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percep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3초

An Investigation of Perceived and Performed Sound Durations

  • Jeon, Jin-Y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3E호
    • /
    • pp.86-94
    • /
    • 1996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way in which sound durations are perceived, and to attempt to explain the hidden mechanisms of the duration perception in music performances.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fference limen for the perception of sound duration and to find the effects of frequency and intensity on duration discrimination. For short duration tones ranging from 25 to 100 msec, a linear improvement in discrimination judgements was foun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signal. The JND was constant for durations between 100 msec and 2 sec. However, for extended stimulus durations (more than 2 sec) the JND was again linearly improved. Subjects were also presented with a pair of stimuli, composed of high and low frequency pure tones, and asked to discriminate differences in duration of the two tones and igno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tones. It was found that subjects perceived the higher frequency to be longer in duration. When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nsity on duration discrimination it was found that a 20 phon difference makes subjects perceive the louder stimulus as longer than the quieter stimulus. Finally, in a performance study, an analysis of musical performances revealed the effect of frequency. It was found that the musicians played the higher notes shorter than the lower notes. This agrees with what was previously found in the work on the perception of tones.

  • PDF

후기기술수용모형(PAM)과 플로우(Flow)이론을 기반으로 한 유튜브 커버음악 채널의 성공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the Success Factors of YouTube Music Cover Channel Based on the Post Acceptance Model(PAM) and Flow Theory)

  • 이진형;채명신;장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91-107
    • /
    • 2020
  • 본 연구는 유튜브 커버음악 채널의 성공 요인에 대하여 정량적 연구를 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 과정에서 기존의 정성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커버음악 채널의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검정하는 것이 두 번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최근 사례연구에서 제시한 커버음악 채널의 성공 요인을 후기기술수용모형과 융합하였다. 커버음악 채널의 콘텐츠, 영상, 크리에이터, 상호작용성, 홍보라는 5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척도화하여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거치면서 정량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 결과물과 후기기술수용모형에서 제시하는 중요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콘텐츠 특성은 이용자들의 정서적 즐거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존 사례에서 제시된 채널 특성 요인 5가지 중에서 크리에이터 특성이 정서적 즐거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과정에서 유튜브 커버음악 채널 특성 중 콘텐츠 특성과 영상 특성이 한 요인으로 적재되어 통합되었다. 셋째, 만족과 지속사용의도 또한 한 요인으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커버음악 채널 운영자들은 크리에이터의 매력을 돋보이게 하는 영상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용자들과의 상호작용과 홍보에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European Experience in Implementing Innovative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he Arts: Current Problems and Vectors of Development

  • Kdyrova, I.O.;Grynyshyna, M.O.;Yur, M.V.;Osadcha, O.A.;Varyvonchyk,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9-48
    • /
    • 2022
  • The main purpose of the work is to analyze modern innovativ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nd their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the spread of digitalization trends. The study used general scientific theoretical methods of analysis, synthesis, analogy, comparative, induction, deduction, reductionism, and a number of others, allowing you to fully understand the pattern of modern modernization processes in a long historical development and demonstrate how the rejection of the negativity of progress allows talented artists to realize their own potential. The study establish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volving innovative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on the example of European experience and outlined possible ways of implementing digitalization processes in Ukrainia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formulated the main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us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pandemic.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sphere of culture and art, both visual, scenic, and musical in all processes: creation, reproduction, perception, learning, etc.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ere is a synthesis of creative practices with digital technologies. In terms of music education, these processes at the present stage are provided with digital tools of specially developed software (music programs for composition and typing of musical text, recording, and correction of sound, for quality listening to the whole work or its fragments) for training programs used in institutional education and non-institutional learning as a means of independent mastering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music-making, as well as other programs and technical tools without which contemporary art cannot be imagined. In modern stage education, the involvement of video technologies, means of remote communication, allowing realtime adjust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is actualized. In the sphere of fine arts, there is a transformation of communicative forms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which in the conditions of the pandemic ar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t this stage, there is an intensification of transformation processes in the educational industry in the areas of culture and art.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초보운동단계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 개발 - 신경학적 음악치료의 기법을 활용하여 (A Study for Developing Music Therapy Activity Program for Development of Rudimentary Movement Phase of Spastic Cerebral Palsied Infant : Applying the techniques of Neurological Music Therapy)

  • 이윤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84-105
    • /
    • 2007
  • 뇌성마비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운동장애 뿐 아니라 지능장애, 언어장애, 경련, 감각장애, 지각장애, 그리고 정서장애와 같은 중복적인 장애를 수반하는 장애이다. 최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미숙아들의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경직형 뇌성마비의 출현율도 높아지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뇌성마비 유아들에게는 생후 1년 사이의 치료적 중재가 특별히 중요하며, 7세 이후의 치료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하는 조기 중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 운동 영역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신체재활을 목적으로 접근하는 음악치료 영역인 신경학적 음악치료(NMT)의 기법들을 활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들의 운동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아들이 0~2세에 가장 기본적인 운동 기능들을 습득하는 단계인 초보운동단계의 주요 발달과제들을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크게 안정성, 이동성, 그리고 조작기능의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임상 현장에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를 대상으로 치료를 진행하고 있는 음악치료사들을 통하여 시행된 후 활동에 대한 타당성과 적용의 효율성을 평가받았다.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운동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은 치료활동의 개발, 전문가의 검증, 치료활동의 수정 및 보완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치료활동의 개발을 위하여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시행하였고, 전문가의 검증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 혹은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6명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전문가들을 통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 검증에서는 활동의 내용상 타당도 및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살펴보았고, 이를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전문가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치료활동의 수정 및 보완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수정 및 보완의 결과에 대해서는 검증집단을 통하여 재확인과정을 거쳤다.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는 각 평가 항목별로 평가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시하였고, 활동별로 전문가들의 조언과 함께 수정 보완한 내용을 함께 제시하였다.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보운동단계에서의 발달과제인 안정성, 이동성, 조작기능을 바탕으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운동 발달 특성을 적용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총 38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안정성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4개, 이동성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0개, 그리고 조작기능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4개이다. 전체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운동발달단계 적합성, 목표-내용 일치도, 적용 대상 적합성, 음악의 적절성, 악기사용의 적절성, 그리고 실제 활용의 유용성이라는 여섯 가지 평가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것은 본 연구의 결과가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조기 중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발달 단계별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한 국내의 현실적 요구에 맞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음악전문인과 비전문인에게서 나타나는 안정적 음정 (Perceptually stable musical interval observed in musically trained and untrained listeners)

  • 박유미
    • 인지과학
    • /
    • 제13권1호
    • /
    • pp.61-71
    • /
    • 2002
  • 음악에서의 최소단위인 음정을 지각하는데 있어 과연 우리나라 청자들의 정서를 반영하는 기제가 과연 존재하느냐 하는 점을 조사하기 위해 2가지 과제의 실험이 고안되었다. 서양 음악에서 강조되는 음정과 우리 나라 음악에서 강조되는 음정이 비교 분석되었다. 서양 음악 전문인과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들에 의해 수행된 본 실험에서 나타난 일관된 결과는 완전4도 음정의 안정성이다. 완전4도는 음향학적으로, 그리고 우리나라 음악에서 중요한 위상을 가지는 음정이다. 이러한 결과는 서양 조성 체계에 의한 중요 음정(완전5도, 장3도)에 대한 안정적 지각을 보고하는 서양의 기존 결과들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즉 환경 적으로는 서양 음악에 노출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청자들은 우리 음계상 중요 음정에서 강한 중력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 고유의 음악적정서에 대한 진전된 논의가 가능하려면 서양의 기존 연구와는 독립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필요하다.

  • PDF

음악청취가 자궁절제술전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usic Listening on Anciety in Partients betore Undergoing Hyterectomy)

  • 박현숙;최의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2-8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musical listening on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hysterectomy.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criterias, 46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Kang-Nam St. Mary's Hospital in Seoul from October 1 to December 31, 1995. 20 patients of them were particip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musical listening session with self-selected music tapes, while 26 patients as the control group who didn't receive that session. The musical listening sessions composed of 3 periods, the pre-operation evening, just before sleeping, the operation morn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age education, religion, the experience of operation, the perception of uterus, and the weight(%).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as used to measure anxiety on all patients. And serum cortisol levels, fasting blood sugar level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collected at the day before surgery and the operation d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e-Anxiety between the two groups. 2. The differences of serum cortisol level between the day before surgery and the operative da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3). 3. The level of fasting blood suga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P=0.01). 4. Systolic blood pressur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P=0.02). While Diastolic blood pressure level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It is suggested imply that the musical listening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may alleviate the perioperative anxiety levels in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hysterectomy.

  • PDF

가상현실에서 Haptic 디바이스를 활용한 난타 음악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Nanta Music using a Haptic Device in Virtual Reality)

  • 고영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25-130
    • /
    • 2011
  • 본 논문은 난타 음악과 상호작용하는 햅틱 포스 피드백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했다. 촉감처리기술을 포함하는 VR기술과 사용자에게 원기둥 객체들과 컵 객체의 터치를 제공하는 햅틱 디바이스를 사용했다. 햅틱 디바이스는 VR 공간에서 터치 모델을 이용하는데 활용되었다. 실험을 위한 Matlab/Simulink와 Handshake의 proSENCE Virtual Touch Toolbox는 프로그램 툴로 사용되었다. 각각 x, y, z축의 움직임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함수는 3D로 모델화한 컵속에 물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묘사하도록 적용했다. 컵속의 정해진 물의 양은 다른 소리를 갖는다. 실험에서 3D 객체의 외형을 인지하는 것과 터치에 의해서 촉감을 느끼는 것은 Haptic의 인지와 함께 난타음악과 연결하여 표현되었다. 또한, 포인터를 활용해서 VR공간에서 게임이나 콘텐츠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주파수 영역의 도래각 추정 기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oA Estimation in Frequency Domain in Automotive Radar System)

  • 최정환;최지원;김성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호
    • /
    • pp.12-22
    • /
    • 2016
  •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자율 주행 자동차 시스템으로 레이더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레이더 시스템은 전방 차량의 거리, 속도 그리고 각도를 추정한다. 도로 환경에 차량뿐만 아니라 인식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고해상도 각도 추정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클러터들 사이에서 전방의 차량만의 각도를 추정하기 어렵고, 특히 같은 각도 상에 놓인 다른 차량들을 구분하기 힘들다. FMCW 레이더 시스템에서는 거리와 속도가 다른 차량들이 서로 다른 비트 주파수를 가지기 때문에, 비트 주파수에 기반하여 각도 추정을 할 수 있다면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USIC 알고리즘을 주파수 영역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적합성에 대한 분석을 한다.

시청각 정보에 의한 도로교통소음의 심리적 저감효과 (The Psychological Effect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i on the Road Traffic Noise)

  • 장길수;백건종;송민정;신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77-1182
    • /
    • 2007
  •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ffect of preferred visual and auditory stimuli on the road traffic noise perception through the series of psychoacoustic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was designed to find the addition effect of a sound reproducing system in a square where lay adjacent to roads with road traffic noise, provide appropriate music corresponding to the varying conditions of weather in the given space. In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ating around the square improved toward more positive adjectives. The second experiment was designed to assess the visual effect of twelve roadsides with different landscapes on the road traffic noise perception. As a result, approx. 3 to 5 dB(A) of psychological reduction was seen in places where natural landscape was preferred, compared to the others, although the noise levels were similar. The third experiment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visual screen from adjacent roads on road traffic noise perception by means of ME method in a laboratory. In resul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duction was observed at 65dB(A) or lower. Especially, complete screening from adjacent roads led to 5 to 10% of loudness reduction effect, compared to non-screening cases. Finally, the fourth experiment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with ME method and 7-point SD rating scale in a laboratory. In result, up to 10% of loudness reduction and about 2dB(A) of noise perceptional reduction were seen at 65dB(A) or lower.

  • PDF

패션쇼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패션쇼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components of a fashion show on viewing satisfaction)

  • 최현주;신영옥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1호
    • /
    • pp.45-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components of a fashion show can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he spectators, and what the spectators most like in a fashion show. Through the analysis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organizing fashion shows we established a list of the main components, which allowed us to set up a questionnaire. The results regarding the viewing satisfaction of the spectators at a fashion show were investigated and came out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fashion show are generally viewed to be four factors: the program, the directing, the model, and the sets. These four factors are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 spectators and are very important to the success of a fashion show and the enjoyment of a fashion show by spectators. Second, it is shown to us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perception is 'the directing'(stage scenery, background music, lighting, effects etc.), and the next is 'the sets'(convenience seat, display, service facilities etc.). So,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spectators, it is advisable to concentrate on these two main factors. Finally, we would suggest that the organizer of a fashion show shall carefully analyze how spectators understand and perceive the components of a fashion show.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about how the components of a fashion show can influence the spectator's perception and presents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a fashion show by reorienting it towards the satisfaction of the spectator. In addition, there needs to be a strategy by customer satisfaction experience to reinforce a customer-oriented fashion show and heighten a viewing satisfaction for spect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