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tard leaf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3초

여대생의 김치에 대한 의식과 섭취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Notion and Intake of Kimchi among College Women)

  • 김은희;김성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13-520
    • /
    • 1998
  • A survey of the notion and intake on Kimchi among college women in Pusan was conducted to get some basic information on kimchi. Two hundred sixty seven students in Pusa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eventy five percent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like kimchi. They preferred well-fermented kimchi with anchovy extracts, refreshing taste and crispy texture the saltly and sweet. Chinese cabbage kimchi (87.6%) was found to be the most favored kimchi and Kakdugi(seasoned pickles of cubed radish), Nabak kimchi and Chonggak kimchi (ponytail kimchi) were followed in the order. The most favorite food made from kimchi was stir fried kimchi with rice. They disliked traditional special kimchi, such as Puchu kimchi (leek kimchi), Pa kimchi (green onion kimchi), Kkennip kimchi (perilla leaf kimchi), Godulbaegi kimch (Korea wild lettuce kimchi) and Gat kimchi (Leaf mustard kimchi). About 93 grams of kimchi was consumed daily and this amount was a little. Seventy percent of students did not have any experiences preparing kimchi. Experiences of kimchi preparation were given by mother through kimchii-making event for the winter(71.7%), cooking practice in middle or high school (14.1%) and college(10.9%) and general cooking education (33%). They preferred to buy kimchi at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48.5%) or a large kimch factory (32.75). College students believe that kimchi is a healthy food and are willing to learn how to make kimchi.

  • PDF

돌산 갓 김치 숙성 중 매운맛 성분의 변화 (Changes in Pungent Components of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전순실;최옥자;조영숙;박석규;박정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4-59
    • /
    • 1995
  • 돌산 갓(Brassica juncea) 김치 개발의 일환으로 갓 김치 숙성 중의 휘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매운 맛 성분인 glucosinolate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였다. 돌산 갓 김치의 숙성 중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3-isothi-ocyanate-1-propene(Allyl isothiocyanate)이었으며, 그 외 di-2-propenyl disulfide, 1-methoxy1-2-butanol, 4-isothiocyanate-1-butene, di-2-propenyl disulfide 그리고 dimethyl-trisulfied 등 이었다. 갓 김치가 발효됨에 따라 AITC와 4-isothiocyanate-1-butene은 점차 감소하였지만, dimethyl trisulfide는 발효 저장 중에 다소 증가 하였다. Di-2-propenyl disulfide는 5일 까지 감소되었다가 10일 이후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갓 김치 숙성 중의 매운맛 성분인 총 glucosinolate 함량은 3일 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베란다 재배에 적합한 채소작물 및 관비방법 선발 (Selection of Vegetables and Fertigation Methods for Veranda Gardening)

  • 문지혜;이상규;장윤아;이우문;이지원;김승유;박현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4-321
    • /
    • 2007
  •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실내 채소재배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베란다에서 이용하기에 좋은 관비방법 및 재배가 적합한 채소작목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정용 채소 관비방법을 선발하기 위하여 담액수경, 심지관수(양액 또는 완효성비료), 두상관수 등 4가지 방법을 비교해 본 결과 심지관수법에서 상추, 겨자채, 적근대 모두 관행대비 생육과 수량이 높았다. 뿐만 아니라 심지관수 방법은 양수분관리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주)애그로액티브와 공동 개발한 완효성비료를 이용하면 별도의 양분관리 없이 채소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물이 바닥으로 흘러 나오지 않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도 가능하다. 한편, 가을의 베란다 환경을 조사한 결과 온 습도 환경은 채소 재배에 적절하였으나 광환경은 최고 광량이 남향 베란다에서는 온실의 48%, 남동향 베란다에서는 35%에 불과하여 생육에 가장 큰 제한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란다의 약광 조건에서도 생육이 우수한 작물을 선발하고자 0%, 50%, 70%, 90% 차광조건에서 로메인상추, 청치마상추, 생채, 엔다이브, 청경채, 겨자채, 쑥갓, 적근대, 부추 등 9종의 엽채류를 재배하였다. 부추가 광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가장 생육이 우수하였고 엔다이브도 약광에서 생육이 좋았으며 상추, 쑥갓, 청경채가 뒤를 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베란다의 방향이나 위치,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광환경에 적합한 채소작물 선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GC-MS Analysis of the Extracts from Korean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 and Its Seed

  • Hong, Eunyoung;Kim, Gun-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218-221
    • /
    • 2013
  • Korean cabbage, a member of the Brassicaceae family which also includes cauliflower, mustard, radish, and turnip plants, is a crucial leafy vegetable crop. Korean cabbage is harvested after completion of the leaf heading process and is often prepared for use in "baechu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ood. Many of the components in Korean cabbage are essential for proper human nutrition; these component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primary metabolites, which include carbohydrate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and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flavonoids, carotenoids, sterols, phenolic acids, alkaloids, and glucosinolates (GSL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is study examined the variety of volatile compounds (including isothiocyanates) contained in Korean cabbage and its seed, which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16 and 12 volatile compounds, respectively. The primary volatile compound found in the cabbage was ethyl linoleolate (~23%), while 4,5-epithiovaleronitrile (~46%) was the primary volatile component in the seed.

해조분말을 이용한 생분해성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Films Using Various Marine Algae Powder)

  • 임종환;김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9-74
    • /
    • 2004
  • 해조분말을 이용하여 산 알칼리 병용법으로 알긴산을 추출하고 필름의 물성 증진을 위하여 두 가지의 $CaCl_{2}$ 처리방법 (즉, $CaCl_{2}$를 필름용액에 직접 첨가하는 방법과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을 $CaCl_{2}$, 용액에 침지하여 가교결합을 유도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비교하였다. 사용된 해조분말(미역 잎, 미역줄기, 미역귀, 다시마, 톳)중 톳을 제외하고는 모두 필름이 제조되었다. 이들 해조 필름의 물성에 대한 $CaCl_{2}$ 처리방법의 영향은 수분용해도 외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록 이들 해조필름의 인장강도, 투습도, 수분용해도와 같은 필름의 물성이 순수한 알긴산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에 비해 떨어지나 본 연구의 결과는 미이용 해조분말이나 해조가공 부산물로 얻어지는 해조분말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분해성 포장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냈다.

십자화과 채소의 가공 및 저장 중 Glucosinolate의 분석과 그 함량변화 (Analysis of Glucosinolates and the Change of Content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in Cruciferous Vegetables)

  • 심기환;성낙계;강갑석;안철우;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48
    • /
    • 1992
  • Glucosinolate는 배추, 양배추, 무 및 케일에서는 각각 indole glucosinolate를 포함한 6, 5, 5 및 2종류의 glucosinolate가 분리 및 동정되었고, 겨자에서는 4종류의 glucosinolate가 분리 및 동정 되었으나, indole glucosinolate는 분리되지 않았다. 또한 배추에서는 glucosinolate함량이 속, 줄기 및 잎부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glucosinolate의 함량은 시료별로는 건조량으로 환산하여 배추, 양배추, 무, 케일 및 겨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공상태에 따라서는 신선한 상태, 자연건조, 가열 건조 및 조리한 상태의 순으로 나타났다. 저장에 따른 총 glucosinolate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 PDF

몇 가지 천연 향신료 정유의 Vibrio속 균주들에 대한 항균효과 및 그 휘발성 성분 (Antibacterial Effects of Natural Essential Oils from Various Spices against Vibrio Species and Their Volatile Constituents)

  • 유미지;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8-443
    • /
    • 2006
  • 여름철 식중독의 원인균인 Vibrio속 균주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자 휘발성과 항균활성이 있는 생강 등 6종의 정유에 대해 항균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정유의 휘발성 성분을 GC와 GC-Ma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Vibrio균에 대해 천연 생강 정유를 처리 하였을 경우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22.5-85.7%의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은 ${\beta}-bisabolene$(35.19%, peak area)와 ${\beta}-sesquiphellandrene$(12.22%) 등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겨자의 정유를 처리하였을 경우 V. parahaemolyticus에 1,000 ppm 처리 시 100%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었고, V. vulnificus는 증식억제율이 V. parahaemolyticus 보다 50% 정도 낮게 나타나므로 V. vulnificus가 V. parahaemolyticus 보다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겨자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allyl isothiocyanate (92.55%)와 4-isothiocyanato-1-butene(0.53%)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마늘 정유를 1,000 ppm 처리하였을 때 증식억제율은 V. parahaemolyticus 22.8%, V. vulnificus 01 14.6%, V. vulnificus 02 32.9%로 나타났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dimethyl sulfide (49.39%)와 methyl 2-propenyl sulfide(10.09%) 등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정향의 싹과 잎 및 전체의 천연 정유를 처리하였을 경우 V. vulnificus 02에 처리 시 증식억제율이 60.6-80.3%로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 생강, 겨자, 마늘 정유에 대하여 내성이 다소 강했던 V. vulnificus 02에는 정향의 싹 및 잎 정유가 증식억제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정향 싹의 정유는 eugenol(83.33%)와 ${\beta}-caryophyllene$(7.47%), 정향 잎의 정유는 eugenol(87.46%)과 ${\beta}-caryophyllene$(10.03%), 정향 전체의 정유는 eugenol(86.04%)과 ${\beta}-caryophyllene$(9.71%)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강, 겨자, 마늘 및 정향 등의 휘발성 정유는 Vibrio속 균주에 대해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셀레늄 처리가 4가지 채소종자 발아와 싹의 생장 및 셀레늄 흡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ium Supplement on Germination, Sprout Growth and Selenium Uptake in Four Vegetables)

  • 정용화;한명자;성선진;서동철;강종구;손보균;허종수;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9-185
    • /
    • 2009
  • 새싹채소의 종자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셀레늄 농도 처리(삽입) 효과와 흡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채소류인 배추, 상추, 청경채 및 을 이용하여 다양한 셀레늄 농도 (0, 1, 5, 10, 25, 50, 100 mg $L^{-1}$ 를 처리하였다. 종자발아는 배추, 청경채 및 갓에서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되었지만, 상추의 경우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싹의 생장에 미치는 셀레늄의 효과는 배추, 상추, 청경채 및 갓의 경우, 지상부 길이, 뿌리 길이, 생체중 및 엽록소 함량 등의 생육특성에 있어서 낮은 처리 농도 (1 mg $L^{-1}$)에서 오히려 약간의 생장 촉진 효과를 보이거나 거의 차이가 없었다. 5 mg $L^{-1}$ 이상의 농도 처리 시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심각한 생육 억제 현상을 보였다. 식물체내의 셀레늄의 흡수 특성은 셀레늄을 각각 1${\sim}$25 mg $L^{-1}$ 처리 시 배추는 0.11${\sim}$1.15, 상추는 0.16${\sim}$0.61, 청경채는 0.13${\sim}$1.31 그리고 갓은 0.14${\sim}$1.13 mg $g^{-1}$dw 범위에서 셀레늄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여 1${\sim}$5 mg $L^{-1}$ 범위의 낮은 농도의 셀레늄 처리가 셀레늄 함유된 기능성 새싹채소의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채소종자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유기 또는 무기게르마늄의 효과 및 흡수특성 (Uptake Properties of Germanium to Vegetable Plants and Its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on Early Stage Growth)

  • 한명자;김성은;서동철;정용화;이도진;박문수;임요섭;손보균;허종수;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7-222
    • /
    • 2007
  • 식물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무기게르마늄과 유기게르마늄의 효과와 흡수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채소류인 갓, 배추 및 청경채를 이용하여 다양한 게르마늄농도(0, 10, 25, 50, 100 mg $L^{-1}$)를 처리하였다. 채소 종자발아는 모든 식물에서 무기게르마늄을 100 mg $L^{-1}$ 처리한 경우에만 약간의 저해를 받았고 나머지 조건에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식물의 유묘생장에 미치는 게르마늄의 효과는 갓과 배추의 경우에는 모든 농도의 무기게르마늄($10{\sim}100$ mg $L^{-1})$에서 뿌리의 생장에 심각한 저해를 보였고 지상부 생장은 높은 농도(50, 100 mg $L^{-1}$)에서는 저해를 받지만 낮은 농도(10, 25 mg $L^{-1}$)에서는 오히려 약간의 생장 촉진효과를 보이거나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유기게르마늄의 처리시에는 뿌리와 지상부의 생육이 낮은 농도(10, 25, 50 mg $L^{-1}$)의 대부분 조건에서 생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였다. 식물체내의 게르마늄의 흡수 특성은 무기 및 유기게르마늄의 모든 조건에서 대조구에 비해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 보다 유기 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에 같은 농도에서 전반적으로 약 $2\sim4.5$배까지 많이 흡수되었다. 25 mg $L^{-1}$농도의 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를 보면, 유기게르마늄의 처리시 게르마늄의 흡수는 갓에서는 약 4배(무기게르마늄: 0.37 mg $g^{-1}dw$, 유기게르마늄 : 1.47 mg $g^{-1}dw$), 배추에서는 약 2.2배(무기게르마늄: 0.40 mg $g^{-1}dw$, 유기게르마늄: 0.86 mg $g^{-1}dw$) 그리고 청경채의 결우 약 2.1배(무기게르마늄 : 0.33 mg $g^{-1}dw$, 유기게르마늄: 0.70 mg $g^{-1}dw$) 정도로 무기게르마늄의 처리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