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ssel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주요패류에 대한 독의 분포, 특성 및 제독에 관한 연구 3. 마비성패류독의 제독에 관하여 (Studies on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Shellfish Toxin in Korea 3. Detoxific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 장동석;신일식;구효영;오은경;변재형;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8-291
    • /
    • 1988
  • 마비성패류독으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축양 또는 가공방법에 따른 제독실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화된 진주담치를 순환수조에서 축양하였을 때는 유의할 만한 제독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수수조에서 축양한 경우는 5일만에 약 $94\%$가 감소하였다. 2. PSP를 0.1N HCl 용액으로 유출하였을 때가 증류수로 추출하였을 때 보다 그 독성이 약 2-5배 높았다. 3. PSP가 $100\~150{\mu}g/100g$ 정도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수도수에서 30분간 자숙하였을 때 그 독성은 동물실험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4. PSP가 $175{\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진주담치를 $116^{\circ}C$에서 65분간 가압살균하였을 때는 동물 실험결과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독소함양이 $9539{\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고독력의 진주담치는 같은 조건에서 가압살균하여도 $171{\mu}g$의 독력이 잔존하였다.

  • PDF

한국산 주요패류에 대한 독의 분포, 특성 및 제독에 관한 연구 3. 마비성패류독의 제독에 관하여 (Studies on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Shellfish Toxin in Korea 3. Detoxific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 장동석;신일식;구효영;오은경;변재형;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97-302
    • /
    • 1988
  • 마비성패류독으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축양 또는 가공방법에 따른 제독실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화된 진주담치를 순환수조에서 축양하였을 때는 유의할 만한 제독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수수조에서 축양한 경우는 5일만에 약 $94\%$가 감소하였다. 2. PSP를 0.1N HCl 용액으로 유출하였을 때가 증류수로 추출하였을 때 보다 그 독성이 약 2-5배 높았다. 3. PSP가 $100\~150{\mu}g/100g$ 정도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수도수에서 30분간 자숙하였을 때 그 독성은 동물실험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4. PSP가 $175{\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진주담치를 $116^{\circ}C$에서 65분간 가압살균하였을 때는 동물 실험결과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독소함양이 $9539{\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고독력의 진주담치는 같은 조건에서 가압살균하여도 $171{\mu}g$의 독력이 잔존하였다.

  • PDF

연안산 중요 조개류의 증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4. 진주담치의 성장에 대하여 (BIOLOGICAL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IMPORTANT BIVALVES 4. Growth of the Mussel, Mytilus edulis LINNE)

  • 유성규;김기주;이종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3-109
    • /
    • 1970
  • 1969년 6월부터 1970넌 4월까지의 사이에 경남 거제군 둔덕면 법동리 앞바다에서 수하식으로 양식하고 있는 진주담치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진주담치의 산란 성기는 $3\~4$월 사이라고 생각된다. 2. 진주담치의 성장식은 $$Y\;=\;1.508+0.659X-0.0559X^2+0.00367X^3$$으로 표시할 수 있고 특히 6월과 10월의 성장이 빠른 편이다. 3. 성장에 따라서 각군의 분산도 차차 커지는데 이 결과는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다. 4. 진주담치의 수명은 1년 6개월 내외로서 탈락 시기는 8월부터 10월 사이이다. 따라서 7월 이전에 수확해야 한다. 5. 진주담치의 최대 크기는 각고 9.48cm, 각장 4.49cm, 각폭 3.55cm, 각중량 22.05g 및 육중량 19.25g 내외이다. 6. 상대성장식은 각각 다음과 같다. 각고에 대한 각장은 Y=0.486X+0.334 각고에 대한 각폭은 Y=0.359X+0.107 육중에 대한 각중은 Y=0.882X+0.901 각고에 대한 육중은 $$Y\;=\;0.02828X^{2.90518}$$

  • PDF

노출실험을 통한 진주담치(Mytilus edulis)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Pb 및 Cd 축적에 관한 연구 (Bioaccumulation of Pb and Cd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and Olive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osed to Rearing Media)

  • 조영길;김기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8
    • /
    • 2007
  • 진주담치와 넙치를 치사농도 이하의 납과 카드뮴을 첨가한 배양수조에 2주간 노출시킨 후 해당 중금속의 생물농축을 조사하였다. 노출 후 생물체내 중금속 농도는 배양액의 중금속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진주담치에서 그 경향이 뚜렷하였다. 체내에 농축되어진 중금속 농도는 모두 고농도의 배양액에 노출시킨 시료에서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며, 납 5.0 mg/L 배양액에서 넙치 및 담치의 납 최대농도는 각각 $170({\pm}10)\;{\mu}g/g$, $5,260({\pm}70)\;{\mu}g/g$, 카드뮴 1.0 mg/L 배양액에서 넙치 및 담치의 카드뮴 최대농도는 각각 $72({\pm}4)\;{\mu}g/g$, $1,040({\pm}40)\;{\mu}g/g$으로 두 금속의 생물축적이 배양액 농도와 직접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납과 카드뮴의 생물농축비(배양액 노출농도에 대한 분석시료의 농도비)는 두 중금속 모두 배양액의 농도에 반비례하여 낮은 노출농도에서 최대치를 보였고, 특히 진주담치에서 납의 생물농축비는 배양액 농도 0.01 mg/L에서 무려 12,100(${\pm}1,400$)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실은 두 실험생물이 중금속 농도가 낮은 용액에 노출되었을 때 더 빨리 중금속을 섭취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한편, 진주담치의 중금속 축적을 기관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납은 내장낭보다 아가미에서 다소 높은 반면 카드뮴은 내장낭에서 더 높은 농축특성을 보였다.

  • PDF

Studies for Reestabilishment of Approval Toxin Amount in Paralytic Shellfish Poison-Infested Shellfish 5. Comparison of Toxicity and Toxin Composi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between Blue mussel, Mytilus edulis and Oyster, Crassostrea gigas

  • Shin, Il-Shik;Kim, Young-M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7-292
    • /
    • 2000
  • 1976년과 1997년 남해안의 거제도 외포리에서 채취한 진주담치와 굴의 독력 덴 독소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독성은 진주담치가 굴에 비하여 약 10배 정도 높았으며(1996년, 진주담치, 8,670 $\mu\textrm{g}$, 굴 860$\mu\textrm{g}$; 1997년, 진주담치 5,657 $\mu\textrm{g}$, 굴 531$\mu\textrm{g}$/100g), 독화기간도 진주담치가 굴에 비하여 길었다. 두 종류의 시료 모두 독소 주성분은 Cl 및 C2 (20~65%)와 gonyautoxin 1, 2, 3, 4 (38~78%)이었다. 그리고 독화초기에는 11$\beta$-epimer toxin(C2, GTX4)의 비율이 25~56mo1e%(1996년)와 25~80mo1e% (1997년)로 11$\alpha$-epimer toxin(Cl, GTX2)의 비율도다 높았다. 그러나 독화기간이 지남에 따라 11$\alpha$-epimer toxin의 비율이 41~57mo1e%(1996년)와 25~56mo1e%(1997년)로 11$\beta$-epimer toxin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독소성분 조성의 변화는 패류내에서 독소가 대사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 PDF

담치類의 有毒成分에 관한 硏究 (Studies on the Toxic Substsnce of Mussel Mytilus Sp.)

  • 전중균;야구옥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1-278
    • /
    • 1987
  • 1986年 3月 釜山近郊의 廢船處理場에서 發生한 담치類 Mytilys sp. 에 의한 食中毒의 原因을 밝히기 위해 이 貝類의 毒成分에 관하여 調査하였다. 毒成分은 中腸腺을 酸流出하여, 限外濾過 및 各種 칼럼크로마 토그라피法으로 精製하여, TLC, 電氣泳動 및 HPLC로 分析하였는데, 그 結果 담치毒은 GT $X_{1-4}$를 主成分 으로 하고, neoSTX과 P $X_{1,2}$를 副成分으로 하고 있음을 確認하였다. 따라서 이 食中毒의 原因物質은 痲痺性 貝毒(PSP)인 것이 確認되었으며, 이는 PSP가 國內産 貝類에서 最初로 檢出된 것이다.것이다.

  • PDF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굴과 홍합 가수분해물의 제조 (Preparation of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Sea Mussel (Mytilus coruscus) Hydrolyzates using Commercial Protease)

  • 이영철;김동수;김영동;김영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4-240
    • /
    • 1990
  • 본 실험에서는 상품화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굴 및 홍합에 대한 최적 가수분해 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가수분해도, 유리아미노태 질소,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및 관능검사로 가수분해물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굴의 경우 MKC-HT proteolytic, alcalase 0.6L 및 thermoase가, 홍합의 경우 acid-fungal protease와 thermoase가 각 가수분해물 제조시 가장 효과적인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

Bacterial quality evaluation on the shellfish-producing area along the south coast of Korea and suitability for the consumption of shellfish products therein

  • Mok, Jong Soo;Shim, Kil Bo;Kwon, Ji Young;Kim, Poong H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36.1-36.11
    • /
    • 2018
  • Background: To confirm whether shellfish are suitable for consumption, the quality of seawater and shellfish in shellfish-producing areas must be assessed regular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bacterial quality on the Changseon area, containing a designated shellfish-producing area, in Korea during 2011-2013. Result: Even though many inland pollutants near the area were identified, they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gnated area and the shellfish therein. The concentrations of fecal bacteria in all the seawater and mussel samples from the designated area during the harvesting season were within the standards of various countries. Pathogen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mussel samples. In our previous study, the hazardous metal levels in all the mussels from the same area were also within the limits of different countries. Conclusion: The mussel products in this area are suitable for consumption based on fecal pollution, pathogenic bacteria, and also heavy metals.

진주담치(Mytilus edulis)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한 안정성 탐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teolytic Enzyme Stability of Extract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 이지은;서정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0-286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cree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roteolytic enzyme stability of the acidified extract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The acidified extract showed pote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Bacillus subtilis, and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D31, but had no activity against Candida albicans. Treatment of extract with trypsin completely abolished all or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bacteria, but slightly decreas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nd treatment of extract with chymotrypsin retained almo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bacteria except for E. coli D31. To confirm the additional enzyme stability of the extract,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was tested after treated with several enzymes. Enzymes treated extract showed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nd its activity was also retained for 5 h after trypsin treatments. Non-proteinaceous materials in the acidified extract also showed strong DNA-binding ability but did not show bacterial membrane permeabilizing ability. All our results indicate that mussel extract might contain the proteinaceous or non-proteinaceous antibacterial materials target not bacterial membrane but intracellular component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develop mussel extract as an additive for the improvement of stability or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biotics against specific bacteria.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6. 항산화제 또는 EDTA 처리가 진주담치 압착 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STUDIES ON THE SHELLFISH PROCESSING 6. Effect of Antioxidants or EDTA Treatment on the Quality of Pressed-and-Dehydrated Sea Mussel Mytilus edulis)

  • 허종화;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2-30
    • /
    • 1971
  • Sea mussel Mytilus edulis, world-widely distributed, is a sort of popular food in Korea. The demands of high quality and mass production are not being satisfied since it is usually sun dried. A rapid dehydration and the treatment of food additiv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seems to be required. In this paper, the effect of antioxidants and EDTA treatment was studied when sea mussel was pressed and hot-air dehydrated for 10 hours at 45 to $52^{\circ}C$ under the air flow rate of 3 meter per seco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oked and pressed sea mussel was dehydrated mere rapidly than cooked without pressing. 2) The rehydration rate of pressed and dehydrated sea muss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pressed. 3) Among six samples, BHA treated material showed the best color preservation during dehydration and storage. The treatment of Teonox-II was also effective following BHA. 4) The effects of antioxidants used during dehydration and storage were in order of BHA, Tenox-II and NDGA treatment, while EDTA was ineffective. 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hydration rate was found between those treated with antioxidants or EDTA and the untreated. 6) The amount of soluble protein was higher in the samples treated with antioxidants than in EDTA treated or untreated samples. 7)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of BHA and pressing process produce improved product in quality which gives higher amount of soluble protein and better rehydration, color preservation and preventive effect of rancid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