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tagenicity test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7초

제초제 Methiozolin의 유전독성평가 (Mutagenicity Studies of the Herbicide Methiozolin)

  • 구석진;이종윤;박철범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4-382
    • /
    • 2011
  • 제초제인 methiozolin에 대한 유전독성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in vitro 시험으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하였고, 그리고 in vivo 시험으로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 TA98, TA100, TA1535 및 TA1537 및 Escherichia coli WP2uvrA를 이용한 복귀 돌연변이 시험에서 직접법과 대사활성화법(S9 mixture) 모두 $5,000{\mu}g$/plate에서 돌연변이 수는 음성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Chinese hamster lung(CHL) 세포를 이용한 구조적, 숫적 염색체 이상시험결과 직접법과 대사활성화법의 경우 methiozolin을 투여한 모든 군(80, 40, $20{\mu}g$/mL)의 세포에서 염색체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ICR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는 methiozolin의 복강투여가 골수세포에서 다염성 적혈구(polychromatic erythrocytes) 및 소핵(micronucleous)을 가진 다염성 적혈구의 출현율을 조사하였는데, 모든 농도(1,500, 1,000, 500 mg/kg)에서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소핵을 유발하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초제인 methiozolin은 세균, 세포 및 동물체내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물질로 사료된다.

게르마늄 수용액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ity of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 김은정;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30-935
    • /
    • 2004
  • Ames test와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유기 게르마늄과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였다. 균주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AFB$_1$에 의하여 유발된 돌연변이는 Ge-132와 게르마늄 가루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기 게르마늄을 20 mg/plate 첨가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87%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똑같은 실험계에서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즙액과 methanol 추출물은 수돗물로 재배한 콩나물에 비하여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와 4-NQO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는 일반콩나물의 즙액을 200 $\mu$L/plate 첨가하였을 때 각각 37∼39%, 38∼48%의 저해효과를 나타낸 반면 같은 농도에서 게르마늄 콩나물의 즙액은 61%와 75%의 억제율을 나타내어 게르마늄 첨가 콩나물은 간접 돌연변이원뿐만 아니라 직접 돌연변이원에 의해서 유발된 돌연변이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E. coli PQ37 균주를 사용한 SOS chromotest에서 유기 게르마늄은 사용된 농도의 증가에 따라 돌연변이 유발억제작용이 증가하였으며, 게르마늄 콩나물의 methanol 추출물은 일반 콩나물에 비하여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Ames test와 SOS chromotest를 통하여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은 수돗물로 재배한 콩나물에 비하여 항돌연변이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omparison of Mutagenic Activities of Various Ultra-Fine Particles

  • Park, Chang Gyun;Cho, Hyun Ki;Shin, Han Jae;Park, Ki Hong;Lim, Heung Bi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63-172
    • /
    • 2018
  • Air pollution is increasing, along with consumption of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diesel gas. Air pollutants are known to be a major cause of respiratory-related illness and death,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genotoxic characterization of diverse air pollutant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utagenic activity of various particles such as diesel exhaust particles (DEP), combustion of rice straw (RSC), pine stem (PSC), and coal (CC), tunnel dust (TD), and road side dust (RD). Ultra-fine particles (UFPs) were collected by the glass fiber filter pad. Then, we performed a chemical analysis to see each of the component features of each particulate matter. The mutagenicity of various UFPs was determined by the Ames test with four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UFPs were selected based on result of a concentration decision test. Moreover, in order to compare relative mutagenicity among UFPs, we selected and tested DEP as mutation reference. DEP, RSC, and PSC induced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s in revertant colony numbers with TA98, TA100, and TA1537 strains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DEP showed the highest specific activity among the particulate matters. In this study, we conclude that DEP, RSC, PSC, and TD displayed varying degrees of mutagenicity,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utagenicity of these air pollutants i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these particulate matters.

가열산화 홍화유의 돌연변이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tagenicity of Thermally Oxidized Safflower Oil)

  • 안명수;이진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0-127
    • /
    • 2000
  • Deep-fat frying is a common cooking practic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cern regarding the mutagen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of thermally oxidized oils. Studies on deep-fried foods so far have revealed not much on the mutagenicity of the oils in the food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utagenicity ofthe thermally oxidized safflower oil. Oil was heated in a home-fryer at a temperature of 180$\pm$3$^{\circ}C$ for 48 hours. Oil samples were taken at 0, 8, 16, 24, 32, 40 and 48 hours of heating, respectively. Each sample was used to study the changes in peroxide value (POV), acid value (AV), iodine value (IV), conjugated dienoic acid (CDA) content, %,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other series of samples were fractionated into non-polar and polar fractions by column chromatography. The mutagenicity of the samples taken from the thermally oxidized oils, as well as the non-polar and polar fractions of the thermally oxidized oils, was investigated with the Ames test. The Ames test was carried out with and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Bacterial tester strain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the histidine auxotrophic strains of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A1535 and TA102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base pair mutations, and TA98 and TA1537 for frame shift mutations. Each series of samples was dissolved in tetraphydrofuran (inhibitor-free) and tested at doses ranging from 0.05 to 5 mg/plate. None of the oil samples taken during the 48 hour oxidation period showed any mugagenic activity. This was the case, even after the activaton with 59 mix. Also, none of the polar and non-polar fractions showed any mutagenic activity on all the strains tested.

  • PDF

어류의 가열조리 및 보존에 의해 생성되는 변이원성 물질의 정량적 해석과 제어법 (Screening and prevention of the mutagenicity for fishes accordind to cookery and storage)

  • 홍이진;이준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52-662
    • /
    • 2000
  • 섭취 빈도가 높은 어류중 붉은 살 생선인 고등어(Mackerel), 삼치(Saury pike), 방어(Yellowtail), 연어(Salmon), 흰 살 생선인 조기 및 염장조기(Croaker, Salted Croaker), 및 갈치(Trichiurus)를 시료로 하여 , 가스그릴, 전기그릴과 microwave oven으로 가열 조리한 후 일정기간 동안 냉장 및 냉동 보존한 시료와 보존한 시료를 microwave로 재가열하였을 때 변이원성을 in vitro test로 Ames/salmonella assay를, in vivo test 로 Micronucleous test를 실시하여 검색하고, 그 제어방법으로 항암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녹황색 채소즙으로 전처리하여 돌연변이 억제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질의 과산화도를 측정하여 변이원 생성과 과산화 지질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어류의 가열조리에 의해 대조군(생시료)보다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 생성된 변이원은 모두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5 mg/plate인 농도구간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2. 조리온도가 높아질수록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했을 경우 무첨가시보다 2-4 배정도 돌연변이원성이 높게 나타났다. 3. 조리기기에 따른 복귀 돌연변이 균수는 가스그릴과 전기그릴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MW에서 조리한 시료의 경우에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4. 생선 종류별 변이원성을 검색한 결과 흰살 생선이 붉은 살 생선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붉은 살 생선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등어가 약간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흰살 생선중에서도 유의차는 없었으나 염장조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5.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후 가열조리을 한 시료의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변이원성이 억제되었으며, 녹차>생강>무순으로 변이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6. 저장에 의해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냉장 저장시 저장 3일째부터, 냉동저장시에는 저장 7일째부터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냉동저장보다 냉장저장시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MW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변이원성이 증가되었다. 7. Micronucleus test 결과, 조리온도가 증가할수록 골수 소핵 형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채소즙 처리군의경우 생강>녹차>무순으로 골수 소핵 형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8. 조리, 재가열 및 저장 조건에 따른 산패도(TBA value)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고 냉장 저장시료의 경우 저장 3일째부터 유의 적으로 산패도가 증가되었으며 냉동 저장 시료의 경우에 는 저장 7일째부터 유의적으로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다. 냉장저장 시료가 냉동저장 시료보다 더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으며, microwave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산패도가 증가되었다. 9.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한 고등어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EDA)측정 결과는 양파>녹차>생강>양배추 순으로 양파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전기그릴 26$0^{\circ}C$에서 조리한 시료의 냉장저장 및 냉동저장에 따른 변이원성과 과산화지질 생성간의 상관관계는 냉장 저장했을 때 0.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재가열했을 경우 0.98로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 역시 0.92를 나타내어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재가열했을 경우에는 0.89로 오히려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Lack of Mutagenicity Potential of Periploca sepium Bge. in Bacterial Reverse Mutation (Ames) Test, Chromosomal Aberration and Micronucleus Test in Mice

  • Zhang, Mei-Shu;Bang, In-Seok;Park, Cheol-Beom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7권
    • /
    • pp.14.1-14.6
    • /
    • 2012
  • Objectives: The root barks of Periploca sepium Bge. (P. sepium)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healing wounds and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However, toxicity in high-doses was often diagnosed by the presence of many glycosides. The potential mutagenicity of P. sepium was investigated both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This was examined by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Ames) test using Escherichia coli WP2uvrA and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such as TA98, TA100, TA1535, and TA1537. Chromosomal aberra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Chinese hamster lung cells, and the micronucleus test using mice. Results: P. sepium did not induce mutagenicity in the bacterial test or chromosomal aberrations in Chinese hamster lung cells, although metabolic activation and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were seen in the mice bone marrow cells. Conclusions: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 sepium does not have mutagenic potential under the conditions examined in each study.

숯불구이시 육류의 지방질 및 소금 함량이 돌연변이 유발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pid and Salt Contents on the Mutagenicity of Charcoal-Broiled Meats and Fishes)

  • 박미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5-378
    • /
    • 1989
  • 돼지고기, 쇠고기, 생선의 숯불구이시 지방질 함량과 양념 중의 소금농도가 돌연변이 유발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사용하여Ames test를 수행하였다. 숯불구이한 육류의 클로로포름: 메탄올(1:1) 추출액은 TA 100 균주보다는 frameshift 돌연변이가 유발되는 TA98 균주에서 더 예민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돼지고기, 쇠고기 및 생선에서 지방질 함량이 낮을 때 돌연변이 유발능이 약간 크게 나타났다. 돼지고기와 쇠고기에서 숯불구이전 20% 소금용액으로 처리한 시료는 처리하지 않은 시료보다 돌연변이 유발능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Ames Test에 의한 정유의 돌연변이원성 (Mutagenicity of the Essential Oils in Ames Test)

  • 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33권4호통권131호
    • /
    • pp.372-375
    • /
    • 2002
  • Mutagenic acivity of essential oils was teste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59 fraction prepared from the mouse liver. Growth inhibitory effect of the oils on the bacteria was measured to warrant the mutagenic effect. Most oils were (round to be very strongly toxic against the bacteria at a high dose $(2,000{\mu}g/plate)$. At lower doses than this concentration, the Curcuma longa oil was found to be the most mutagenic with S9 fraction whereas it was not mutagenic without the fraction suggesting that this oil could undergo activation for the mutagenicity by cytochrome P45O. However, the mutagenicity of the Eugenia caryohpylata oil was disappeared under S9 fraction. Other oils obtained from Cinnamomum cassia, Chrysanthemum sibiricum, Paeonia moutan the flower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llium sativum, were not mutagenic. This result suggested that antimutagenicity assay on the essential oil is necessary for the biological available substances.

야생버섯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Extracts from Wild Mushrooms)

  • 박선희;김옥미;이갑득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28-732
    • /
    • 1999
  • 천연물질로부터 항돌연변이원성 물질 및 항암 물질 탐색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1종의 국내산 야생 버섯류로 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농도에서 털이버섯(Lactarius piperatus), 노란다발독버섯(Naematolona fasciculare) 및 금빛시루뻔버섯(Innotus xeran- ticus)의 메탄올 추출물은 Salmi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 균주에서 추출물의 농도에 관계없이 간접변이원인 B(a)P에 대하여 40~80% 정도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60~80% 정도의 비교적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Computational Study of Mutagen X

  • Cho, Seung-J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731-732
    • /
    • 2003
  • Mutagen X (MX),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 is one of the most potent directing acting mutagen ever tested in SAL TA100 assay. Although MX analogues have been synthesized, tested for mutagenicity and modeled by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R) methods, the mechanism of interaction of these compounds with DNA to produce their remarkable mutagenic potency remains unresolved. MX exists as an equilibrium mixture of both ring and open form in water. This equilibrium is very fast for Ames test. Because the mixture is not separable by experimental methods, it is not clear which one is really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mutagenicity.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that which one is really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mutagenicity. We used ab initio methods for the MX analogues. It seems both ring and open form could react with DNA bases as electrophiles. However, every open form has consistently lower LUMO energy than corresponding ring form.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major reaction will go through via open form for MX analogues. This suggest that the open form is more likely really mutage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