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therapy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31초

Implementation of Lighting Technique and Music Therapy for Improving Degree of Students Concentration During Lectures

  • Han, ChangPyoung;Hong, You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116-124
    • /
    • 2020
  • The advantage of the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at anyone can conveniently take lectures anytime, anywhere on the web. In addition,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effect of light color and temperature control upon student performance during online classes. However, research on how the conditions of subjects, lighting colors, and music selection improve the degree of a student's concentration during online lectures has not been complet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utomatic analysis system SW for the weak subjects of learners by applying intelligent analysis algorithm, have proposed and simulated music therapy and art therapy. Moreover, It proposed in this paper an algorithm for an automatic analysis system, which shows the weak subjects of learners by adopting intelligence analysis algorithms. We also have presented and simulated a music therapy and art therapy algorithms, based on the blended learning,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concentration during lecture.

비음악 전공자들의 음악치료 진로선택과정에 대한 연구 (Case Study on Career Decision Process of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ithout Music Training)

  • 박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1호
    • /
    • pp.25-45
    • /
    • 2013
  • 본 연구는 비음악 전공자들의 음악치료 진로선택과정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 중 학부에서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하여 근거이론 도출을 위한 예비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비음악 전공자들의 음악치료 진로선택과정은 삶의 구체적 목표 설정에 대한 지속적인 동기와 취업이나 진학과 같은 현실적인 자극을 받아 사회인으로서의 역할 결정에 대한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유발되었다. 이는 자신을 둘러싼 현실적인 상황과 음악치료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을 야기하였고, 개인적 특성과 외부적 요인 그리고 음악적 배경이 상호작용 하였다. 그 경험은 자신의 본능과 잠재성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음악아(Music Child)'와의 관계 재설정을 통한 '자기(self)' 통합과 성장의 추구로 이어졌다. 또한 관계 속에서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자 하는 욕구가 진로선택 과정에서 자신의 포부를 구체화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비음악 전공자들이 음악치료학으로 진로를 선택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음악치료에 입문한 비음악 전공자들에 대한 실제적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음악요법 유형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수술 중 불안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Music in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 signs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sing Spinal Anesthesia)

  • 김연옥;김주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49-155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ypes of music (relax music or preferred music that patients have chosen) can effects on anxiety, blood pressure and pulse,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kinds of music in order to reduc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using spinal anesthesia. Methods: This research's design is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conducted on 60 surgical patients(experimental group 1=relax music therapy group, experimental group 2=preferred music therapy group, and group 3=control group) using spinal anesthesia. The Variables were trait anxiety, state anxiety, blood pressure, and pulse. Results: 1) In the state anxie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1,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ystolic blood pressur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1,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3) In puls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1,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was detected. Conclusion: Regardless of the types of music, music therapy is thought to be effective nursing mediation to mitigate the stat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전통 북을 활용한 집단 음악 치료가 청각 장애 아동의 사회적응과 자아상 및 정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on the Social-Adjustment, Self-Conception and Emotional-Adjustment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 성미경;정광조;최애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6호
    • /
    • pp.85-10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on the; social adjustment, self-image, and emotion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I participated in this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with 7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for 3 days a week for 6 weeks(including holidays), and each session was 50 minutes long. The evaluation form of this study is a social-emotional development measurement sheet of Meadow-Kendall, which the children's teacher distributed to the children both pre- and post-examination. With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carried out Window SPSS 19 Version and searched for the experiment's effect of measurement cause (I am not sure what this means.) through paired t-test to identify the experiment's effects (social adjustment, self-image, emotional adjustment) as a result of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fter I participated in the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the result of the comparisons of the pre-to-post average for social adjustment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the 0.01 standar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Second, after I participated in the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the result of the comparisons of the pre-to-post average for self-image development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the 0.01 standard. Therefore, the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image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ird, after I participated in the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the result of the comparisons of the pre-to-post average for emotional adjustment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the 0.01 standard. Therefore, the group music therapy using the traditional dru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신경질환 환자들과 음악치료사들을 위한 음악치료 관련 문헌 추천 방법론 제안 (Document Recommendation for Music Therapists and Patients with Neural Disorders)

  • 강근영;김문의;박래은;양은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
    • /
    • 2017
  • Music therapy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in treatment of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sic therapy techniques on symptoms of a given disease but there has been no efforts in classifying those studies by specific symptoms of diseases, although patients, caregivers and music therapists have difficulty in discovering documents that they need to treat certain diseases. Thus, in the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group music therapy-related publications by the music therapy techniques mainly used for a given disease. We expect that it will help music therapists and patients to find papers to help them to cure a specific disorder.

  • PDF

국내 리듬 중재 연구의 중재 구성 및 논거에 대한 고찰 (Review of Studies Using a Rhythm Task Intervention and the Rationale for its Formulation)

  • 정현주;임정현;황수연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95-118
    • /
    • 2018
  • 최근 근거중심의 연구와 실제가 강조되면서 중재 연구들이 보다 엄격한 논거를 토대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듬 과제를 사용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치료 목표별 리듬 과제를 고찰한 후 중재 구성 및 논거를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4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7개의 중재 항목 및 논거 제시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제공자 전문성과 중재 구성틀, 중재 기간, 중재 형태, 중재 절차, 활동 및 음악에 대한 논거 제시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총 7개 중재 관련 항목 중 4개 이상 항목에 논거를 제시한 연구는 10편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논거에 대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10편 모두 중재제공자, 중재 구성틀, 활동 논거 및 음악 논거를 제시하였으나 중재 유형(개별 또는 집단)과 구성된 중재 기간에 대한 논거는 동일한 수준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리듬 중재 유형에 따른 논거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한 4편의 연구는 활동 논거와 음악 논거가 명료하게 제시된 반면 연구자가 구성한 중재를 활용한 6편의 연구는 음악 논거보다는 활동 논거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치료가 근거 중심의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중재 항목의 타당성과 중재 구성에 대한 논거를 더욱 충실히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인지 및 정서행동 영역에서의 음악치료 사정을 위한 리듬 프로토콜(MACED-Rhythm) 개발 예비 연구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Protocol for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ognitive and Emotional-Behavioral Domain using Rhythm (MACED-Rhythm))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1호
    • /
    • pp.67-83
    • /
    • 2013
  • 음악치료에서 사정평가는 내담자의 현재 기능과 필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음악치료사는 사정평가의 내용을 바탕으로 치료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과 치료전략을 수립한다. 하지만 기존의 음악치료 사정도구는 해당 영역의 행동을 열거하고 이를 관찰하여 수치화함으로써 기능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실제 인간의 음악행동을 통한 기능의 사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음악행동을 바탕으로 하는 소수의 음악치료 사정도구에서도 음악행동을 구성하는 세부기능영역, 발달단계에 따른 근거에 따른 난이도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술 사정을 위한 리듬요소군을 중심으로 한 음악 프로토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발달학적 근거와 인지기술 수준에 따른 난이도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지발달에 따른 소리정보의 그룹핑, 구조형식의 수준, 전체-부분 관계의 명료성, 반복-변동성 수준을 고려한 리듬 연주 항목과 연주행동에 내포된 정서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리듬 사정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검증과정으로는 먼저 15개의 예비 리듬문항을 난이도, 복합성, 패턴 유형을 고려하여 선정한 후 이를 일반인 61명을 대상으로 난이도 검증을 실시하여 문항별 수준과 난이도 계수를 도출하였다. 둘째, 7인의 전문가 평가팀의 검증을 통해 1차 개발된 문항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20개의 리듬프로토콜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 개발될 음악치료사정평가도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Recognition of Music Therapy in Speci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 김정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1호
    • /
    • pp.1-11
    • /
    • 2006
  •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 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기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