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noplatele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산화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릿을 혼입한 에폭시 도료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Paints Containing Oxidized Graphene Nanoplatelet)

  • 서원우;김규용;윤민호;황의철;백재욱;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3-154
    • /
    • 2017
  • Graphene is a nanomaterial and is known to have very high mechanical strength,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However, graphene is known to be difficult to disperse among carbon-based materials due to van der Waals force. In this study, to solve the dispersion problem of graphene nanoplatelet, oxidized graphene nanoplatelet was prepared by oxidizing GNP in nitric acid. The prepared GO was dispersed in ethanol and distilled water before incorporation into the epoxy paint to confirm dispersibility. In addition, GNP/Epoxy and GO/Epoxy tensile specimens were prepared by mixing GNP and GO at 0.1, 0.3, 0.5 and 1.0 wt.% In epoxy coatings and tensile stress-strai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 PDF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릿의 산화가 에폭시 도료의 역학적 특성 및 부착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xidation of Graphene Nanoplatele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Bonding Performance of Epoxy Paints)

  • 천성호;김규용;이상규;황의철;손민재;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1-32
    • /
    • 2019
  • In this study, oxidized graphene nanoplatelet(GO) was prepared by oxidizing graphene nanoplatelet(GNP) with nitric aci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ispersion of GNP, one of nano materials. GNP/Epoxy and GO/Epoxy paint were prepared by mixing GNP, GO with 0.1, 0.3, 0.5 and 1.0 wt.% in epoxy paint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As a result, GNP/Epoxy and GO/Epoxy paints showe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Neat Epoxy which did not incorporate GNP, GO. Especially, when 0.3 wt.% of GO was incorporated into epoxy resin, it showed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Neat Epoxy. It was confirmed that acid treatment of GNP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paint. However, graphene material was found that it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the bond performance of the epoxy paint.

  • PDF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릿의 산화가 에폭시 도막재료의 역학적 및 부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 (Oxidation Effect of Graphene Nanoplatele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Bonding Performance of Epoxy Paint Material)

  • 손민재;김규용;이상규;사수이;유하민;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1-182
    • /
    • 2020
  • In this study, oxidized graphene nanoplatelet(GO) was prepared by oxidizing graphene nanoplatelet(GNP) with nitric aci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ispersion of GNP, one of nano materials. GNP/Epoxy and GO/Epoxy were prepared by mixing GNP, GO with 0.1, 0.3, 0.5 and 1.0 wt.% in epoxy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bond performance were evaluated. As a result, GNP/Epoxy and GO/Epoxy showed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Neat Epoxy at the 0.1, 0.3 wt.%. Especially, when 0.1 wt.% of GO was incorporated into epoxy resin, it showed highest tensile strength. It was confirmed that acid treatment of GNP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paint. However, graphene material was found that it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the bond strength of the epoxy paint.

  • PDF

산화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릿을 강화제로 사용한 에폭시 도료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Paint using Oxidized Graphene Nanoplatelet as a Reinforcement)

  • 서원우;김규용;윤민호;이보경;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65-4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릿(Graphene nanoplatelet ; GNP)의 분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질산으로 이를 산화시켜 GO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GO를 에폭시 도료에 혼입하기 전, 푸리에변환적외선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을 이용한 화학조성 분석과 용매에서의 분산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후, GNP, GO를 에폭시 도료에 0.1, 0.3, 0.5, 1.0wt.% 혼입하여 GNP/Epoxy, GO/Epoxy 도료를 제조하고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FT-IR 분석을 통해 GO에서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카르복시기 기능기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O는 GNP보다 증류수와 에탄올에서 분산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GO/Epoxy 도료는 Neat Epoxy, GNP/Epoxy에 비해 역학적 특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0.3wt.% 혼입률에서 높은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GO를 에폭시 수지에 강화제로써 혼입할 경우 에폭시 도료의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핀과 유공유리분말을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Mechanical Behavior in Ultra-High Strength Concrete Utilizing Graphene and Hollow Glass Powder)

  • 서태석;변찬;김강민;이현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1-39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산화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릿(Oxidized graphene nanoplatelet, GO)와 유공유리분말(Hollow glass powder, HGP)를 활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위해 작업성, 강도(압축, 인장), 수밀성, 내부조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HGP 소량 투입으로 작업성능을 획기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었고 강도특성 및 수밀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GO(C사의 GO) 와 HGP는 응집현상 없이 분산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공극량은 2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GO와 HGP가 실리카 흄(Silica fume, SF)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cGO와 HGP의 사용으로 SF 없이도 쉽게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역학특성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재료의 사용으로 콘크리트 제조방법의 변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핀과 유공유리분말을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Autogenous Shrinkage in Ultra-High-Strength Concrete augmented with Graphene and Hollow Glass Powder)

  • 서태석;이현승;김강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47-558
    • /
    • 2023
  •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와 유동성 확보를 위해 실리카흄(SF)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산화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릿(Oxidized graphene nanoplatelet, GO)와 유공유리분말( Hollow glass powder, HGP)를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자기수축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SF를 사용한 Ref 배합보다 SF를 사용하지 않고 cGO(C사의 GO)와 HGP를 사용한 NewMix 배합의 자기수축이 13% 정도 감소하였다. NewMix의 자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은 Ref 보다 1일 정도 지연되었고 균열발생 시의 인장응력은 가장 높았다. cGO의 높은 비표면적과 우수한 분산성으로 콘크리트 내의 공극들이 충전 되어 자기수축이 감소하고 cGO에 의한 균열저항 성능이 증가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균열 제어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블록직선이송 방전연삭에 의한 미세전극 가공 및 그래핀 강화 알루미나 복합소재의 마이크로 홀 가공특성 (Fabrication of Micro-electrodes using Liner Block Moving Electrical Discharge Grinding and Characteristics of Micro-hole Machining of Graphene Nanoplatelet-reinforced Al2O3Composites)

  • 정현아;이창훈;강명창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9-156
    • /
    • 2017
  • Graphene nanoplatelet (GNP)-reinforced alumina ($Al_2O_3$) is a promising material for micro-partapplications, particularly micro-nozzle shapes, because of its excellent wearresistance. In this study, a $Al_2O_3$/GNPcomposite with 15 vol% graphene nanoplatelets (GNP) was highly densified and fabricated via spark plasma sintering for micro-electrical discharge drilling (Micro-ED drilling) and the wear resistance property of the composite is evaluated via the ball-on-disk method. In addition, the diameter and shape of the micro-electrodes machined by wire electrical discharge grinding (WEDG), block electrical discharge grinding (BEDG), and new linear block moving electrical discharge grinding (LBMEDG) methods are systematically compared and analyzed to observe the micro-hole machining in the micro-ED drilling of the $Al_2O_3$/15vol% GNP composite.

기능기화 된 그래핀 나노플레이틀릿이 첨가 된 탄소섬유 강화 고분자 복합소재의 제조 및 기계적 특성 연구 (Fabric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with Functionalized Graphene Nanoplatelets)

  • 차재민;김준희;류호진;홍순형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5호
    • /
    • pp.316-322
    • /
    • 2017
  • 탄소섬유는 매우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열적 특성을 가진 소재로써, 고분자를 매트릭스로 하는 복합재료로써 산업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 복합재료는 높은 강도 및 탄성을 가진 탄소섬유에 비해, 약한 고분자 매트릭스로 인한 분리 형상이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화재의 첨가가 필수적이다. 그래핀은 매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지닌 강화재로써, 첨가 시에 높은 물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그래핀 자체의 응집현상과 고분자 기지와의 약한 결합이 강화효과를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제시된 것이 기능기화 방법이며, 이를 통해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멜라민을 이용하여 그래핀 나노플레이틀릿의 기능기화를 진행하고, 이를 에폭시 고분자 기지와 혼합하였다. 제조된 그래핀 나노플레이틀릿/에폭시을 이용하여 탄소섬유 강화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굽힘 특성과 층간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되었으며, 그래핀 나노플레이틀릿의 분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그래핀나노플레이트렛 및 재활용 페놀폼으로 제조된 목재기반 복합보드의 난연 및 열적 특성 (Flame Retardant and Thermal Properties of Wood-based Composite Boards Prepared by Graphene Nanoplatelet/Reused Phenolic Foam)

  • 한정인;김민지;송은지;김경훈;인세진;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71-378
    • /
    • 2019
  • 그래핀나노플레이트렛(GnP)이 목재기반 복합보드의 열적 및 난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5, 10, 및 20 wt% 등 여러 가지 GnP 함량으로 GnP/재활용 페놀폼(re-PF)/목재 복합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보드의 열적특성 및 난연성은 열중량분석(TGA) 및 한계산소지수(LOI) 시험을 통하여 각각 분석되었다. 복합보드의 열안정성은 GnP 첨가량에 따라 비례하게 증가하였고, 이 복합보드의 탄화수율(char yield)은 순수 목재보드 대비 최대 22%까지 증가하였다. 복합보드의 LOI 값은 순수 목재보드보다 약 4.8~7.8% 높았다. 또한, 재활용 페놀폼 및 GnP 첨가로 인하여 복합보드의 난연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열안정성이 높은 재활용 페놀폼과 GnP가 복합보드의 열분해 개시 온도를 지연시키고, 탄화층(char layer)을 보다 조밀하고 두껍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복합보드의 연소 지연효과를 이끌었다. 특히 탄소기반 재료로서 GnP는 탄화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탄화수율을 현저히 증가시켜 재활용 페놀폼에 비하여 난연성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복합재 필름 압출 및 물성 평가 (A Study on Processing-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of Extruded Carbon Nanomaterial-Polypropylene Composite Films)

  • 김병주;;강구혁;황상하;박영빈;정인찬;최동혁;손동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54-2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다양한 탄소나노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재의 압출방향 및 권취속도에 따른 기계적 물성과 결정화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폴리프로필렌에 탄소나노소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미분쇄기에 폴리프로필렌 분말(<700 ${\mu}m$)과 탄소나노소재를 혼합한 후 나노복합재 필름 제조를 위해 압출기를 사용하였다. 나노복합재 필름의 결정화도를 분석하기 위해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였다. 기계적 물성을 인장시험을 통해서 측정한 후 순수 폴리프로필렌 물성과 비교하였고, 압출 시 필름 권취속도에 대한 나노복합재 결정화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탄소나노소재를 첨가함으로써 고분자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그에 따른 결정화도 역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권취속도가 증가 할수록 압출물의 냉각속도도 역시 증가함으로써 결정화도가 오히려 감소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