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tard leaf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9초

Effects of Kimchi Extracts on Production of Nitric Oxide by Activated Macrophages,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of Tumor Cells and Interleukin-6 in Splenocytes

  • Kim, Kwang-Hyuk;Kim, So-Hee;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26-132
    • /
    • 2001
  • Methanol extracts form four kinds of kimchi, which were differently prepared in kinds and levels of sub-ingredients, were given to Balb/c mice for 3 weeks (0.5 mg/kg/day). Peritoneal macrophages isolated from mice treated with kimchi extracts and saline were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K3 and K4 kimchis, containing more red pepper powder, garlic, Chinese pepper powder, mustard leaf and organically cultivated Korean cabbage, significantly increased NO production by the activated macrophages (p<0.05). K1, K2, K3 and K4 kimchi extracts (0.01, 0.1, 1.0 $\mu\textrm{g}$)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reased TGF-$\beta$1 production of H.pylori lysate (0.01 $\mu\textrm{g}$)-activated human epithelial RPMI 2650 cells (5$\times$10$^{4}$ cells/mL) at 24 and 48 hrs of treatment (p<0.01). However, the decreased TGF-$\beta$1 $\alpha$ production of RPMI 2650 cells by H. pylori lysate increased by treatment with kimchi extract for 72 hrs. Especially, K4 kimchi (containing organically cultivated Korean cabbage and more ingredients, modulated TGF-$\beta$1 production of H. pylori lysate-activated RPMI 2650 cells to the normal level (control) by treatment for 48 hrs. The treatment of K1 and K4 kimchi enhanced the LPS (0.01 $\mu\textrm{g}$/mL)-induced IL-6 production of splenocytes. The results suggest that kimchi might have an beneficial effect on cancer prevention due in part to the function enhancing NO production of activated macrophages. Our data suggest that kimchi could modulate TGF-$\beta$1 production by cancer cells and IL-6 production of splenocytes, thereby possibly contributing to control carcinogenesis and the immune system.

  • PDF

식품 부패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천연 항균성물질의 검색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이병완;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0-204
    • /
    • 1991
  • 31종의 식물에서 필요 부위를 선정하여 75% 에탄올이나 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로서, 일반적으로 식품의 부패 혹은 변질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Pseudomonas fluorescens, Bacillus cereus 등 5종의 세균과 Saccharomyces cerevisiae 등 1종의 효모를 대상으로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실험대상 6종의 모든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낸 것은 황백의 에탄올 추출물이었으며 산초, 참깨묵, 지치, 졸참나무는 효모를 제외한 5종에 대하여 댓잎, 오동나무, 리기다는 B. subtilis 및 S. cerevisiae 혹은 L. mesenteroides 및 S. cerevisiae 또는 L. mesenteroides 및 P. fluorescens, B. cereus를 각각 제외한 4종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냈고, 균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황백이 가장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B subtilis, L. plantarum 및 L. mesenteroides에는 황백이, P. fluorescens에는 황백과 오배자가 disc diffusion method에서 가장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을 비교한 결과 거의 대부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성이 높았으나, 균종에 따라서는 일부 물 추출물에서 항균성을 따로 보이거나 더 높은 경향이 있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천연물 중에도 상당한 항균성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농산물 중 유기염소계 잔류 농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evel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 엄미나;장재철;정진아;유영희;지의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46-456
    • /
    • 2001
  • 2000년 7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경기도 지역에 유통중인 17종의 농산물 397건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보건위생상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기염소계 13종을 GC/ECD와 GC/MSD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농산물 397건 중 endosulfan이 31건(7.8%) 검출되었으며 chlorothalonil이 4건(1.0%) 검출되었다. 농약의 검출범위는 endosulfan 의 경우 상추는 3.7437~0.0488ppm, 시금치 2.1902~0.1423ppm, 아욱 2.4909~0.0786ppm과 겨자잎에서 3.2333~0.3997ppm이었다. Chlorothalonil은 상추에서 5.8097ppm과 시금치에서 0.8962ppm이었다. 잔류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endosulfan이 5건(1.8%)이었으며 chlorothalonil은 1건(0.3%)이었다. Endosulfan은 산화물 형태인 endosulfan sulfate(45.9%)가 $\alpha$-endosulfan(28.5%) , $\beta$-endosulfan(23.9%)보다 높게 나타나, 농약이 식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양보다 식물체 내에 흡수되어 있는 양이 더 많이 잔재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한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포장.비포장 김치와 상용 식품의 염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Salinity in Packaged Kimchi, Bulk Kimchi and Common Foods in Korea)

  • 노숙령;윤미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1호
    • /
    • pp.69-76
    • /
    • 2009
  • To determine the salinity of packaged Kimchi, bulk Kimchi and other common foods, we collected samples of foods from the Gyeonggi province area in October 2006 and determined the salinity levels in one serving portion. The average salinity of all foods was 0.226${\pm}$0.212%. The average salinity of all Kimchi samples was 0.401${\pm}$0.260. The average salinities of soups, stews, protein containing side dishes, vegetable side dishes and drinks were 0.153${\pm}$0.085%, 0.691${\pm}$0.213%, 0.151${\pm}$0.102%, 0.209${\pm}$0.121% and 0.080${\pm}$0.016%, respectively. The average salt intake of one serving of Kimchi was 0.125${\pm}$0.041 g, while the average salt intakes of one serving of the soups, stews, protein containing side dishes, vegetable side dishes and drinks were 0.306${\pm}$0.170 g, 1.382${\pm}$0.426 g, 0.094${\pm}$0.061 g, 0.146${\pm}$0.089 g, and 0.159${\pm}$0.152 g, respectively. The salinity of packaged Kimch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linity of the bulk Kimchi (p < 0.01). In addition, the salinity of the liquid and solid stem portions of the packaged Kimch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linity of the same sized portions of the bulk Kimehi (p<0.01). Furthermore, the salinity in the liquid and solid stern portions of the packaged mustard leaf Kimch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linities of other types of Kimchi (p < 0.0001). The salinity of all Kimchi is higher than that of soup, protein containing side dishes, vegetable side dishes or drinks, but the salt content of one serving of Kimchi is lower than those of the soups or stews or vegetable side dishes or drinks (because one serving size of Kimchi is usually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foods).

  • PDF

해바라기침선충(Paratylenchus projectus) 피해 경감을 위한 윤작작물 탐색 (Searching for Rotationable Vegetables for Paratylenchus projectus in Lettuce Greenhouse)

  • 권기윤;서종민;박소희;강헌일;박남숙;최인수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72-278
    • /
    • 2020
  • 2019년 Paratylenchus projectus에 의한 심각한 상추 피해를 국내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상추 시설재배지에서 P. projectus 밀도를 낮출 수 있는 고소득 윤작작물을 탐색하고자 십자화과(Brassicaceae)에서 6종; 갓(leaf mustard, Brassica juncea), 경수채(kyona, B. rapa subsp. nipposinica), 브로콜리(broccoli, B. oleracea var. italica), 청경채(bok choy, B. rapa subsp. chinensis), 케일(kale, B. oleracea var. viridis), 콜라비(kohlrabi, B. oleracea var. gongylodes), 국화과(Asteraceae)의 2종; 엔다이브(endive, Cichorium endivia), 치커리(chicory, C. intybus), 매꽃과(Convolvulaceae)의 1종인 공심채(morning glory, Ipomoea aquatica) 등 총 9종을 윤작시험에 사용하였다. 각 엽채류를 직경 10 cm 토화분에 심고 침선충 접종(3,000 P. projectus/100 ㎤ soil) 및 비접종으로 나누고 각 처리별 10반복으로 하여 온실에서 재배하고, 100일 후 식물의 생육, 초장, 무게, 엽수, 뿌리무게, soil plant analysis development, 선충 밀도를 조사하였다. P. projectus를 접종한 모든 작물은 무처리에 비하여 생육이 감소하였다. 지상부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브로콜리와 갓이 56-66%로 가장 감수율이 컸고 치커리와 공심채의 수량 감수가 30-35%로 비교적 감수율이 적었다. 또한 선충의 증식률(Pf/Pi 비율)도 콜라비의 2.54에 비하여 엔다이브는 1.1, 치커리는 1.35, 공심채는 0.64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실험에 의하면, 상추 재배지의 윤작작물로는, 비록 충분하지는 않지만 효과적인 윤작작물을 찾기 전까지는, 다른 엽채류에 비하여 수량 감수가 비교적 적고, 선충의 증식률이 가장 낮은 공심채가 상추재배지의 윤작작물 대안일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자리공 및 겨자무 잎 추출물의 Allelopathy 효과 기내 검정 (In Vitro Test on Allelopathic Effects of Leaf Extracts from Phytolacca americana and Armoracia rusticana)

  • 배창휴;노일섭;강권규;고영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52-665
    • /
    • 1997
  • 미국자리공 및 겨자무의 잎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내배지상에서 몇가지 작물들과의 allelopathy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국자리공 잎의 methanol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시한 모든 작물의 발아율, 근장, 배축장, 초장, 생체중, 건물중, 유묘의 활력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2. 미국자리공의 autoallelopathy는 고농도(50$\mu$l 및 100$\mu$l) 첨가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3. 겨자무 잎의 methanol 추출물은 공시한 모든 작물의 초기생장량을 유제시키는 효과는 보였으나, 미국자리공의 잎추출물의 효과보다는 높았다. 4. 겨자무 뿌리의 methanol 추출물 처리는 밀, 미국자리공의 배축장을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시켰으나, 나머지 작물은 증가시켰다. 또한 초장도 밀, 고추, 미국자리공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작물에서는 약간 증가하였다. 5. 미국자리공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재출물한 4종의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이 발아율 및 초기생육을 가장 크게 감소시켰다. 6. Ethyl acetate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보다 벼, 보리, 배추의 엽록소 함량을 감소시켰다. 7. Ethyl acetate 분획물 100$\mu l$l 첨가시에 배추의 유리 proline의 함량은 31.2배 증가하였으며, 추출물농도가 증가할수록 proline 함량이 증가하였다.

  • PDF

절편부위와 사이토키닌이 갓의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types and ages of explants and cytokinins on shoot regeneration in Brassica juncea L.)

  • 노경희;곽보경;김종범;이경렬;김현욱;김순희;강한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72-78
    • /
    • 2013
  • 본 연구는 갓(Brassica juncea L. Czern)의 효율적 재분화조건 확립을 위해 재분화가 잘되는 절편체 종류와 절편체의 나이 그리고 재분화율 향상에 관여하는 사이토키닌 종류와 적정 함량을 조사하였다. 절편체 종류에 따른 갓의 재분화율은 다음과 같았다: 잎자루 달린 자엽> 하배축> 잎자루 달린 본엽> 자엽> 본엽. 또한 파종 후 5일된 잎자루 달린 자엽에서의 재분화능이 가장 양호하였다. 6종의 사이토키닌 중에서- 6-${\gamma}$-${\gamma}$-Dimethylallylamino-purine (2-ip), 6-${\gamma}$-${\gamma}$-Dimethylallylamino-purine riboside (2-ip riboside), 6-Benzyl amino-purine (BAP), Thidiazuron (TDZ), Zeatin, Zeatin riboside-TDZ $8{\mu}M$ 처리구에서 재분화율이 평균 80%로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획득한 재분화 식물체는 온실로 옮겨져 재배되었으며, 정상적인 생육과정을 거쳐 개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광주$\cdot$전남지역 학교영양사의 한국 전통음식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초$\cdot$$\cdot$고등학교의 비교-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Gwangju and Jeonnam Area Dietitians -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 정난희;전은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97-10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od service uti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food in Gwangju and Jeonnam Area dietitia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food in school food serv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utiliza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 was remarkable among the dietitians who are elderly, have worked for a long time, are married and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utilization of rice was remarkable in Bombop(boiled rice and nuts)(p<.001), Okeukbop(boiled rice mixed with five grains)(p<.001), Potbop(boiled rice and red-bean)(p<.001), Boribop(boiled rice and barley)(p<.01), and Kongbop(boiled rice and beans)(p<.01) The utilization of one-dish meals was remarkable in Kongnamulbop(boiled rice and bean sprouts)(p<.001). The utilization of porridge was remarkable in Hobakjuk(pumpkin porridge)(p<.001) and Potjuk(red-bean porridge)(p<.001). The utilization of noodles was remarkable in Mandu soup(a bun stuffed with seasoned meat and vegetables)(p<.001) and Kalkuksu(cut noodles)(p<.001). The utilization of soup and pot stew was remarkable in Kongnamul soup(p<.001), sagolugeoji soup(p<.001), Calbitang(p<.001) and sullungtang(p<.001), kongbiji stew(p<.01), and soondubu stew(p<.05). The utilization of steamed dish and hard-boiled food was remarkable in green perilla stew(p<.001), fish stew(p<.001) and seasoned and steamed pollack(p<.01). The utilization of pan-boiled food stew was remarkable in small octopus stew(p<.001). The utilization of fried food or grilled food was remarkable in grilled fish(p<.001), bindaetteok(vegetable pancake)(p<.001), fried green pumpkin(p<.001), fried sea food with stone-leek(p<.001) and Buchu fried food(p<.001). The utilization of salad and cooked vegetables was remarkable in spinach salad(p<.001), cucumber salad(p<.001) and Kongnamul(bean sprouts)(p<.05). The utilization of Kimchi was remarkable in Baek kimchi(p<.001), Gat(leaf-mustard) kimchi(p<.001), Youlmu(young radish) kimchi(p<.01) and Oisobaki(p<.01). The utilization of desserts was remarkable in seasonable fruits(p<.001), Kangjung(p<.01), Tteok(rice cake)(p<.01) and Sik Hye(Cinnamon flavored persimmon punch)(p<.01).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β-카로텐과 비타민 C의 영향 (Effect of β-Carotene and Vitamin C on Chlorophyll-Induced Photooxidation)

  • 류승희;이혜숙;이영순;권태완;송영선;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6
    • /
    • 2005
  •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beta$-카로텐과 비타민 C의 역할을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과 피부조직 균질액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이와 더불어 각각의 성분들의 조합시 일어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에서 클로로필과 $\beta$-카로텐은 고농도에서 자외선 H에 의한 광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농도의 비타민 C는 이를 억제시켰다. 갓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클로로필, $\beta$-카로텐, 비타민 C 농도를 참고하여 이들을 조합하였을 때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억제시켰으며 $\beta$-카로텐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다른 항산화성분들과 함께 사용될 경우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ICR mouse의 피부조직 균질액에 클로로필, $\beta$-카로텐, 비타민 C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였을 때 클로로필 a, b 및 $\beta$-카로텐의 첨 가는 광산화를 가속화시켰다. 비타민 C의 경우 5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0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500 ppm의 비타민 C에 클로로필과 $\beta$-카로텐을 혼합하였을 때에도 광산화가 억제되었으며 비타민 C의 농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수분조절제로서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이용한 계분 발효 특성 및 시비효과 (Plant Growth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of Composting of Poultry Manure with Peatmoss and Cocopeat as Bulking Agent)

  • 김영선;이태순;조성현;정제용;안지예;이종진;한기필;홍주화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1호
    • /
    • pp.79-86
    • /
    • 2017
  • 본 연구는 계분 발효에서 수분조절제로 톱밥을 대신하여 피트모스와 코코피트를 사용하였을 때, 계분발효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시비효과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계분 단독처리구(OP), 톱밥+계분처리구(SP), 피트모스+계분처리구(PP) 및 코코피트+계분처리구(CP)로 설정하였다. OP나 SP 처리구와 비교할 때, 계분 발효시 $50^{\circ}C$이상을 나타내는 기간이 PP와 CP 처리구에서 35일로 약 10일 정도 길었고, 퇴비화 후 45일 경 PP와 CP 처리구의 수분 함량은 약 50% 정도로 10%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계분 발효과정에서 PP와 CP 처리구의 EC는 SP 처리구보다 증가하였고, pH와 유기물대 질소비는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 종료 후 가공계분의 질소, 인산 및 칼리함량은 가공계분의 공정규격에 적합하였다. 상추, 케일 및 갓에 대한 재배시험 결과, PP와 CP 처리구는 OP나 SP 처리구보다 생육이 우수하였고 수량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