제술 전 후의 pharyngeal airway, hyoid bone, head postur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PHARYNGEAL AIRWAY, HYOID BONE AND HEAD POSTURE BEFORE AND AFTER TONSILLECTOMY IN FUNCTION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원서;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1-243
    • /
    • 1997
  • 본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대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Enlarged tonsil을 보이는 기능성 3급 부정교합자는 1급 부정교합자보다 혀는 전방에 위치하고 설골은 하방에 위치한다. 2. Tonsillectomy 후에 편도 절제술전과 비교하여 혀는 후방에 위치하고, nasopharynx은 증가 양상을 보이며, 설골은상, 후방에 위치하며 counterclockwise rotation 양상을 보인다. 3. Tonsillectomy 후에 nasopharynx depth변화와 하악 전치 경사도, 혀의 수직적 변화와 cranial base에 대한 hyoid axis, hyoid의 수직적, 수평적 변화와 두경부 경사도, 두경부 경사도와 하악 전치간에 95% 유의수준으로 상관성을 보인다. 4. Tonsillectomy 후에 설골 장축의 counterclockwise rotation시 hya-NL의 감소와 nasopharyx의 증가를 보이고, 혀의 거상시 hya-NL의 감소를 보이며, 혀의 후방위치시 h-h1의 증가와 hya-ba-n의 감소를 보인다.

  • PDF

비 인두 자기공명 검사 시 최적의 진단영상 장치 선택에 관한 정량, 정성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Quantitative, Qualitative Analysis on Optimizing Diagnostic Imaging Device Selection in Nasopharynx MRI)

  • 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035-10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1.5 T와 3.0 T 비 인두 MRI 검사 후 SNR과 CNR을 평가하여 최적의 Tesl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0명의 PACS로 전송된 Nasopharynx MRI검사 환자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장비로는 1.5 T, 3.0 T MRI 장비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T1 WI과 T1 지방소거 영상에서 각 Tongue, Spinal Cord, Masseter Muscle, Fat, Parotid Gland, Tumor의 조직에 대하여 일정한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SNR와 CNR을 평가하였다. 6가지의 조직에 대하여 정량적 분석으로 SNR과 CNR을 평가하였고, 정성적 분석으로 균일한 지방소거, 자화 감수성 인공물에 대한 영상의 질을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데이터 분석의 통계적 유의성은 독립표본 T검증과 Wilcoxon Signed Ranks사용하였으며, p 값이 0.05이하일 때 유의성을 두었다. 본 실험에 대한 정량적 평가 결과 T1 WI 과 T1 지방소거를 1.5 T와 3.0 T를 비교했을 때 T1 WI에 대한 3.0 T가 평균 SNR(124.75±), CNR(118.91±)로 정량적 분석에서 SNR과 CNR값이 1.5 T평균 SNR(73.15±), CNR(60.5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T1 지방소거에서 3.0 T가 평균 SNR(101.10±), CNR(81.24±)로 1.5 T의 평균 SNR(78.47±), CNR(65.7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으로 균일한 지방소거, 자화 감수성 인공물에 대하여 4등급으로 평가했을 때 1.5 T 장비가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결론적으로 두 기기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 정량적 평가부분 에서는 3.0 T 장비가 높게 나타났고 정성적 평가 부분에서는 1.5 T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각 장비에 대한 장단점을 고려할 때 상호보완적으로 장비를 선택하여 환자에게 적용한다면 최적의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비인두암 토모테라피 시 체중 감소에 따른 피부선량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Skin Dose During Weight Loss when Tomotherapyof Nasopharynx Cancer)

  • 장준영;김대현;최천웅;김보희;박철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99-104
    • /
    • 2016
  • 항암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여 두경부암을 치료하는 환자의 경우 항암요법과 방사선치료를 거듭할수록 구토, 메스꺼움, 식욕부진 등의 이유로 환자의 체중 감소가 생기게 된다. 체중 감소는 목의 두께 변화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료하고자 하는 t 타겟과 주위 정상조직의 선량 전달에도 영향을 미치며 방사선이 전달되는 방향에 위치한 피부선량의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비인두암 환자의 경우 비인두 구조가 다른 장기보다 복잡한 구조를 지니고 있고 치료방법인 토모테라피는 수 mm 차이로 급격한 선량 변화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체중 감소의 변화에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현재 토모테라피의 경우 매 회 치료 전 정확한 자세 재현을 위한 영상 검증을 통해 이러한 움직임을 확인하고 그 값을 보정하여 치료를 수행한다. 그러나 환자의 체중 감소로 인하여 피부선량에 전달되는 선량 변화의 검증은 되지 않고 있다. 환자의 피부선량이 증가함으로써 나타나는 부작용은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2차 암 발생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환자의 체중 감소로 인하여 나타나는 환자의 목 두께를 휴먼 팬톰에 볼루스를 올리고 두께를 조절해가며 변화시켜 필름을 이용하여 피부선량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비인강암의 방사선치료 : RTOG에서 제시한 PPC와 생존율에 대한 고찰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PC (Probability of Primary Clearance: a multivariate modelling system predicting tumor clearance proposed by RTOG) and Survival in the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Nasopharynx following Radiation Therapy)

  • 조관호;박경란;오원용;전미선;서창옥;김귀언;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1호
    • /
    • pp.45-50
    • /
    • 1986
  • 1984년 RTOG에서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방사선치료시, 원발병소의 완전관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Multivariate Modelling System을 제시하였다. 저자들은 1971년 1월부터 1983년 12월까지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된 비인강암으로 연계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타,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여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81예를 대상으로, 그들이 제시한 system에 의해 계산된 PPC(Probability of Primary Clearance : 원발병소 완전관해 가능성)와 생존율과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전례를 대상으로 한 5년 생존율은 $36\%$, 중앙생존기간은 39개월이었다. 편의상, PPC에 따라 3군으로 구분하였고, 각군에 따른 생존율은 Group 1 (PPC가 $81\%$이상인 27예)은 $66\%$(중앙생존기간: 72개월 이상), Group 2(PPC가 $71\~80\%$의 20예)는 $27\%$(31개월) 및 Group 3(PPC가 $70\%$ 이하의 29예)의 $4\%$(12개월)순이었다. 그러고 각 Group간의 PPC와 생존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구개열환자에서 비인두공간과 비인강폐쇄부전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NASOPHARYNGEAL SPACE AND VELOPHARYNGEAL INCOMPETENCE IN CLEFT PALATE)

  • 조준희;최병재;심현섭;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17-523
    • /
    • 2000
  • 비인강폐쇄는 연구개, 인두측벽 그리고 인두후벽간의 움직임이 서로 조화되어 구강과 비강을 나누어주는 괄약근 기전으로서 연하, 호흡 및 발음 등의 생리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를 비인강폐쇄부전이라하며 그 원인으로는 (1) 연구개의 길이 및 움직임이상, (2) 비인두강의 해부학적 공간문제, (3) 인두후벽과 측벽의 기능이상 등이 있다. 본 연구는 구개열 환자의 측면두부방사선 사진을 통해 비인두강을 해부학적으로 분석하고 동시에 산출된 각 모음의 과비음 정도를 평가하여 비인강폐쇄부전과의 연관성을 비교해 본 것이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개 길이는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짧았다. 2. adequate ratio는 정상인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3. adequate ratio가 감소함에 따라 모음 조음시 anatomic mVPI가 점차 증가하였다. 4. 각 모음 조음시 anatomic VPI는 과비음정도와 비례관계를 보였다. 5. 고모음(/u/, /i/)의 과비음정도가 저모음(/a/)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개열환자에서 측면두부방사선 사진은 비인강폐쇄부전의 진단 및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비인두강의 해부학적 구조는 산출되는 과비음정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 PDF

전정맥 전신마취하(下) 복강경 수술환자의 부위별 심부체온의 변화 평가 (Core Temperature Evaluation in Different Body Parts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e Surgery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 함태수;김원호;김남초;유제복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9-386
    • /
    • 2015
  • Purpose: The trend of body temperature chang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and the most adequate site for monitoring temperature measurements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oroughly. In this study body temperature chang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was measured and measurements of the tympanic, esophageal, and nasopharyngeal core temperatures in surgical patients with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ere compared. Methods: From February to October 2013, 28 laparoscopic surgical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The patients' core temperature was measured 12 times at ten minute intervals from ten minutes after the beginning of endotracheal intubation. Results: Repeated measure of core temperature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ody part (p=.033), time of measure (p<.001) and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body part and time of measure (p<.027). The core temperatures were highest at tympany location, lowest at nasopharynx. The amount of temperature change was least for the esophagus ($36.10{\sim}36.33^{\circ}C$), followed by nasopharynx and tympany. Conclusion: The esophageal core temperature showed the highest stability followed by nasopharyngeal and tympanic temperature. Therefore, close observations are required between 10~20minutes after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Significance of Expression of Human METCAM/MUC18 in Nasopharyngeal Carcinomas and Metastatic Lesions

  • Lin, Jin-Ching;Chiang, Cheng-Feng;Wang, Shur-Wern;Wang, Wen-Yi;Kwan, Po-Cheung;Wu, Guang-J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245-252
    • /
    • 2014
  • Human METCAM/MUC18, a cell adhesion molecule (CAM) in the immunoglobulin-like gene super family, plays a dual role in the progression of several epithelium cancers; however, its role in the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remains unclear. To initiate the study we determined human METCAM/MUC18 expression in tissue samples of normal nasopharynx (NP), NPCs, and metastatic lesions, and in two established NPC cell lines. Immunoblotting analysis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in lysates of frozen tissues, and immunohistochemistry (IHC) for expression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of 7 normal nasopharynx specimens, 94 NPC tissue specimens, and 3 metastatic lesions. Human METCAM/MUC18 was expressed in 100% of the normal NP, not expressed in 73% of NPC specimens (or expressed at very low levels in only about 27% of NPC specimens), and expressed again in all of the metastatic lesions. The level of human METCAM/MUC18 expression in NPC tissues was about one fifth of that in the normal NP and metastatic lesions. The low level of human METCAM/MUC18 expression in NPC specimens was confirmed by a weak signal of RT-PCR amplification of the mRNA. Low expression levels of human METCAM/MUC18 in NPC tissues were also reflected in the seven established NPC cell lines. These findings provided the first evidence that diminished expression of human METCAM/MUC18 is an indicator for the emergence of NPC, but increased expression then occurs with metastatic progression, suggesting that huMETCAM/MUC18, perhaps similar to TGF-${\beta}$, may be a tumor suppressor, but a metastasis promoter for N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