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ory Research on the Success Factors of YouTube Music Cover Channel Based on the Post Acceptance Model(PAM) and Flow Theory

후기기술수용모형(PAM)과 플로우(Flow)이론을 기반으로 한 유튜브 커버음악 채널의 성공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Lee, Jin-Hyung (Department of Convergence Industry, Seoul Venture University) ;
  • Chae, Myung-Sin (Department of Convergence Industry, Seoul Venture University) ;
  • Jang, Jun-Geun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Deajeon University)
  • 이진형 (서울 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채명신 (서울 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장준근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 Received : 2020.07.23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quantitatively the success factors of YouTube's music cover channel. Along the process, constructing and testing the measurement for music cover channel's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constructed the measurement items based on results of qualitative studies. To perform the purposes the study suggest a research model which integrated the Post Acceptance Model with five music cover channel'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cent case studies. The five characteristics were contents, video, creator, interactivity, and publicity. The characteristics were integrated with Post Acceptance Model. After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earch model was revised then,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ested. The research results sh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characteristics did not meet the expected value of users. Second, among the five factors of channel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creator's characteristics have the largest effect on user's value perception Third, in the factor analysis process, the content factor and the video were loaded on the same factor thus integrated as one factor. Fourth,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continual usage were also loaded on the same factor thus integrated as one factor.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music cover channel operators need to enhance the creator's attraction, communication with user, and publicity in various ways.

본 연구는 유튜브 커버음악 채널의 성공 요인에 대하여 정량적 연구를 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 과정에서 기존의 정성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커버음악 채널의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검정하는 것이 두 번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최근 사례연구에서 제시한 커버음악 채널의 성공 요인을 후기기술수용모형과 융합하였다. 커버음악 채널의 콘텐츠, 영상, 크리에이터, 상호작용성, 홍보라는 5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척도화하여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거치면서 정량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 결과물과 후기기술수용모형에서 제시하는 중요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콘텐츠 특성은 이용자들의 정서적 즐거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존 사례에서 제시된 채널 특성 요인 5가지 중에서 크리에이터 특성이 정서적 즐거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과정에서 유튜브 커버음악 채널 특성 중 콘텐츠 특성과 영상 특성이 한 요인으로 적재되어 통합되었다. 셋째, 만족과 지속사용의도 또한 한 요인으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커버음악 채널 운영자들은 크리에이터의 매력을 돋보이게 하는 영상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용자들과의 상호작용과 홍보에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석희(2018). 국내에서 제작된 인기 YouTube 채널 분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18(2): 15.
  2. 채수연(2019). 유튜브(YouTube) 1인 크리에이터의 커버음악 성공요인 분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다솔(2020). 한국 개인 채널 최초로 유튜버 구독자 '1500만명'달성한 제이플라. 인사이트, https://www.insight.co.kr/news/276246/2020.06.14.
  4. 박성의(2019). 정성하...한국인 최초 조회 수 1억 넘긴 '기타 천재'.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91779/2020.06.14.
  5. 김한석(2019). 유튜브를 활용한 대중음악 홍보 전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송영주(2015). 개방형 협업 플랫폼의 정보시스템 품질과 개인적 요인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한상연, 최세경, 곽규태(2017). 다중채널네트워크 개인방송 서비스의 이용 만족과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34(4): 243-290.
  8. 김은석, 김영준(2019). 인슈어테크 디지털 보험 플랫폼서비스의 사용자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經營學硏究, 48(4): 997-1043.
  9. 최정민(2019). 공공데이터 플랫폼 이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해양과학 데이터 플랫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천명환, 정철호(2012). SNS 사용자의 지각된 상호작용성 및 위험이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7(6): 9-19.
  11. 이상호(2013). SNS 사용자의 감성인식, 몰입이 구전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사용자 그룹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8(2): 1-23.
  12. 이상기, 강명수(2016). O2O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요인: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의 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3(1): 155-190.
  13. 정철호, 서용석(2017). 확장된 후기수용모델에 기반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7): 857-864.
  14. 박원호(2017). 기술수용모델(TAM)과 후기수용 모델(PAM)을 이용한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스타벅스 사이렌오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칙센트미하이.(2004). 최인수 역. 몰입-flow, 한울림.
  16. 조원길(2011). 정보기술수용 모형과 플로우 이론을 기반으로 동북아지역의 전자무역시스템 신뢰정도와 이용자의 만족도 비교분석. e-비즈니스 연구, 12(4): 345.
  17. 김보민(2017). 소셜 미디어 특성이 플로우(Flow)와 긍정적 감정,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외식소비자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영채, 정승렬(2013). 모바일 앱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플로우 이론과 통합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4(4): 73-84. https://doi.org/10.7472/JKSII.2013.14.4.73
  19. 박철(2008). 온라인 소비자행동에서 플로우(Flow)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소비자학연구, 19(2): 65-92.
  20. 변용수(2020). 수용자의 주관적 인식과 경험을 통해 구분되는 1인 미디어의 장르적 속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주희, 고경아, 하대권(2018). 11인 미디어 이용자들의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시청 동기 및 사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20(2): 178-215.
  22. 서승배(2018). 1인 미디어를 활용한 SNS마케팅이 상품 브랜드가치와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원찬(2020). 1인 미디어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이 활성화된 설득지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안호진(2019). 유튜브 커버영상의 저작권법적 검토 및 현실적 해결방안.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12(1): 163.
  25. 김기병(2020). 후기수용모델(PAM)의 확장모형을 통한 온라인 여행사(OTA)의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김영택, 오종철, 홍상진(2006). 개인형 커뮤니티 사이트 사용자의 후기수용모형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會誌, 19(6): 2215-2235.
  27. 정철호, 정영수(2010). 사용자제작콘텐츠 (UCC) 이용자의 수용 후 행동 모델 분석.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 2010(1): 299-308.
  28. 박철(2008). 온라인 소비자행동에서 플로우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소비자학연구, 19(2): 65-92.
  29. Hoffman, D. L. & Novak, T. P.(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60(July): 50-68. https://doi.org/10.2307/1251841
  30. 박윤서, 김용식(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요인간 구조적 관계: 기술수용모델(TAM)과 플로우(Flow)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1(1): 247-272. https://doi.org/10.9716/KITS.2012.11.1.247
  31. 이강유, 성동규(2018).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2): 660-675.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660
  32. 이입평(2017). 유튜브 일인 미디어 방송의 플로우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변상운(2019). 유튜브의 속성이 패션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몰입과 채널 지속 사용의도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마리야오(2020). 유튜브 개인화 서비스가 사용자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김우찬(2019). 소셜미디어 특성과 사용자 개인 특성이 소셜미디어의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튜브와 유튜브 이외의 사용자 비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지식 서비스&컨설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윤희(2017). SNS 이용자의 스낵 컬쳐와 피키캐스트 이용에 대한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신건권(2018). 석박사학위 및 학술논문 작성 중심의 SmartPLS 3.0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38. Bagozzi, R. P. & Yi, Y.(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39. Fornell, C. & Larcker, D. F.(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40. Hair Jr, J. F., Sarstedt, M.. Ringle, C. M. & Gudergan, S. P.(2017). Advanced Issues i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Publications.
  41. 천종성(2020). 인지된 네트워크 외부성이 유튜브 채널 구독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에 관한 연구: 기대일치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김병현(2020). 과정적 충족으로서의 인지된 행동유도성과 내용적 충족이 OTT서비스의 이용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Chang, C. T., Hajjyev, J. & Su, C. R.(2017). Examining the Students'Behavioral Intention to Use E-Learning in Azerbaijan? The General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Learning Approach, Computers & Education, (111): 128-143.
  44. 유재선(2020). '명함라이브' 사용자 평가를 통한 유튜브 음악 콘텐츠 홍보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105-120.
  45. 유지영, 김미경(2019). 한국 전통춤과 K-pop 댄스의 융합 : 2018 MMA 방탄소년단 'IDOL' 유튜브 댓글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189-198.