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tual Authentication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6초

A Strong Biometric-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for Telecare Medicine Information Systems with Session Key Agreement

  • An, Young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3호
    • /
    • pp.41-49
    • /
    • 2016
  • Recently, many biometrics-based user authentication schemes for telecare medicine information systems (TMI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security problems in user authentication system. In 2014, Mishra et al. proposed an improvement of Awasthi-Srivastava's biometric based authentication for TMIS which is secure against the various attacks and provide mutual authentication, efficient password chang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ecurity of Mishra et al.'s authentication scheme, and we have shown that Mishra et al.'s authentication scheme is still insecure against the various attacks. Also, we proposed the improved scheme to remove these security problems of Mishra et al.'s authentication scheme, even if the secret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card is revealed. As a result, we can see that the improved biometric based authentication scheme is secure against the insider attack, the password guessing attack, the user impersonation attack, the server masquerading attack and provides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telecare system.

서버와 리더의 위장공격 탐지가 가능한 랜덤 ID기반 RFID 상호 인증 프로토콜 (A Random ID-based RFI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for detecting Impersonation Attack against a back-end server and a reader)

  • 여돈구;이상래;장재훈;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89-108
    • /
    • 2010
  • 최근에 경량화된 해쉬 기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상호 인증 프로토콜의 연구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대부분의 프로토콜이 백엔드 서버와 리더 구간을 안전하다고 가정하고 있어, 백앤드 서버와 리더의 위장 공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현실적으로 공격자 입장에서는 태그 공격보다는 백엔드 서버나 리더 공격이 공격대비 높은 효율성을 가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현실성 있는 해쉬 기반 RFID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설계하기 위해 전 구간을 안전하지 않은 공개 채널로 가정한다. 기존 연구에서 지원하는 상호인증을 지원하고, 재전송 공격 및 태그와 리더의 위장공격, 태그 위치추적공격, 서비스 거부 공격에 안전하다. 추가로, 모든 개체의 위장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고, 태그 탐색을 하는 개선된 백엔드 서버 검색률을 지원하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RFID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와의 안전성 분석과 효율성 분석을 제시한다.

피싱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패스워드 기반의 상호 인증 프로토콜 (Password-Base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Against Phishing Attacks)

  • 김익수;최종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2호
    • /
    • pp.41-48
    • /
    • 2018
  • 지금까지 피싱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가장 대표적인 안티 피싱 방법은 피싱 사이트의 URL 정보를 미리 수집한 뒤, 사용자가 방문하는 사이트의 URL과 미리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피싱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블랙리스트 기반의 안티피싱 방법은 새로운 피싱 사이트를 탐지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다양한 안티 피싱 인증 프로토콜이 제안되어 왔지만 대부분 인증과정에서 공개키와 비밀키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피싱 공격에 안전한 패스워드 기반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상호 인증은 패스워드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통해 수행된다. 인증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증 메시지에는 패스워드 원본이 아닌 패스워드의 해시 값이 포함되며, 인증 시 매번 다른 메시지가 사용되기 때문에 재생공격, 도청 공격에 안전하다. 또한,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간자 공격에 안전하며, 인증을 위한 별도의 키 발급 과정이 필요없다.

A Robust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Chen, Tien-Ho;Shih, Wei-Kuan
    • ETRI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704-712
    • /
    • 2010
  • Authentication is an important servic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for an unattended environment. Recently, Das proposed a hash-based authentication protocol for WSNs, which provides more security against the masquerade, stolen-verifier, replay, and guessing attacks and avoids the threat which comes with having many logged-in users with the same login-id. In this paper, we point out one security weakness of Das' protocol in mutual authentication for WSN's preservation between users, gateway-node, and sensor nodes. To remedy the problem, this paper provides a secrecy improvement over Das' protocol to ensure that a legal user can exercise a WSN in an insecure environment. Furthermore, by presenting the comparisons of security,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costs, and performances with the related protocols, the proposed protocol is shown to be suitable for higher security WSNs.

홈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경량화된 상호인증 프로토콜 (A New Lightweight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for Home Network)

  • 이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384-238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경량화 된 상호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Lee 등은 공개키 연산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상에서 속성기반의 인증된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 이 프로토콜에서는 전 방향 안전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티켓을 이용한 두드러진 연산의 오버헤드를 줄이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해시함수와 카운터만을 이용하여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공했다. 또한 세션키 생성후에는 사용자의 가전 제어 레벨을 체크함으로써 안전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n Efficient and Secure Authentication Scheme Preserving User Anonymity

  • Kim, Mi Jin;Lee, Kwang Woo;Kim, Seung Joo;Won, Dong Ho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69-77
    • /
    • 2010
  • Authentication and key establishment are fundamental procedures to establish secure communications over public insecure network. A password-based scheme is common method to provide authentication. In 2008, Khan proposed an efficient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s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Wu-Chieu's authentication scheme. As for security, Khan claimed that his scheme is secure and provides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legal users and a remote server.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Khan's scheme to be vulnerable to various attacks, i. e., password guessing attack, insider attack, reflection attack and forgery attack. Our study shows that Khan's scheme does not provide mutual authentication and is insecure for practical applications.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scheme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to preserve user anonymity that is an issue in e-commerce applications.

견고한 행렬기반 RFID 상호인증 프로토콜 (Robust Matrix-based RFI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 윤은준;하경주;유기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1C호
    • /
    • pp.883-891
    • /
    • 2008
  • 2006년에 Lee와 Ahn은 기존의 HB와 $HB^+$ RFID 인증 프로토콜들이 가지는 보안취약점들을 해결한 행렬기반의 RFID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그들이 제안한 프로토콜은 RFID 태그측의 계산량을 감소시켜줄 뿐만 아니라, 통신 오버헤드를 줄여주며,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먼저 Lee와 Ahn이 제안한 프로토콜이 그들의 주장과는 달리 RFID 리더를 태그가 인증을 하지 않는 상호인증 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공격들에 취약함을 지적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상호인증을 제공하는 개선된 행렬기반 RFID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RFID 인증 프로토콜은 Lee와 Ahn의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강한 보안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통신 라운드 수 또한 줄여주었기 때문에 높은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다중서버 환경에서의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상호 익명 인증 (Mutual Anonymous Authentication Using Smart Cards in Multi-server Environments)

  • 유혜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2C호
    • /
    • pp.1021-1028
    • /
    • 2008
  •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요청할 때,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스킴은 사용자의 적격성을 입증하고 안전한 통신을 제공하는 매우 실용적인 기술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환경에서 네트워크와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서비스는 다중서버 환경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점점 더 가속화 될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다중서버 환경을 지원하는 상호 익명성 제공 인증에 대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 중에서 다중서버 환경을 지원하며, 동시에 서버와 사용자 간의 상호 인증 및 상호 익명성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계산량 측면에서 효율성을 취하고, 사용자는 한 번의 등록으로 등록한 서버에 관계없이 서버 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원격 서버에게도 안전한 익명성을 제공받으면서 서버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ECDSA 인증모듈을 사용한 웹 카메라 서버용 영상처리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utual Authentication Module using ECDSA for web-Camera system)

  • 차재원;박덕용;김영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503-1506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tual Authentication module, using ECDSA(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 for web-Camera system. which. is based on three module. first is authentication module which is based on ECDSA algorithm. second is transfort module using stream socket. the last module is graphic module. This paper describes cipher algorithm which can be used restrict condition for the same secret service with wire internet. we made a authentication module using based client and server system.

  • PDF

모바일 환경에서 상호 협력 기반 스마트폰 사용자 인증 알고리즘 (Smartphone User Authentication Algorithm based on Mutual Cooperation in Mobile Environment)

  • 정필성;조양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393-1400
    • /
    • 2017
  • 스마트폰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취약점이 증가하고 있다. 개인의 정보를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서버에 저장하고 동일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인증방식을 해결하기 위해 OTP, FIDO, PIN 코드 등의 인증 방식이 도입되었지만 타 사용자와의 공유가 필요한 인증에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병원, 기업과 같이 공용으로 정보를 관리하는 곳에서 필요로 하는 인증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스마트폰 IMEI, QR 코드, BLE,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같은 장소에 있는 사용자끼리 실시간으로 인증을 진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호 협력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고, 실시간 인증 취소가 가능한 인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상호 협력 인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